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논란 ‘부평역 애 엄마’ 진실은?

아이를 끈으로 지적장애 20대 엄마 갑론을박 복지사각 또 다른 단면 우리 사회가 아동학대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의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지적장애를 앓는 20대 엄마가 남자 아이를 끈으로 묶어 잡고 있는 사진이 인터넷 SNS 등을 통해 퍼지면서 누리꾼 사이에서 아동학대, 마녀사냥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관계기관의 무관심 속에 엄마와 아이가 노숙인과 뒤섞여 1년가량을 복지 사각지대에서 생활해온 것으로 알려져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9일 저녁부터 인터넷 SNS 등을 통해 부평역 애 엄마라는 제목의 사진이 급속히 퍼지기 시작했다. 해당 사진에는 20대로 보이는 여성과 길바닥에 엎드려 있는 4세 아이의 모습이 담겨 있다. 사진 속 여성은 왼손으로는 유모차를, 오른손은 길바닥에 엎드려 있는 아이의 가슴 부분을 묶은 끈을 잡고 있다. 경찰조사 결과 사진 속 여성 A씨(24)는 생활에는 지장이 없으나 지적장애를 앓고 있으며, 4세와 2세 두 아이를 둔 엄마로 밝혀졌다. A씨는 작은아이를 유모차에 태워놓고 돌보는 동안 큰아이가 도로로 뛰어들 것을 염려해 가슴팍 부분을 끈으로 묶어 잡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A씨는 부평역 인근 모텔 등지에서 아이들과 함께 끼니는 노숙인과 뒤섞여 무료급식소에서 해결하는 등 애처로운 사연이 하나둘씩 밝혀지고 있다. A씨와 두 아이는 지난해 7월까지 한 아동복지시설에 있다가 퇴소했지만, 이후 단 한 차례도 지자체를 비롯해 관계 당국의 보호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정부의 지시로 지자체가 진행 중인 복지 사각지대 일제 조사에서도 이들 모자를 찾지 못했다. 이러면서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자기 아이라면 손 꼭 붙들고 다니던지, 아니면 아기 띠하고 다니던지.,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를 끌어안고 있는 건 아니겠지라는 식으로 아동학대 운운하며 사진 속 여성을 비난했다. 반면 또 다른 누리꾼들은 찍어서 올린 사람이 상황판단 없이. 오해살 구도로 찍은 것 같아요., 사진 찍기보다는 엄마한테 알려줬으면 좋을 뻔 했네요라는 식으로 마녀사냥식 비난 자제를 주문했다. 한 아동복지시설 전문가는 사회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을 내버려두는 것 자체가 아동학대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경찰 관계자는 다행히 발견 당시 아이에게서 멍이나 상처가 발견되지 않았고 아동학대 여부는 조사 중이라며 A씨를 설득해 A씨와 아이들은 당분간 여성긴급센터의 보호를 받기로 했고 이후 조치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이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박용준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한국선급 전·현직 임직원들 ‘횡령파티’

선박검사 기관인 한국선급(KR)의 전현직 임직원이 회사 자금을 횡령하고 정부 지원 연구비를 빼돌린 혐의로 해양경찰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해양경찰청 형사과는 한국선급 청사 신축공사 과정에서 회사 자금을 유용한 혐의(업무상횡령)로 한국선급 전 회장 A씨(62) 등 전현직 간부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3일 밝혔다. 해양수산부 국장급 간부 출신인 A씨는 2012년부터 1년 동안 한국선급 회장으로 재직하면서 부산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신사옥 공사비 등 회사자금 9천350만 원을 유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A씨는 풍수지리상 입구 표지석이 필요하다며 표지석 대금 1천만 원을 회사 자금으로 임의 집행한 혐의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다른 전현직 간부 3명은 각각 정부지원 연구비 등 125만6천여만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공사 감리를 맡았던 B씨(54)는 공사 참여업체들로부터 21차례에 걸쳐 투자금 명목으로 9천800만 원을 챙겼고 감리 중 홍콩에서 억대 원정도박을 벌인 혐의와 회사 자금 2천300만 원을 횡령한 혐의도 받고 있다. 해경은 또 청사 건축 인허가와 관련해 현금 500만 원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부산 모 구청 공무원(50)을 구속하고 뇌물을 건넨 건축업자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의료관광객 늘어도 여전히 좁은 의료관광의 길

지난해 1만명 인프라ㆍ마케팅 부족 지정학적 장점 퇴색 서울ㆍ경기ㆍ부산 등 경쟁 지자체 집중 투자 급성장과 대조 인천을 찾는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연간 1만명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타 지자체와의 격차가 커 인프라 확충 및 마케팅 강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지역 의료계와 인천의료관광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각급 병의원 90곳이 참여, 1만여명(추정치)의 외국인 환자를 유치했다. 이는 2012년 6천371명에 이어 36.3% 증가한 수치로 진료 수익 190억원, 관광 수익 63억원으로 모두 254억원의 수익을 거둬들였다. 그러나 서울경기는 물론 인천의 호적수로 꼽히는 부산도 이미 한참 앞서나가며 인천을 따돌리고 있다. 부산은 이미 2011년 1만명을 넘어 2012년 1만4천125명, 지난해 2만1천798명으로 지난해 인천보다 높은 54%의 증가율을 보였다. 부산은 러시아 9천894명, 중국 2천696명, 일본 1천589명, 미국 1천270명, 필리핀 905명, 베트남 787명으로 국가별로도 고른 분포를 보였다. 특히, 의료관광 최대 시장 중국조차 지정학적으로 유리한 인천(2천360명)보다 앞섰으며, 의료관광시장 유7망지역인 동남아시아에서도 인천보다 선점효과를 누리고 있다. 또 인천과 상황이 엇비슷한 대구나 대전 등 다른 지자체들도 공격적인 투자로 의료관광에 매진하는 형국이다. 대구는 불리한 지정학적 위치에도 의료관광종합안내센터를 이미 갖췄으며, 상반기 중 병원과 호텔을 합친 메디텔을 준공할 예정이다. 대전도 서구 일대에 의료, 숙박, 쇼핑을 한데 모은 메디컬 스트리트를 조성하고, 해외 틈새시장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의료관광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역 의료계는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마케팅으로 신규 해외시장 발굴 숙박,국가별 맞춤전략, 관광쇼핑 연계 프로그램 강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 대비 부실한 관광쇼핑 프로그램에 따른 의료관광객의 유출을 막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지역 한 병원 관계자는 의료관광이 뜬다고 가만히 앉아 있다가는 서울부산에 치이고 다른 도시들에 빼앗길 것이라며 의료관광객들이 더이상 서울이나 경기도로 발길을 돌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의료관광재단 관계자는 부산이 항만공항 등 인프라를 바탕으로 인천보다는 조금 앞서고 있다며 인천만의 장점이 있는 만큼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 다른 도시에 뒤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