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 참여 민간사업자 공모

군포시가 군포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에 참여할 민간사업자 공모 개요를 25일 공고한다. 시는 첨단산업단지 조성지인 부곡동 522번지 일원 28만7천524㎡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결정 고시 및 환경영향평가를 완료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산업단지승인고시 절차를 앞두고 특수목적법인 설립을 위한 민간사업자 공모를 진행한다. 시는 첨단산업단지에 유치할 기업을 대기오염과 폐수 배출이 수반되지 않는 IT, 전자, 통신 등 신기술 및 신소재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업체로 제한할 방침이다. 시는 산업단지가 영동고속도로 동군포IC 및 복합화물터미널과 인접해 사통팔달의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기흥수원안산 등의 인근 산업단지와의 연계도 뛰어나 많은 관심과 입주신청이 쇄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참여 대상은 컨소시엄 형태의 민간사업체로 대표사가 토건분야 시공능력평가순위 1~50위 이내여야 하며, 기업신용평가 등급이 Ao 이상이거나 회사채 신용등급이 Ao 이상이어야 한다. 향후 시는 사업신청 서류 접수가 완료되면 관련위원회 심의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2013년 2월경에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다. 최우현 도시과장은 첨단산업단지는 국가 및 지역의 산업 첨단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라며 고용인구 창출, 산업의 첨단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포=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군포 농협 지하공간에 '청소년카페' 개장

농협중앙회 군포시지부가 제공하고 군포시가 조성하는 청소년카페가 오는 12월 개장된다. 군포시는 청소년들이 건전하고 안전한 놀이휴식체험활동 등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청소년카페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청소년카페 조성 사업은 NH농협은행 군포시지부가 지난 3월 경영상의 이유로 자체 건물(산본동 1135의2) 지하 1층에 있는 하나로마트를 폐쇄하면서, 이 공간을 지역사회공헌 목적으로 무상 제공함에 따라 추진되기 시작했다. 시는 461㎡ 규모의 이 장소를 청소년 전용 공간으로 개조, 청소년유해업소가 많은 위치이지만 청소년 통행이 잦을 수밖에 없는 산본중심상업지역 내에서 청소년 안전유익 시설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해당 시설에 북카페, 댄스 연습실, 온돌 휴게실, 멀티룸, 중고품 직거래장 등을 조성해 청소년복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권태승 청소년교육체육과장은 청소년 육성과 보호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청, 경찰서, 청소년 관련 기관 및 시민사회단체 등과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청소년교육특구 완성, 희망교육 1번지 건설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군포=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김연아 동상 前시장 추진” 김윤주 군포시장 “일부 시민단체 사실왜곡 단호 대처”

김윤주 군포시장이 일부 시민단체가 제기한 김연아 동상 건립비 문제에 대한 입장을 내놨다. 김 시장은 11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군포시 비리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가 제기한 피겨 조형물 설치 과정에 대해 해명했다. 먼저 김 시장은 시장에 당선된 뒤 확인해 보니 전임자가 시 경계 5곳에 피겨 조형물 설치를 추진 중이었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중지시켰다며 대책위가 사실과 전혀 다른 김연아 동상 의혹을 제기해 시의 위상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당시 5개 조형물 중 하나에 대한 제작비가 50%나 지급돼 이 조형물은 예정대로 세울 수 밖에 없었다며 공식 명칭은 김연아 동상이 아닌 철쭉동산 주변 경관 조형물이라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일부 시민단체가 명확하지 않은 유인물을 배포해 사실을 왜곡하고, 이 때문에 타 지역에 군포가 마치 비리로 얼룩진 곳인 것처럼 알려져 유감스럽다며 조형물 논란을 정식으로 검찰에 고발해 사실관계를 가리고, 공개토론 자리를 마련해 시민들에게 정확한 사실을 알리자고 제안했다. 또한, 김 시장은 건전하고 정당한 비판과 소통 제의는 언제든 수용할 수 있다며 다만 시정 발전을 위한 진정성 있는 비판과 제언이 아니라 시장 개인에 대한 인신공격이나 정치적 음해가 목적인 행위는 법적 대응을 포함한 다각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포지역 1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대책위는 지난달 24일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회견을 열고 군포시가 5억여원을 들여 설치한 김연아 동상이 편법 설계 등으로 예산이 부풀려졌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군포=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