'태풍 가고 다시 찜통더위' 서울 32도… 일부 소나기

화요일인 14일 서해상에 위치한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전국이 가끔 구름이 많을 전망이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22.6도, 인천 21.3도, 수원 22.0도, 강릉 24.1도, 춘천 23.6도, 대전 22.7도, 청주 22.6도, 전주 21.9도, 21.4도, 대구 22.1도, 부산 21.9도, 울산 22.0도, 창원 21.2도, 제주 24.8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서울 32도 등 2733도로 전날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당분간 낮 기온은 평년보다 높아 덥겠고, 특히 폭염특보가 발표된 경기 동부와 강원도 영서 지방에는 낮 기온이 33도 이상 오르면서 매우 덥겠으니 야외 활동과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강원 영서 남부와 충북 북부, 경북 북부 내륙에는 대기가 불안정해 오후부터 밤 사이에 소나기(강수확률 60%)가 올 것으로 보인다. 예상 강수량은 520㎜다. 소나기가 오는 곳에는 돌풍이 불고 천둥번개가 칠 수 있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아침까지 남해안과 서해안, 일부 내륙에 안개가 짙게 낄 가능성이 있어 건강관리와 교통안전에 주의해야 한다고 기상청은 당부했다. 밤부터 15일 아침까지 해무가 유입되면서 해안지역에는 안개가 짙게 낄 전망이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보통' 수준이지만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의 경우 아침까지 일시적으로 '나쁨' 수준이 될 수 있다고 국립환경과학원은 예보했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먼바다와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서 2.04.0m로 매우 높게 일다가 점차 낮아지겠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0.52.5m로 일겠다. 동해 중부 먼바다에는 풍랑주의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고, 1415일 전 해상에 안개가 짙게 끼는 곳이 있겠으니 항해하거나 조업하는 선박들은 유의해야 한다. 연합뉴스

‘오늘 날씨’ 태풍 찬홈 영향 막바지… 전국 흐리고 비, 밤에 그쳐

오늘 날씨 13일 월요일은 전국이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겠다. 이날은 전국이 흐리고 비(강수확률 6080%)가 오다가 아침에 남부지방부터 그치기 시작, 밤에는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그치겠다. 강원 영서 남부에는 14일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도 있겠다. 찬홈은 이날 오전 1시30분께 황해도 옹진군 남쪽 해안으로 상륙, 북한을 지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오전 5시 현재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고 있다. 이날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강원도 영동을 제외한 중부지방과 서해 5도에 520㎜, 남부지방에는 5㎜ 미만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은 흐리고 비가 내리면서 낮 기온이 오르지 못해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의 기온을 보이겠다. 낮 최고기온은 24도에서 30도로 예상된다. 낮 최고기온은 서울 26도, 대전 27도, 부산 27도, 대구 31도, 광주 29도 등이다. 현재 서해안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해안지역에는 강풍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부는 곳이 있으니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모든 해상에서 2.06.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서해 남부 앞바다와 남해 앞바다는 오후부터 1.02.5m로 점차 물결이 낮아지겠다. 모든 해상에 풍랑특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겠다.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주의가 필요하며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에는 너울성 파도가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는 곳이 있겠으니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하라고 기상청은 당부했다. 온라인뉴스팀

태풍 영향 막바지… 전국 흐리고 비, 밤에 그쳐

월요일인 13일은 제9호 전국이 태풍 '찬홈'(CHAN-HOM)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겠다. 전국이 흐리고 비(강수확률 6080%)가 오다가 아침에 남부지방부터 그치기 시작, 밤에는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그치겠다. 강원 영서 남부에는 14일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도 있겠다. 찬홈은 이날 오전 1시30분께 황해도 옹진군 남쪽 해안으로 상륙, 북한을 지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오전 5시 현재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고 있다. 이날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강원도 영동을 제외한 중부지방과 서해 5도에 520㎜, 남부지방에는 5㎜ 미만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11일부터 이날 오전 5시까지 제주 윗세오름의 누적 강우량이 1천432㎜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경남 산청 지리산(391㎜), 전북 남원 뱀사골(304.5㎜), 전남 구례 성삼재(276㎜), 경남 하동 화개면(232㎜) 등에 많은 비가 내렸다. 현재 서해안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해안지역에는 강풍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부는 곳이 있으니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이날은 흐리고 비가 내리면서 낮 기온이 오르지 못해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의 기온을 보이겠다. 낮 최고기온은 24도에서 30도로 예상된다. 바다의 물결은 모든 해상에서 2.06.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서해 남부 앞바다와 남해 앞바다는 오후부터 1.02.5m로 점차 물결이 낮아지겠다. 모든 해상에 풍랑특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겠다.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주의가 필요하다.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에는 너울성 파도가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는 곳이 있겠으니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하라고 기상청은 당부했다. 연합뉴스

태풍 찬홈, 중국 동부 강타… 이재민 191만 명·1조원 손실

이재민 191만명 1조원 손실 제9호 태풍 찬홈이 중국 동부연안을 스치며 북상하면서 저장(浙江)성 일대에서만 191만명의 이재민을 내는 큰 피해를 남겼다. 12일 중국 관영 신화망, 인민망 등에 따르면 태풍 찬홈의 영향으로 이날 오전 6시(현지시간) 현재 저장성 원저우(溫州), 저우산(舟山), 타이저우(台州) 등지에서 저지대 침수로 191만6천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저장성에서는 강풍과 함께 최대 321㎜의 폭우가 쏟아지며 농작물 피해 면적이 174.8㏊에 이르렀고, 이중 83.9㏊는 농작물 수확이 불가능할 정도로 피해를 봤다고 전했다. 가축도 5천여마리가 죽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태풍 상륙을 전후해 저장성 당국은 주민 111만5천명을 대피시키고 3만 척에 달하는 조업 어선에 귀항 명령을 내렸다. 강풍과 호우로 무너지거나 파손된 가옥도 1천여채에 달하며, 저장성에서만 농어업 분야에서 36억2천만 위안(6천600억원)의 손실이 나는 등 모두 58억6천만 위안(1조원)의 직접적인 경제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접한 상하이에서도 태풍 찬홈이 몰고 온 강력한 비바람으로 주거시설이 좋지 않은 농민공 등을 중심으로 16만 3천 명이 긴급 대피했다. 아울러 고속철도 운행이 중단되고 항공편 1천200편이 무더기 결항했다. 태풍 찬홈은 전날 오후 4시40분(현지시간) 저장성 저우산 방면으로 상륙해 북동쪽 한반도 서해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력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 중국 당국은 당초 찬홈을 초강력 태풍으로 예상했으나 전날 강력 태풍으로 한 단계 낮춘 데 이어 다시 태풍급으로 하향했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이재민 191만명 1조원 손실, 찬홈 피해 어마어마하네", "태풍 찬홈, 우리나라는 괜찮은데 중국엔 이재민 191만명 1조원 손실이라니", "인명피해 크지 않아서 다행"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이재민 191만명 1조원 손실, 연합뉴스

태풍 덕 전국에 '단비'… 한라산 일부 이틀간 1천360㎜

전국이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의 간접 영향권에 든 11일과 12일 적지 않은 양의 비가 내렸다. 가뭄이 심한 중부 내륙지역의 강우량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해갈에는 도움이 된 단비였다. 12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날 오후 4시 현재까지 전국의 누적 강우량을 살펴본 결과 제주와 전남경남 산간 및 해안지역에 많은 비가 집중됐다. 제주 한라산 윗세오름에는 이틀간 1천359.5㎜가 쏟아졌다. 제주 서귀포 821.0㎜, 경남 산청 지리산(291.0㎜) 전북 남원 뱀사골(247.5㎜), 경남 하동 화개면(185.5㎜), 전남 순천(158.5㎜) 등도 대표적으로 비가 많이 내린 지역이었다. 이밖에 전남 목포 100.4㎜, 완도 132.0㎜, 경남 창원 65.0㎜, 진주 65.5㎜ 등에도 비교적 많은 강수량을 기록했다. 반면 경기도와 강원 영서, 충청도, 경북 북부 등 가뭄으로 근심하던 지역의 강우량은 제주나 남부지역과 비교하면 적은 편이었다. 강원 영서지역에 이틀간 내린 비는 철원이 35.5㎜로 그나마 많은 편이었고, 춘천 17.6㎜, 원주 10.5㎜, 영월 15.0㎜, 인제 11.5㎜ 등이었다. 경기도 역시 동두천 18.7㎜, 파주 21.7㎜, 양평 14.0㎜, 이천 14.7㎜ 정도였고, 충북은 영동 14.5㎜, 제천 8.0㎜, 보은 15.0㎜ 등을 기록했다. 충남도 천안 15.0㎜, 보령 27.7㎜, 부여 18.0㎜, 금산 9.5㎜로 강우량이 많지 않았다. 경북 내륙지역 강우량도 영주(20.0㎜), 문경(16.5㎜) 정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었고 안동(3.5㎜), 상주(6.5㎜), 봉화(6.5㎜) 등에는 적은 양이 내렸다. 그러나 전국이 13일까지 태풍 영향권에 들면서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상돼 말라붙은 땅을 적시기에는 충분한 양이 되겠다고 기상청은 전망했다. 태풍 찬홈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전남 목포 서쪽 약 200㎞ 해상에서 시속 36㎞로 북북동진하고 있다. 이날 오후 9시에는 전북 군산 서북서쪽 180㎞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어 13일 오전 3시 강화도 서북서쪽 옹진반도로 상륙해 오전 9시 원산 서쪽에 도달하기까지 서해안과 내륙지역 등에 계속해서 비를 뿌릴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완전한 해갈에는 부족하지만 이 정도 강우량이라면 가뭄 해소에 상당히 도움이 되는 비일 것"이라며 "13일까지 비 예보가 있고 내륙지역에도 많게는 60㎜까지 더 올 것으로 예상되므로 기다려 볼 만하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 5시부터 13일 자정까지 서울경기와 강원도 영서, 경상남도, 서해5도에 2060㎜,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제주도(산간 제외)에 1040㎜ 등이 더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 북부와 강원도 영서 북부, 제주 산간 등에는 100㎜ 이상이 내리는 곳도 있겠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