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도 아니고… 인천지역 대학 ‘콩나물 교실’

인천지역 대학들이 일부 강좌를 수강생 100~200명 이상의 콩나물 교실로 운영하면서 수업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 대학정보공시사이트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인하대, 인천대, 인천가톨릭대, 안양대 제2캠퍼스 등 인천지역 4개 대학의 지난해 강좌 1만 1천682개 중 수강생 100명 이상인 대형강좌는 모두 217개로 나타났다. 또 217개 강좌 중 수강생이 200명 이상인 초대형강좌는 83개에 달한다. 대학별로는 인하대가 100~200명 87개200명 이상 76개로 가장 많으며, 인천대 42개6개, 안양대 2개1개, 인천가톨릭대 100~200명 3개, 경인교대 0개로 나타났다. 특히 인하대는 200명 이상 강좌가 76개나 차지해 연세대 54개, 명지대 30개, 이화여대 28개, 숭실대 26개, 서울대 25개 등 서울지역 대학보다 많았다. 대형강좌는 대부분 교양 강좌나 일부 인기 강좌에 몰려 있으며, 출석이나 시험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콩나물 교실로 전락하고 있다. 대형강좌를 줄이려면 강사나 교수 수를 늘리거나 전체 강의 수를 늘려야 하지만, 대학들은 재정 압박을 이유로 이를 외면하고 있다. 강좌당 학생 수가 과도하게 많으면 비좁은 자리, 낮은 수업집중도, 교수학생 간 소통 어려움 등으로 수업 분위기가 나빠진다. 일부 학생은 수업의 질이 떨어지는 대형 강의로 인해 형식적인 사제관계가 이뤄지고 있다며, 과제 돌려주기 운동 등으로 개선책을 요구하고 있다. 또 교수들도 한 수업에 많은 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것은 물론 출석과 시험에서 편법을 쓰는 학생을 통제하기 어렵다며 대형강좌의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다. 인하대학교 재학생 A씨(24)는 수강생이 100명을 넘어가면 토론이나 발표는 꿈도 꾸지 못하고 진도 따라가다 한 학기가 끝난다며 강좌별로 적정 학생 수가 있을 텐데 학교에서 마구잡이로 배정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대학 관계자는 일부 대형강좌는 특강 형태라 의도적으로 학생 수를 많이 모은다며 전체적으로 보면 몇몇 강좌의 학생 수가 많아 불만이 있는 만큼 해결 방안을 논의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市·항만公 부지매입 공방… 관광객 안전 사각지대 ‘도사린 위험’

시 재정난에 친수공간 매입 차질 IPA 4년째 방치 진입로 곳곳 뾰족뾰족 철근 노출 시민들 위험천만 전망은 무척 좋은데, 잘못하면 사람들이 다치겠어요. 20일 오전 11시께 인천시 중구 월미도 인천항 갑문 인근 자갈로 덮인 광장은 시민들이 산책을 즐기고, 방파제 위에서는 낚시가 한창이다. 인천항 갑문 친수공간인 이곳은 인천항만공사(IPA)가 지난 2010년 바다를 메워 만들었다. 하지만, 울퉁불퉁한 진입로 곳곳에 종아리까지 올라오는 철심이 날카롭게 솟아 보행자를 위협하고 있다. 아슬아슬하게 입구를 통과한 사람들 앞에는 녹슨 군 경계초소가 나타난다. 초소는 인근 회센터와 불과 10m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관광객이 폐타이어로 축대를 쌓은 진지를 올라가도, 빈 드럼통을 발로 차도 제지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주민 A씨(60)는 관리가 전혀 안 되고 있다. 사람들이 축대에 오르다 떨어져 다치지나 않을까 가슴이 조마조마하다고 말했다. 인천시와 IPA 등에 따르면 지난 2010년 IPA가 150억여 원을 들여 북성동 1가 106의 78에 친수공간(2만 462.6㎡)을 조성했지만, 시의 부지 매입이 미뤄지면서 소유주인 IPA가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초 임시 개방을 요구하던 한 주민이 출입을 막던 펜스 80여m를 임의로 뜯어내면서 통제는 사실상 무의미해졌다. 상황이 이런데도 IPA는 여전히 출입통제 원칙만 고수하고 있어 애꿎은 시민만 각종 위험에 노출돼 있다. 관할 지자체인 중구는 안전관리 및 군 초소 이전, 불법행위 계도를 책임지겠다며 지난 1년여 간 IPA에 7차례에 걸쳐 공문을 보내는 등 임시개방을 요청하고 있지만, IPA는 묵묵부답이다. 개방에 있어 IPA의 가장 큰 고민거리였던 시의 부지 매입 보류도 지난해 말 시가 매입계획을 세워 오는 2015년부터 3년간 분할 납부하겠다고 통보해와 해결됐지만, 수개월째 임시개방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있다. 관리도 하지 않으면서, 임시로 관리해 주겠다는 구의 요청마저 거부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IPA 관계자는 안전문제 탓에 펜스를 다시 쳐 확실하게 출입을 통제하려 했지만, 여건상 어려웠다. 시와 협약해 부지를 조성한 만큼 독단적으로 임시개방을 할 수도 없었다면서 최근 시의 매입계획이 세워져 최소한의 임시개방 논의는 가능해졌다. 내부적으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소화전 가로막은 불법주차… 불나면 무용지물

인천지역 소화전 등 소화용수시설이 불법 주정차 때문에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20일 인천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소화전 등 소화용수시설은 화재 발생 시 초기 발견자 등이 호스 및 노즐을 이용해 진화작업을 할 수 있는 시설로 야간에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역 곳곳에 설치돼 있다. 인천지역에 설치된 소화용수시설은 7천290개소(소화전 6천974개소, 저수조 146개소, 급수탑 170개소)로, 구도심 주택가나 공단 등 화재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일수록 많은 소화용수시설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주택가 등지의 소화용수시설은 불법 주정차 때문에 발견하는 일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인천시 연수구 청학동, 남구 학익동, 남동구 구월동, 부평구 십정동 등지의 주택가를 점검한 결과 길가에 설치된 소화용수시설 62개소 중 40개소(64.5%)가 인근 5m 이내에 불법 주정차된 차들로 가려져 있었다. 특히 남구 문학동에서는 길가에 설치된 소화전과 불과 2m 떨어진 곳에 주차시설을 설치한 다가구주택도 있었다. 구도심 주택가ㆍ공단 등 설치 인근 5m 이내 주정차 금지 관련 법규 비웃는 시민의식 지난해 적발 건수만 638건 현행 도로교통법에는 소방용 기계기구가 설치된 곳 인근 5m 이내에 모든 차량을 주차할 수 없으며, 이를 어길 시 5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돼 있다. 지난해 지역에서 소화용수시설 인근에 주차해 적발된 건수는 모두 638건에 달한다. 빠른 초기 진화를 위해 설치한 소화용수시설이 불법 주정차들 때문에 찾기조차 어려운 무용지물로 전락했다. 이와 관련, 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소화용수시설에 주차금지 경고 문구를 붙여놓아도 이를 무시하는 시민들이 많아 난감할 때가 많다며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에 소화용수시설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민들이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