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해병대 초소서 총기난사…5명 사상

26억 예산까지 받은 '구명조끼'사업 결국 꽝?

'천안함 사건' 뒤 해군이 조난당한 승조원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무선인식 구명조끼를 보급하려고 나섰지만 사실상 무산 위기에 놓였다. 해군은 지난해 9월 '조난자 무선식별 송수신기' 시범사업을 2,4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추진했다. 무선인식 구명조끼는 조끼에 부착된 송신기로 구조요청을 보내면 함정에 설치된 수신기에 조난된 승조원의 인적 사항과 GPS위치가 표시되는 장비다. 이 사업은 천안함 사건 당시 함미 발견이 지연되면서 실종된 46명의 구조작업이 늦어졌다는 지적과 해군 고속정 인명피해 사고가 잇따르면서 이슈가 되기 시작했다. 특히 함정에 승선하는 1만여명 전원에게 무선인식 구명조끼를 지급할 수 있는 26억원의 예산까지 배정받은 상태다.그러나 도입 여부를 놓고 해군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해군은 당초 입찰 과정에서 조끼에 달린 송신기에 100% 방수 성능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수심 100m 이상 방수를 지원해야한다고 변경했다. 해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100% 방수 제품을 만들기에는 기술적인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하지만 정작 시범사업에서 낙찰된 제품은 수심 1.2m 이상의 깊이에서는 견디지 못했다.시범운영 결과도 낙제점에 가까웠다. 해경 관계자에 따르면, 물을 잘 통과하지 못하는 무선데이터통신 방식이 높은 파도가 치는 해상에서는 가시거리 안에서도 송수신이 잘 되지 않는다.해군이 입찰 당시 요구한 기술자료에는 송수신기 통달거리가 15km 이상이어야 한다고 적시돼 있다.또 조난을 당한 승조원이 수동으로 조난신호를 보내야해 의식을 잃거나 저체온증에 걸릴 경우 써보지도 못할 가능성도 높다. 이렇게 되자 해군은 시범사업을 사실상 실패로 결론짓고, 지난 6월말까지 관련업체들에게 문제점을 보완할 기술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에 시범사업을 진행했던 업체가 보완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보냈다. 업체가 보완이 가능하다고 자신하는 마당에 아니라고 할 수 없어 기회를 더 주기로 했지만 해군 스스로도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향후 성능 테스트를 통해 도입 여부를 결정하겠지만 이미 시범사업에 실패해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지 의문이라며 정치권과 여론에 밀려 도입해 봐야 예산만 낭비하는 꼴라고 말했다. 특히 "해군은 앞서 지난 2008년 5월 2함대 주관으로 소이작도 해상에서 관련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 적이 있어 기술적 한계를 이미 알고 있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결국 무선인식 구명조끼의 도입을 차일피일 미뤘다는 여론과 국회의 질타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낮은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아덴만 작전 성공, 철저한 사전준비 덕분”

지난 1월 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된 삼호주얼리호선원 구출 아덴만 여명 작전을 이끈 청해부대 6진 최영함 함장 조영주 대령은 작전의 성공 원인은 철저한 사전 준비 때문이라고 밝혔다.조 함장은 30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열린 희망의 경기포럼에서 청해부대의 해적소탕활약상과 바다수호의 중요성이라는 주제의 특강을 통해 우리 해군의 연혁과 소말리아 해적 현황, 청해부대의 역할 등을 설명하고 해양입국을 강조했다.조 함장은 1990년 작전관으로 초라한 1천800t급 호위함을 끌고 하와이에서 열린 림팩훈련에 첫 참가, 선진국 해군의 대형군함에 주눅이 들었던 경험을 설명하고 20년 만에 이지스함과 2만t급 독도함을 갖춘 우리 해군의 눈부신 성장을 설명했다.그는 특히 아덴만 여명 작전의 성공에는 외국 해군과의 공조체계 강화 등 철저한 사전준비가 바탕이 됐다고 설명했다.조 함장은 청해부대 6진으로 파견되며 삼호드림호와 같은 상황에 대비해 의약품을 충분히 준비했고 각종 장비를 보강, 최고 속력 30노트의 최영함으로 450시간 전속력 항해를 한 적이 있다고 했다.또 미국 항모 지휘관에 편지를 써 최영함으로 초청하는 등 협조체계를 갖춘 끝에 아덴만 여명 작전 당시 미 해군 F-16 전투기가 곧바로 출격할 수 있었다고 했다.김문수 경기지사는 아덴만 여명작전이 끝난 직후인 지난 1월22일 조 함장에 위성전화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후예인 대한민국 해군의 용기를 만천하에 알릴 수 있게 돼 자랑스럽다고 격려한 바 있다.김동식기자 dsk@ekgib.com

“서해의 영웅들 잊지 않으리”

제2연평해전 9주년 기념식이 29일 해군2함대사령부 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됐다.전사자들을 위로하듯 폭우가 내리는 가운데 김황식 국무총리가 주관한 이날 기념식에는 전사자 유가족과 승조원, 정부 주요인사, 각계대표, 시민 등 2천여명이 참석했다.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의 도발을 상기하고 희생 장병의 뜻을 되살리자는 의미에서 열린 이날 기념식은 희생으로 지킨 영해, 더 큰 대한민국으로의 도약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국민의례, 헌화 및 분향, 영상물 상영, 기념사, 기념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김 총리는 기념사에서 제2연평해전은 서해 북방한계선을 사수하기 위해 우리 해군 장병이 북한 함정의 도발을 온몸으로 막아낸 승리의 해전이라며 우리의 바다를 침범한 북한의 선제 기습 공격에 맞서 우리 영해를 한 치도 넘보지 못하게 하겠다는 결연한 의지와 위용을 보여준 자랑스러운 역사라고 말했다.2002년 6월29일 연평해전 당시 우리 고속정은 북한 경비정을 응징하고 퇴각시켰으나 이 과정에서 윤영하 소령 등 6명이 전사하고 18명이 부상했다.한편, 이날 식후에는 연평해전,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 도발에 관한 자료를 전시한 서해 수호관 개관식을 갖기도 했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ekgib.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