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일산구 分區 일단 보류

고양시가 인구증가에 따라 일산구를 분구하려다 ‘일산’이란 명칭을 사용하지 못할 것을 우려한 주민들의 호된 반발로 잠정 보류하고 나섰다. 시 관계자는 3일 효율적인 자치행정을 위해 현재 ‘덕양구’와 ‘일산구’등 2곳에 불과한 일반구를 행정자치부의 승인을 얻어 내년 3곳으로 늘리고 인구가 1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는 2005년께는 4곳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구가 40만명을 넘은 일산구를 내년중 먼저 분구하고 오는 2005년께 덕양구를 분구할 계획을 세웠으며 지난달 중순부터 인터넷 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해 왔다. 인터넷 여론조사 결과, 1천230여명의 전체 응답자 가운데 67.4%가 분구에 찬성하고 32.6%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일산 일대를 ‘일산구’로 하고 일산신도시 지역은 별도의 이름을 새로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약간 우세했다. 그러나 분구 경계선을 정략적 목적에 이용하려는 정치인들의 주장이 다소 엇갈리고 분구 대상지역인 일산구 거주 주민들의 절반 가까운 49.5%가 분구를 반대했다. 또 분구를 찬성하는 주민들도 경계지역 분할을 어떻게 하고 어느 분할지역이 ‘일산구’명칭을 계속 사용할 것인가를 놓고 치열한 다툼을 벌이고 있다. 본일산을 비롯한 대다수 주민들은 ‘일산’이란 지명이 처음 사용된 일산1∼4동을 포함하는 구가 ‘일산구’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일산신도시에서 ‘이번 기회에 일산시로 독립하자’는 극단적 주장까지 제기되며 반대하고 있다. 이미 상품화된 ‘일산’이란 지명을 빼앗길 경우 아파트 시세 등 부동산값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추측성 소문이 나돌면서 시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논리와 해법 등은 없고 불만과 비난만 난무하는 글로 도배되고 있다. 이처럼 분구문제가 해법없이 연일 들끓자 강현석 시장은 지난 1일 일부 시의원과의 대화에서 “이렇게 문제가 커질지 몰랐다”며 “방책이 마련될 때까지 분구문제를 잠정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이기적이고 감정적인 주장만 난무, 분구가 지연되거나 백지화될 경우 주민 전체가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김포/김포시 불용예산 34%

김포시가 지난해 책정한 예산가운데 이월하거나 불용처리한 예산이 전체 예산의 3분의 1이 넘는 것으로 밝혀져 예산편성이 주먹구식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이다. 3일 시에 따르면 전년도 이월액 645억원을 포함한 지난해 총예산 3천318억원중 사용하지 않은 이월액이 전체 예산의 34%인 1천11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신규 사업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과다하게 예산을 책정하거나 업무 미숙과 여건 변화 등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이월되는 불용액이 400억원이 넘어 우선 예산을 확보하고 보자는 부서이기주의로 시급한 사업들이 제때 추진되지 못하는 결과를 불러오고 있다. 실제로 시민제안 우수자에게 지원되는 포상금 전액이 지급시기 예측 잘못으로 불용처리됐고 직원능력 개발을 위해 세웠던 5천100만원은 실수요 인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2천170여만원이 이월됐다. 또 통·리장을 통해 송달하기 위해 책정했던 지방세고지서 송달수당은 송달방법을 우편으로 전환면서 2천540만원이 불용처리됐다. 백남준 아트센터 건립을 위한 학술용역비 5천만원과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위해 확보한 2억원은 사업추진 자체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2년째 예산이 이월되는 등 사고나 계속, 명시이월되는 예산이 전체 이월금액의 36%를 차지해 예산이 사장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밖에 자체 사업 일반보상금으로 9천650만원이 책정됐던 새마을다짐대회와 자율방범대 체육대회비가 경상적경비 일반보상금으로 지출되는 등 예산편성은 물론 예산운영 등에도 문제점이 지적됐다. 김포시의회 이영우 의원(김포2동)은 “사업의 실효성 검토 없이 무조건 예산을 확보하고 보자는 잘못된 예산편성 관행으로 이같은 결과가 벌어자고 있다”며 “예산과 행정 등의 효율적 집행을 위해 현실에 맞게 사업을 수립,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권용국기자 ykkwun@kgib.co.kr

여주/대형화물차 주택가 ’밤샘주차’ 아찔

최근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여주지역 주택 및 아파트 주변 도로에서의 대형 화물차량 밤샘주차로 인해 각종 민원이 발생되고 있으나 당국은 단속을 외면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3일 군에 따르면 현행 ‘여객자동차운송사업법’과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등에 의해 2.5t이상 자가용 화물차, 영업용 화물차 및 버스 등은 처음 등록시 차고지 설치 확인서를 제출하고 이곳에만 주차해야 한다. 그러나 상당수 대형 차량들은 주차비 부담과 아침 출근때 번거롭다는 이유 등으로 신고한 차고지를 이용하지 않고 주택가나 아파트 주변 이면도로에 주차하고 있다. 실제로 여주군 여주읍 하리와 홍문리 H아파트 주변 이면도로와 주택가 등에는 밤마다 수십대의 화물차들과 버스들이 밤샘주차를 하고 있고 가남면 태평리 중심 이면도로 주변에도 대형 화물차량들의 불법 주차로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다. 사정은 이런데도 여주군에 화물차량들의 주차장으로 신고된 주차장에는 정작 화물차량들을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주차요금 부담과 함께 주차장 사업주에게 주차요금을 1개월 선불로 주고 차고지확인서만 발급받아 군청에 서류만 제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 이모씨(53·여주군 여주읍 상리)는 “대형 덤프 트럭들이 주택가 곳곳에 주차돼 있어 운전자의 주변 시야를 가려 갑자기 뛰어나온 아이들과 어른들로 인해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며 “이들 차량들의 주차행위를 강력히 단속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 대형 차량들의 주택가 골목길 등의 주차행위 단속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 불법 주차행위에 대한 신고를 받을 경우에만 단속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밝혔다. /여주=류진동기자 jdyu@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