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통상진흥원(진흥원)은 각종 해외전시회에 참가하는 지역 중소기업들에게 참가비용을 지원한다.중소기업이 개별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해외전시회에 대해 부스임차료, 장치비, 전시품운송비 등 소요실비를 기업 당 500만원까지 지원해준다.각 중소기업이 업종과 목적에 맞춰 선호하는 전시회 참여가 가능하고 직접 해외전시회로 나가 세계 각지의 바이어를 한 자리에 만날 수 있어 보다 실질적인 상담이 가능하다.진흥원은 올해는 160여곳이 신청, 이 가운데 62곳에 대해 지원해줘 3천692건 8천563만달러 규모의 상담실적을 올렸다.현장 계약은 675만달러를 기록했으며, 향후 계약 예상액은 3천88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올해 참가지원을 받은 ㈜임산업은 파워드믹서와 스피커 등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 독일 애너하임 남쇼(NAMM)에 참가해 63건 160만달러의 수출상담을 진행, 16건 100만달러의 현지계약을 체결했다.진흥원 관계자는 지역 중소기업들이 우수한 기술을 갖추고도 해외 전시회로 쉽게 나가지 못해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들이 많아 내년에는 70여곳으로 지원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중소기업중앙회 인천본부는 29일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고용 신청을 접수받는다고 밝혔다.대상은 피고용보험 1명 이상 제조업체로 최근 6개월 이내 생산직 감원이 없어야 하고 고용노동부 워크넷에 내국인 구인광고를 14일 이상 게재한 이력이 있어야 한다.외국인 근로자를 활용하고 있는 사업장은 외국인근로자 출국만기보험, 임금체불보증보험, 4대보험 등에 대한 가입여부를 확인받아야 한다.홈페이지(kbiz.or.kr/branch/in)에서 신청서류(외국인고용허가신청서 위임장 업무대행계약서)를 내려받은 뒤 팩스(032-437-8708435-3697)로 보내거나 외국인고용 담당자(032-437-8703)에게 전화로 문의하면 가능하다.중소기업중앙회 인천본부 관계자는 올해보다 내년에는 외국인 근로자 규모가 다소 늘어 중소기업 인력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분기별로 채용할 수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정해져 있는만큼 서둘러 신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인천지역 소비지심리지수가 상승세에서 하락세로 돌아서며 한해를 마무리했다.29일 한국은행 인천본부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달 보다 2p 떨어진 114를 기록했다.전국 소비자심리지수는 1p 하락, 109를 기록했다.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현재생활현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등은 모두 지난달보다 다소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취업기회전망은 30대 이하 연령층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크게 늘면서 지난달보다 하락(10397), 향후 취업기회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보였다. 금리수준전망(125130) 및 물가수준전망(136138) 등은 모두 기준치를 크게 웃돌았다.현재가계부채지수는 107에서 103으로 떨어졌고 자산가치전망지수는 모두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인천지역이 전국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역 주택수는 83만7천가구로 이 가운데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71만4천여가구로(85.3%)로 집계됐다.공동주택 비율만 놓고 보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지난 2005년보다 늘어난 11만3천가구 중에서도 공동주택 비율이 99.1%(11만2천가구)에 이른다.인구는 263만8천여명으로 지난 2005년보다 10만6천명(4.2%) 늘어 서울부산 등 7대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이 증가했다.전체 가구수는 92만가구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20.1%가 1인 가구로 조사됐다.경기도(19.5%)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낮다.국내 전체 인구는 4천821만9천명으로 2005년 4천727만9천명보다 94만명(2.0%) 늘었고 성별로는 남성 2천404만5천명, 여성 2천417만4천명 등을 차지했다.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천127만명(23.4%)으로 가장 많고 서울 970만8천명(20.1%), 부산 340만3천명(7.1%), 경남 315만4천명(6.5%) 등이었다.수도권 인구는 2천261만6천명으로 지난 2005년보다 85만명(3.7%) 늘어 전체 인구의 49.0%를 차지했다.통계청은 서울에서 빠져나오는 인구가 인천경기지역으로 유입돼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7대 특광역시 인구는 2천224만명(46.1%)으로 9천명 줄었고 특광역시 자치구 69곳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송파구(64만1천명)로 조사됐다.전체 가구수는 1천733만4천가구로 144만7천가구(9.1%) 늘었고 가구원수는 2.67명으로 0.21명 줄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인천경제청 효율적 개발 읍참마속 심정으로 결정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영종지구 계획 미수립지와 인천국제공항시설 일부가 경제자유구역에서 해제돼 영종지구 개발 차질과 일부 주민들의 재산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인천경제유구역청은 지식경제부가 그동안 경제자유구역 해제를 요구한 영종지구 계획 미수립지와 인천국제공항, 용유무의지구, 영종하늘도시, 청라지구 등 5곳 가운데 영종지구 계획 미수립지 1천180만㎡와 인천국제공항지역 2천81만㎡ 등 2곳을 해제하고 나머지 3곳은 존치키로 합의했다고 28일 밝혔다.이번 해제로 계획 미수립지는 해제 지정 고시를 거쳐 내년 2월 일반지구로 전환되고 당초 예정됐던 투자유치 용지 30%가 없어져 기업 유치가 불가능해진다.영종지구 중심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계획 미수립지가 경제자유구역에서 빠지면서 지리적 개발 균형이 무너지는데다, 해외 투자시장의 우려도 피할 수 없어 영종지구 개발사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환지방식 등 민자개발사업으로 개발될 수 밖에 없어 난개발이 우려되는데다, 지난 7년 동안 보상을 기다려며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했던 일부 토지주들의 재산 피해도 불가피하다.특히 영종하늘도시 등 인근 개발사업이 도시 규모 축소에 따른 토지와 아파트 분양 어려움으로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계획 미수립지 내 과다 지장물 보상비가 수조원에 달해 정상적인 경제자유구역 개발 가능성이 낮은데다 재산권 행사 제한에 따른 민원 등을 감안, 해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해제 지역에 대해선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거나 도시개발 사업구역으로 지정, 개발하는 방식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이종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아쉬운 점이 없지 않지만 더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결정했다며 지식경제부는 이번 조치와 함께 경제자유구역 내 주거비율 조정과 토지이용계획 자체 적용 가능 등 각종 행정 지원을 해주기로 약속,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ekgib.com
국내 매립가스 자원화기술이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환경부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공사)는 환경 연구 및 개발(R&D)을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수도권매립지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킨 매립가스 발전 및 청정개발체제(CDM) 사업과 관련, 중국 스촨성(四川省) 녹주집단과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 28일 현지에서 기공식을 가졌다.이 사업은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시에 위치한 장안매립장에 200억원을 들여 8.4㎿급 발전시설을 건설하고 12년 동안 운영하는 프로젝트로 매립가스 발전시설로는 중국 최대 규모.공사를 비롯해 산업은행, 한양ENG, 리텍솔루션 등이 참여하는 한국컨소시엄은 앞으로 12년 동안 발전시설 운영을 통해 전기판매 수익 714억원과 탄소배출권(CER) 600억원 등 1천300억원 상당의 운영수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침출수 처리시설과 차수막 시설을 갖춘 위생매립장으로 하루 6천500t의 생활폐기물을 매립(부지면적 31만㎡ 오는 2012년 매립완료 예정)하고 있는 쓰촨성 청두시 장안매립장은 이번 사업으로 쓰촨성 내 매립장 10여곳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환경부는 앞으로 이 사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공사의 전문 인력들을 쓰촨성에 파견, 공사의 앞선 기술과 경험 등을 중국에 전수할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중국 내 유사 매립장들과 베트남 등 주변 국가들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박혜숙기자 phs@ekgib.com
내년에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된다.인천시는 그동안 하수도 사용료 등 공공요금 인상 억제로 재정 부담이 가중된다고 판단, 내년부터 지방공공요금을 올리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시는 하수도 사용료 인상 억제에 따라 적자 504억원을 보고 있다.시는 이에 따라 하수도 가정용 사용료의 경우 현재 6천300원에서 20~50% 인상된 9천450원 이내로 올리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이와 함께 시내버스와 지하철 요금 인상 억제로 각각 적자 954억원과 328억원 등을 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시는 이에 따라 현재 900원인 시내버스 요금을 22.2% 오른 1천100원으로 인상하고 지하철 요금도 현재 900원에서 1천100원으로 올린다.시는 내년 공공요금 인상을 위해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통해 인상률과 인상시기 등을 조정하기로 했다.시 관계자는 재정부담을 다소나마 줄이기 위해 공공요금 인상폭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인상할 것이라며 물가합동단속반을 운영, 부당 요금 인상행위에 대해선 단속하겠다고 말했다.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인천항만공사(IPA)의 내년 예산이 2천261억원으로 확정됐다.IPA는 내년 예산을 올해 2천657억원보다 15% 감소한 2천261억원으로 편성했다고 28일 밝혔다.예산 감소는 인천신항의 주요 공정인 케이슨 제작이 올해 76% 진행돼 내년도 공사비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IPA의 내년 예산 68%(1천535억원)가 항만 개발 및 유지 보수 등에 투입된다.신항 건설과 북항 배후단지 조성 등 항만개발에 1천373억원, 노후 항만시설 유지보수에 162억원 등이 편성됐다.선박 입출항부터 화물 배송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천항 항만물류 U-시스템 구축사업(I-PLUS) 3단계 정보화 예산으로는 42억원이 배정됐다.IPA는 내년 예산을 상반기에 61% 조기 집행할 방침이다. 허현범기자 powervoice@ekgib.com
속보송영길 인천시장이 지난 6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와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AG) 프레대회를 실내(In-Door)아시아경기대회로 치르기로 합의한 가운데(본보 11월12일자 13면), 인천시가 결국 오는 2013년 11월 중 실내아시아경기대회를 치르기로 했다.28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13년 11월 중 310억원을 들여 프레대회(Test Event)로 아시아 45개국 3천200여명이 참가하는 9개 종목 규모의 실내 AG를 치를 계획이다.종목은 풋살과 댄스스포츠, 쇼트코스 수영, 세팍타크로, 쿵푸, 에어로빅체조, 실내하키, 카바디, 스쿼시, 볼링 등 10개 종목 중 OCA와 협의를 거쳐 9개 종목으로 최종 결정된다.시는 내년 1월 대한올림픽위원회(KOC)를 통해 OCA에 대회유치 희망서를 제출하고, 내년 2월 시와 KOC, OCA 3자간 개최도시 계약을 체결한다. 시는 문화체육관광부에도 정부승인을 신청한다.시는 전체 추정 사업비 310억원 가운데 30% 정도인 93억원을 국비로 신청하고 시비 202억원과 각종 수익사업으로 15억원 등을 충당할 방침이다.하지만 당장 내년부터 시비 200억원 마련은 물론, 국비 확보도 불투명하다.현재 재정상태가 좋지 않은데다, 시가 정부 승인절차도 밟지 않은 채 독단적으로 OCA와 협의, 대회 유치절차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시 관계자는 당초 전국체전으로 대체할 계획이었으나, 이 계획이 갑자기 바뀌면서 추가비용은 물론 정부의 사전 승인 절차가 뒤바뀌었다며 경기장 신축이 필요 없는 종목들을 위주로 AG조직위와 함께 최소비용으로 개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인천시가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세출 예산 구조조정 등에 나선다.시는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AG) 준비 및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대규모 재정수요가 오는 2014년까지 집중된 재정여건 등을 감안, 현안 사업들 이외에 기타 사업 시기 조정 등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내년 재정 건전화를 위한 6대 재정운영 방향을 정해 적극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시는 이에 따라 우선 세출 예산 구조조정을 강화한다. 모든 사업은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고 신규 사업은 억제하며 유사중복 사업은 통폐합하는 등 합리적 재원 배분을 통해 최소한의 재원으로 투자효과 극대화에 나설 방침이다.시는 이와 함께 부동산경기 침체와 도시계획세 구세 전환 등에 따라 자체 재원이 대폭 줄어듬에 따라 국고 보조금 및 지방교부세 등 투자재원 확충에 총력을 기울이고 AG 준비 및 도시철도 건설 등 대형 사업들이 집중되는 오는 2014년까지 지방채 발행을 제한한다. 시는 인천도시개발공사가 참여한 특수목적법인(SPC) 사업 14건 가운데 7건은 지분 정리를 추진하고 보유자산 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재무구조 악화가 우려되는 지방공기업들에 대한 선진화방안을 추진하고 체납자 징수를 위한 현장기동반 운영 등 강력한 지방세 체납처분 및 세원 발굴 강화에 나선다. 행정자산 가운데 유휴자산을 선별매각, 재원을 확보하는 등 세외수입 세원 발굴 및 징수 강화도 추진된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