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원칙없는 구리시 행정

“이게 무슨 행정입니까.동네 자장면집도 이런 식으로는 장사하지 않을겁니다” 구리시 교문동 일대 교문사거리 주변 특정 건설업체의 주택건설사업계획(안)과 관련,시가 최근 당초 입장을 바꿔 10층 이하로 보완지시를 내린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비등해지고 있다. 시는 지난 5일 대동건설㈜이 신청한 평형별 지상 7~15층 4개 동 257가구분의 주택건설사업계획(안)에 대해 10층 이하로 층수를 조정하라고 지시했다. 시 관계자는 “교문사거리는 구리지역 관문이며 대표적 교통혼잡구간으로 고층아파트가 들어설 경우 새로운 주거환경문제가 우려돼 이처럼 보완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건설업체측의 편리를 봐주기 위한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으로 밖에 볼 수 없다는 지적이 적잖게 제기되고 있다. 시는 당초 지난해 9월 건축심의위원회를 열어 대동건설㈜이 신청한 평형별 17~22층 5개 동 242가구분의 공동주택건립(안)을 부결시키면서 5층 이하 저밀도로 계획하도록 보완 지시했다. 또 대동건설㈜에 대해 다시 건축심의를 신청하거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신청시 이같은 내용을 이행하거나 반영하도록 지시했다. 그런데도 이제 와서 이같은 사실을 간과한 채 10층 이하로 보완 지시한 건 한마디로 명백한 ‘봐주기’이며 일관성을 잃은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이라는 게 한결같은 여론이다. 시의 행정에는 원칙이 있어야 한다. 시는 건설업체의 목소리만 들리고 원칙은 아예 외면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구리=한종화기자 jhhan@kgib.co.kr

파주/혜음원지 국가문화재 만든다

고려시대 임시궁궐인 행궁(行宮)으로 추정되는 파주시 혜음원지(惠陰院址)가 국가문화재로 지정된다. 27일 시에따르면 30억원을 들여 광탄면 용미4리 혜음원지 9천475평에 대해 오는 2007년말까지 연차적으로 발굴 및 유적 정비사업 등을 벌인 뒤 국가문화재로 지정받아 보존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유적지내 사유지 9천491평을 매입하는 한편 오는 3월 3차 발굴조사에 착수하고 유적보존 설계용역도 발주할 예정이다. 추가 발굴작업에서 숙박시설기능을 담당했던 원(院)과 사(寺), 행궁(行宮) 등의 구역과 규모가 좀 더 명확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지난해 9월 경기도 문화재(181호)로 지정된 혜음원지를 가능한 연내 국가문화재로 격상시킬 계획이다. 혜음원지는 지난 2001년 8월과 지난해 8월 단국대 매장문화연구소(소장 박경식 교수)의 두차례 발굴조사 결과, “국왕 행차에 대비해 건립된 고려 행궁이 거의 확실하다”는결론이 내려졌다. 4천여평의 넓은 터에 궁궐 건축에서나 볼 수 있는 좌우대칭의 건물 구조와 일반인의 접근을 막기 위해 사방을 석축과 담장 등으로 폐쇄한 점 등이 근거로 제시됐으며 이는 사찰(혜음사)과 원(혜음원)만 있었다면 볼 수 없는 특수용도(행궁)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단은 특히 2차 발굴에서 출토된 ‘무신년(戊申年)’이란 명문 기와를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혜음사신창기’(惠陰寺新創記) 기록과 비교할 때 혜음사·원이 세워지고 6년 뒤인 1128년 행궁이 축조됐음을 확인시켜 주는 자료로 해석되고 있다. 혜음원지에선 두차례 발굴작업을 통해 다량의 귀목문 막새기와를 비롯, 잘 다듬어진 고급 평기와와 석제품 등이 출토됐으며 여행객들을 위한 세탁 및 목욕시설 등도 모습을 드러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클로즈업/일부시설물 '안전 문제' 노출

시흥시여성회관이 다음달 개관을 앞두고 있으나 수영장 천정 등 일부 시설들이 이용자들의 안전이 고려되지 않은 채 설치된 것으로 밝혀져 물의를 빚고 있다. 27일 시에 따르면 총사업비 106억원을 들여 정왕동 1800의7 일대 부지 2천여평에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천800여평 규모의 여성회관을 착공, 지난해 12월 준공, 다음달 개관할 계획이다. 그러나 시가 최근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수영장 천정부분이 강당 앞 광장과 수평이고 어린이들이 난간으로 쉽게 오르 내릴 수 있는데다, 건물 전체 창문의 폭이 넓고 투명한 유리가 끼워져 있어 통행시 부딪칠 우려를 안고 있는 등 안전사고에 사각지대로 노출되고 있다. 또 건물 3층 옥상 빈공간에 설치된 기계실의 차단시설이 필요하며 강당 옆 준비실 입구가 계단으로 돼 장애인 통행이 불가능하고 전체적으로 계단의 난간 폭이 넓은데다 벽과 벽 사이가 많이 떨어져 있어 취락 위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건물이 설계대로 지어 졌기 때문에 시공사의 하자 보수 대상은 아니다”라며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별도로 예산을 들여 보강공사를 하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시흥=이동희기자 dhlee@kgib.co.kr

연천/공공근로사업 대폭 축소

연천군의 공공근로사업과 관련된 예산이 대폭 줄면서 저소득층 주민들이 겨울철 생계 곤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7일 군과 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근로사업과 관련된 예산은 8억9천여만원으로 3만여명이 공공근로사업에 참여했으나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30% 수준인 2억7천여만원에 그쳐 올해 1차 공공근로사업에 40명만 참여하고 있으나 단순 노무직은 4명에 불과하고 36명은 실내에서 근무하는 전산요원으로 20~30대 젊은층만 근무하고 있다. 이때문에 단순노무로 생계를 유지하던 많은 저소득층 주민들은 소득원이 없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으며 생계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부가 심각한 젊은층 실업율을 해소하기 위해 숲가꾸기나 공원화사업 등 단순 노무직의 예산을 삭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주민 박모씨(62·연천군 전곡읍 은대리)는 “소득이 없어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공공근로사업과 관련된 에산이 크게 삭감돼 젊은이들만 공공곤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현실이 개선돼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긴축재정을 유지하기 위해 공공근로사업과 관련된 예산이 대폭 깎였다”며 “현재로선 예산이 없어 공공근로사업 수혜자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연천=장기현기자 khjang@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