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제55사단 쌍마부대 기동중대 장병들

생활고를 비관, 자살하려던 실직자를 군부대 장병들이 구조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주민들의 칭송을 받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육군 55사단 예하 쌍마부대 기동중대 장병들. 이 부대 장병들은 지난달 22일 오후 2시25분께 이천시 백사면 경사리 이장 이명섭씨(55)로부터 실직이후 우울증에 시달려오던 마을 주민 이모씨(56)가 새벽녁 집을 나선 뒤 오후가 지나도록 소재지를 알 수 없다는 실종신고를 부대 무전기를 통해 접수했다. 자살이라고 직감한 장병들은 곧바로 원적산 수색에 나섰다. 수색활동이 이뤄진지 30여분, 원적산 깊숙한 야산 계곡에서 밧줄로 목을 맨채 탈진해 있는 이씨를 발견했다는 무전이 긴급 타전됐다. 부대 장병들은 사고 현장에 신속히 투입됐고 기적적으로 이씨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평소 자상한 가장에 성품 또한 성실해 이웃 주민들의 부러움을 한몸에 받아온 이씨는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다니던 직장을 그만둔 후 우울증에 시달려오다 이날 자살을 결심하고 원적산에 올라 목을 맨 것으로 밝혀졌다. 이명섭씨는 “산세도 험하고 죽으려고 사라진 사람을 찾을 수 없어 절망적이었는데 군인들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져 천만 다행”이라며 “한 사람의 생명을 위해 노고를 마다않은 부대와 장병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쌍마부대 박환수대령(49)은 이날 사고현장을 최초 목격, 이씨의 생명을 구한 우제현병장(25)에게 포상을 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gib.co.kr

경기·인천 검찰 고위직인사 프로필

▲권태호 인천지검 1차장검사 신설된 인천지검 2차장으로 근무하다 1차장으로 부임. 온화한 성품으로 조직내 신망이 두터우나 일처리에 있어서는 빈틈이 없다는 평. 충북 청원출생으로 청주대를 졸업한뒤 제19회 사시에 합격, 서울지검 동부지청, 서울지검, 서울지검 남부지청, 대검찰청 공안2과장 등 검찰내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취미는 바둑과 테니스. ▲김태현 2차장검사 일처리가 깔끔하지만 성격이 좋아 검찰내 선·후배들로 부터 신망이 두텁다는 평. 대구 출신으로 경북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으며 80년 육군법무관을 지낸 뒤 서울지검, 대구지검 검사와 대검과학수사지도 과장, 서울지검 남부지청 형사5부장, 울산지검 차장검사를 역임. 지난 93년 인천지검 특수부장을 지내 이번 인천 근무가 두번째. ▲임안식부천지청차장 직원 동우회까지 직접 챙기는 자상하고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이면서도 강력사건에 빈틈없는 강력수사통. ▲서울(47) ▲경기고·서울법대 ▲사시 21회(사법연수원11기) ▲부산·서울지검검사 ▲대전지검강경·광주지검순천지청장 ▲부산지검강력부장 ▲서울지검서부지청형사2부장 ▲창원지검 통영지청장. 황진옥여사(45)와의 사이에 1남1녀. 취미는 테니스와 등산 ▲정진호부천지청장 일반형사사건을 주로 담당해왔으며 온화한 성품에 합리적이고 빈틈없는 업무추진력을 갖춰 검찰내 신망이 두텁다는 평. ▲전북익산(47) ▲서울 용산고·고대법대 ▲사시 19회(사법연수원9기) ▲수원·대전·서울지검검사 ▲전주·수원·서울지검남부지청 부장검사 ▲군산지청장 ▲동부지청 차장검사. 가족으로 2남을 두고 있으며 취미는 테니스와 탁구. ▲강충식 성남지청장(검찰) 누구와도 격의없이 어울리는 성격이지만 일처리는 다부지고 매끄럽다는 평.전남 광주 출신인 강지청장은 광주제일고를 졸업, 지난 77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사시 19회. 서울지검, 제주지검, 서울지검 동부지청, 서울지검 북부지청 고등검찰관, 전주지검 정주지청장, 광주지검 수사부장, 법무부 기획과장, 광주지검 순천지청장, 서울지검 남부지청 차장검사를 역임. 취미는 테니스와 바둑. ▲김상우 여주지청장(검찰) 공과 사가 분명하고 일처리에 소홀함이 없는 원칙주의자라는 평.서울 출신으로 장충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을 수료했으며 지난 86년 제28회 사시로 법조계에 입문.부산지검, 춘천지검 강릉지청, 법무부 검찰 제1과, 서울지검 등을 거쳤으며 지난 95년에는 인천지검 부천지청 검사로 경기도와 인연. ▲문성우의정부지청 차장검사 전남 광주출신으로 서울대 법대와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지난 1979년 사시 21회로 법조계에 입문. 서울지검 남부지청검사를 시작으로 광주지검 공안부장, 대검기획과장, 법무부 검찰 1, 3과장, 등을 역임. 대인관계가 원만해 상·하관계가 좋으며 미국 워싱턴대를 수학하는 등의 학구파로 검찰의 엘리트코스를 밟고있는 검찰의 차세대 주자. ▲신상규 성남지청 차장(검찰) 투박한 인상이지만 분석력이 뛰어나고 뒤끝이 없는 호방한 성격에 매사 선이 굵은 덕장형. 철원출신으로 72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뒤 79년 사시 21회로 법조계에 입문. 전주지검 군산지청과 광주지검 순천지청, 서울지검 검사를 거쳐 춘천지검 강원지청장, 대전지검 수사부장, 서울지검 형사4부장, 광주지검 목포지청장을 역임. 지난 95년 수원지검 강력부장으로도 재직했으며 취미는 등산. ▲의정부 지청장 신언용 전남 영광출신으로 경기고, 서울대법대를 졸업한 사시18회 출신.지난 1978년 서울지검 검사를 시작으로 수원지검 형사1부장, 서울지검 서부지청 형사1부장, 대구지검 경주지청장, 광주지검 차장검사, 부산지검 1차장등을 역임. 밝은 법무행정에 예리한 통찰력까지 갖춰으며 직원들로부터는 성품이 곧고 인자한다는 평. ▲이훈규 수원지검 2차장(검찰) 호탕하지만 다정다감하지만 일처리는 끊고 맺음이 분명한 스타일인 이 차장검사는 프랑스 국립사법학교때 ‘프랑스 사법제도론’논문을 제출한 학구파. 연세대 법대를 졸업 지난 78년 제20회 사시에 합격해 서울지검 남부지청, 대전지검 홍성지청, 부산지검, 대전지검 공주지청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실장, 법무부 검찰 1과장, 대검 중앙수사 1과장, 대전지검 차장검사를 역임. 취미는 테니스. ▲정구환 수원지검 1차장(검찰) 합리적인 성격으로 상하관계가 원만하고 부하직원에 대한 애정이 남달라 맏형으로 통한다. 인천출신인 정차장은 경기고,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지난 77년 제19회 사시로 법조계에 입문. 프랑스 국립사법관학교를 수학하고 서울지검 동부지청, 대검 검찰연구관, 서울지검 고등검찰관, 광주지검 해남지청장, 서울 서부지청 의정부지청 차장, 광주지검 차장검사를 역임. 취미는 테니스와 여행. ▲평택지청장 최진안 후덕한 인상처럼 격의 없이 어울리는 성격으로 공사가 분명하다는 평.스페인 마드리드대를 졸업시 ‘스페인 검찰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논문 발표. 전남 완도 출생인 최지청장은 광주상고와 성대 법정대를 졸업, 80년 22회 사시로 법조계에 입문. 부산지검, 광주지청 장흥지청, 서울지검 북부지청, 광주지검 해남지청장, 대검 공판공무과장, 서울지검 형사 6부장을 역임. 취미는 등산.

법무부 인사

<법무부> ▲공보관 徐宇正 ▲법무심의관 鄭基勇 ▲법무과장 文章雲 ▲국제법무과장 李盛圭 ▲송무과장 吳秉周 ▲인권과장 廉雄澈 ▲특수법령과장 金濟植 ▲법조인력정책과장 崔敎一 ▲검찰1과장 黃希哲 ▲검찰2과장 李仁圭 ▲검찰3과장 金學義 ▲검찰4과장 成永薰 ▲관찰과장 黃仁政 ▲검찰국 검사 柳在晩 <법무연수원> ▲기획과장 黃丙敦 ▲기획부 교수 白種琇 金光巖 <사법연수원> ▲교수 孫聖鉉 丁滿鎭 柳在祐 辛鍾大 李孝鎭 金炳華 李鴻勳 金相道 李柱雄 白찬河 <대검> ▲공보담당관 李重勳 ▲범죄정보기획관 安永昱 ▲범죄정보1담당관 金鎭太 ▲수사기획관 明東星 ▲공안기획관 朴 滿 ▲기획과장 安昌浩 ▲과학수사과장 李昌世 ▲중수2과장 閔有台 ▲중수3과장 金俊鎬 ▲컴퓨터수사과장 愼鏞侃 ▲형사과장金正必 ▲환경보건과장 孫昌烈 ▲강력과장 李載沅 ▲마약과장 蔡東旭 ▲공안1과장金英漢 ▲공안2과장 朱哲鉉 ▲공안3과장 韓明官 ▲공판송무과장 安在克 ▲감찰1과장申東熙 ▲연구관 申勁植 金熙官 徐昌熙 李永烈 <서울고검> ▲형사부장 安大熙 ▲공판부장 鄭東基 ▲송무부장 具本盛 ▲검사 申健洙 金泳哲 文永晧 金鍾吉 周盛源 徐泰慶 朴鐘鹿 權在珍 全昌鍈 朴商玉 沈璋壽 申炳秀 金佑卿 宋明錫 金東燦 姜永權 宋在洋 崔永權 韓昌錫 李富榮 金德載 吳圭珍 康東元 <대전고검> ▲검사 李東기 曺大煥 尹贊燮 朴魯貞 皇甫仲(헌재파견) 梁炳鍾 <대구고검> ▲검사 金鈺哲 李昌福 朴鍾淳 鄭澤和(헌재파견) 朴章洙(공정위파견) 孫淳爀 <부산고검> ▲검사 秋昊卿 李騰遠 崔槿瑞 金時振 金永欽 張容碩(헌재파견) 金鐘魯 張仁鍾 <광주고검> ▲검사 黃榮九 李相燾 趙基善 李在淳 金憲政 具滋熙 <서울지검> ▲1차장 申泰暎 ▲2차장 林采珍 ▲3차장 朴相吉 ▲총무부장 辛南奎 ▲공안1부장 千成寬 ▲공안2부장 朴澈俊 ▲형사2부장 愼滿晟 ▲형사3부장 金尙鳳 ▲형사4부장 朴璟淳 ▲형사5부장 朴漢徹 ▲형사6부장 魯相均 ▲형사7부장 金允聖 ▲형사8부장 韓相大 ▲형사9부장 鄭鎭永 ▲형사10부장 孔聖國 ▲소년부장 朴泰錫 ▲특수1부장 朴榮琯 ▲특수2부장 朴用錫 ▲특수3부장 車東旻 ▲조사부장 金學根 ▲강력부장 金圭憲 ▲마약수수부장 鄭善太 ▲외사부장 朴永烈 ▲컴퓨터수사부장 黃敎安 ▲공판1부장 尹晶石 ▲공판2부장 金鍾榮 ▲부부장 任正赫 李建리 金敬洙 趙斗暎 崔在卿 李承燮 洪滿杓 權性東 曺成旭 韓武根 林相吉 姜景弼 魏聖雲, 趙柱太, 李光洙 <서울지검 동부지청> ▲지청장 林承寬 ▲차장 鄭現太 ▲형사1부장 朴成得 ▲형사2부장 李正喜 ▲형사3부장 趙漢旭 ▲형사4부장 李完洙 ▲형사5부장 尹在隆 ▲형사6부장 盧丸均 ▲부부장 林武永 <“ 남부지청> ▲지청장 洪錫肇 ▲차장 徐州洪 ▲형사1부장 朴泰奎 ▲형사2부장 崔光太 ▲형사3부장 許益範 ▲형사4부장 宋珉虎 ▲형사5부장 李 三 ▲형사6부장 林成德 ▲부부장 李銀重 安熙權 <인사> 법무부-2 <성남지청> ▲지청장 姜忠植 ▲차장 申相圭 ▲부장 鄭鎭國 李學成 <여주지청> ▲지청장 金相佑 <평택지청> ▲지청장 崔珍安 ▲부장 朴文鎬 <춘천지검> ▲차장 姜大錫 ▲부장 金鍾律 <강릉지청> ▲지청장 金鍾仁 ▲부장 朴性載 <원주지청> ▲지청장 宋讚燁 <속초지청> ▲지청장 李光珩 <영월지청> ▲지청장 鄭倫基 <대전지검> ▲차장 慶大秀 ▲형사1부장 曺正煥 ▲형사2부장 林春澤 ▲형사3부장 李慶在 ▲공안부장 李龍勳 ▲특수부장 李忠浩 <홍성지청> ▲지청장 林貞洙 ▲부장 金富埴 <공주지청> ▲지청장 吳世寅 <논산지청> ▲지청장 文武一 <천안지청> ▲지청장 李俊甫 ▲부장 鄭大杓 李健周 <청주지검> ▲차장 文孝男 ▲부장 董賢哲 李豪哲 <충주지청> ▲지청장 尹振源 <제천지청> ▲지청장 金南出 <영동지청> ▲지청장 邊瓚雨 <” 북부지청> ▲지청장 洪景植 ▲차장 李承玖 ▲형사1부장 趙祐鉉 ▲형사2부장 成允煥 ▲형사3부장 鄭明鎬 ▲형사4부장 李載芳 ▲형사5부장 趙東奭 ▲형사6부장 朴基俊 <“ 서부지청> ▲지청장 高永宙 ▲차장 丁炳旭 ▲형사1부장 李鎬承 ▲형사2부장 申培植 ▲형사3부장 尹亨模 ▲형사4부장 李文鎬 ▲형사5부장 李春盛 ▲부부장 朴贊烘 盧明善 < ” 의정부지청> ▲지청장 申彦茸 ▲차장 文晟祐 ▲형사1부장 朴光雨 ▲형사2부장 金振吾 ▲형사3부장 金泰熙 ▲형사4부장 曺圭弘 ▲형사5부장 李東浩 ▲부부장 鄭炳昰 <인천지검> ▲1차장 權泰鎬 ▲2차장 金泰賢 ▲형사2부장 金光魯 ▲형사3부장 金正基 ▲형사4부장 李健鍾 ▲형사5부장 成始雄 ▲공안부장 李權載 ▲특수부장 尹錫萬 ▲조사부장 玉俊原 ▲강력부장 元聖竣 ▲공판송무부장 鄭柄大 <“ 부천지청> ▲지청장 鄭振昊 ▲차장 林安植 ▲부장 宋海은 <수원지검> ▲1차장 鄭求桓 ▲2차장 李勳圭 ▲형사1부장 金鎭泰 ▲형사3부장 曺正煥 ▲형사4부장 崔燦永 ▲형사5부장 具本敏 ▲형사6부장 宋基五 ▲공안부장 姜益中 ▲특수부장 金敏宰 ▲조사부장 車有炅 ▲강력부장 金洪一 ▲공판송무부장 鄭成福 <인사> 법무부-3(끝) 대구지검> ▲1차장 金龍鎭 ▲2차장 鮮于泳 ▲총무부장 吳世俓 ▲형사1부장 曺永秀 ▲형사2부장 宋承燮 ▲형사3부장 朴承魯 ▲형사4부장 李東鎬 ▲형사5부장 鄭炳斗 ▲특수부장吉兌基 ▲조사부장 李光載 ▲강력부장 李得洪 ▲공판부장 朴海雲 <안동지청>▲지청장 金周賢 <경주지청> ▲지청장 閔忠基 ▲부장 魯東表 <포항지청> ▲지청장 金秀敏 ▲부장 李梓愚, 閔弘準 <김천지청> ▲지청장 李翰成 ▲부장 崔振奎 <상주지청> ▲지청장 徐範政 <의성지청> ▲지청장 姜燦佑 <영덕지청> ▲지청장 李義景 <부산지검>▲1차장 李炳基 ▲2차장 金仁鎬 ▲총무부장 河洪植 ▲형사1부장 梁宗模 ▲형사2부장金成贊 ▲형사3부장 河宗鐵 ▲형사4부장 李東根 ▲공안부장 崔燦默 ▲특수부장 金弼圭 ▲조사부장 李基範 ▲마약수사부장 南基春 ▲공판부장 吳世範 <부산동부지청> ▲지청장 金熙玉 ▲차장 金明振 ▲형사1부장 金寧昱 ▲형사2부장 金根洙 ▲형사3부장 朴民鎬 <울산지검> ▲차장 朴允煥 ▲형사1부장 宋官鎬 ▲형사2부장 李鍾煥 ▲형사3부장 安源植 ▲공안부장 朴淸洙 ▲특수부장 鄭然埈 <창원지검> ▲차장 金畯圭 ▲형사1부장 朴洪洙 ▲형사2부장 朴商宇 ▲형사3부장 李馨振 ▲공안부장 金東滿 ▲특수부장 文奎湘 <진주지청> ▲지청장 李迎雨 ▲부장 河萬碩 <통영지청> ▲지청장 郭茂根 ▲부장 車東彦 <밀양지청>▲지청장 朴忠根 <거창지청> ▲지청장 金海洙 <광주지검> ▲차장 夫奉勳 ▲형사1부장 朴鍾丸 ▲형사2부장 金源閏 ▲형사3부장 金興勉 ▲공안부장 金秀南 ▲특수부장 金賢雄 ▲조사부장 金文坤 ▲강력부장 李俊勳 <목포지청> ▲지청장 金成準 ▲부장 趙顯淳 <장흥지청> ▲지청장 李기東 <순천지청> ▲지청장 李福泰 ▲부장 孫基浩, 梁普承 <해남지청> ▲지청장 吳광洙 <전주지검> ▲차장 李鳳熙 ▲부장 高建鎬, 崔載禎 <군산지청> ▲지청장 李德善 ▲부장 朴英根, 李章洙 <남원지청> ▲지청장 金鎭台 <제주지검> ▲차장 鄭陳燮 ▲부장 申炫秀, 鄭東敏 ▣ 검사 신규임용(3명) <서울지검> ▲형사1부장 李貴男 <서산지청> ▲지청장 趙應天 <정읍지청>▲지청장 朴埈孝

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 문동민씨

“의지할 곳 없는 노인들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죠”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에서 설렁탕집을 운영하는 문동민 사장(43)이 4일 자비로 관내 노인 2천여명에게 설렁탕을 대접, 경로효친사상의 귀감이 되고 있다. 문사장은 이날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안양시 동안구지회 소속 109개 노인정 2천여명의 노인을 자신의 설렁탕집으로 초청, 경로잔치를 베풀어 주었다. 이날 경로잔치에는 사골 300㎏, 소고기 300㎏, 수박 150통, 쌀 3가마, 타올 2천장, 음료수 2천병 등 엄청난 물량이 투입됐다. 문사장은 “업소앞에 커피자판기를 설치해 1년동안 거둔 수익금 20만원으로는 노인들을 모시기 어려워 식당을 운영해 얻은 수익금을 주민들에게 돌려주자는 취지에서 이날 경로잔치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안양시 개인택시조합원들이 자원해서 노인들의 수송을 맡는등 문사장의 선행을 돕는 온정이 잇따랐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임춘식 할아버지(77·안양시 동안구)는 “오랫만에 설렁탕도 대접받고 흥겨운 노래도 부르니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주변에서 많은 도움을 주어 너무 고맙다” 는 문사장은 “이같은 행사가 자주 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양=홍성수기자 sshong@kgib.co.kr

매향리 미군사격장 주민대책위 전만규 위원장

“매향리 투쟁은 집단 이기주의가 아니라 반세기동안 미군 전폭기의 폭격훈련에 희생을 강요당해 온 주민들이 진정한 삶을 되찾기 위해 몸부림치는 자유와 평화의 절규입니다” 매향리 미군사격장 철폐를 위한 주민대책위원회 전만규 위원장(45). 그가 미군사격장 문제와 인연을 맺은 것은 십수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십년간 매향리 상공에서 펼쳐지는 미군 전폭기들의 폭격훈련과 기총사격으로 인해정신적 불안감을 극복하지 못한 부친의 돌연한 자살과 아이들의 끊임없는 비명은 그를장고(長考)의 터널속으로 몰아 넣었다. 88년6월부터 본격적으로 매향리 사격장 문제해결을 위해 전면에 나선 전 위원장은 가정도 팽개친 채 주민들의 생존권을 지켜야 한다는 집념을 불태우며 지금까지 14년간국가와 미군을 상대로 폭격소음 피해배상과 사격장 철폐를 위해 고단한 몸을 추스리며싸우고 있다. 지난해 5월8일 미군 전폭기의 오폭사고가 매향리 사격장 문제의 발화점으로 분출하면서 70여회의 집회에 참석한 연인원만도 무려 5만여명에 달한다. 주민들은 물론 종교계, 대학생, 노동단체, 환경단체 등이 전 위원장을 지지하며 미군 전투기의 폭격훈련에 따른 주민들의 집단피해를 법정으로 몰고 가 결국 사법부가 지난 4월 국가에 배상책임을 묻게 했다. 지난해 6월 군사시설보호법 등 위반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던 전씨. 그러나 그는 지난달 30일 서울고법에서 선고유예 판결을 받고 자유의 몸이 됐다. 특히 재판부는 이번 판결에서 불평등한 SOFA(한미행정협정) 규정이 유리하게 개정될수 있었던 것은 전 위원장의 공이 컸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3월 막내아들(3)과 함께 삭발식을 거행하며 매향리 문제는 기필코 수십년간 고통받아 온 주민들이 생존권과 정당한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투쟁할 것을 다짐했다”며 “이제는 가정으로 돌아가 물고기와 조개를 잡으며 하늘이 내려준 천직을 벗삼아 삶을 여미고 싶다”고 전 위원장은 말했다. /화성=조윤장기자 yjch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