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 비산대교 교각노후 재시공

안양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연결하며 하루 10만여대의 차량이 통행하는 비산대교가 최근 실시한 정밀안전진단 결과 교각노후로 인해 전면 재시공이 불가피한 것으로 드러나 재시공기간동안 통행제한에 따른 교통대란이 우려된다. 20일 안양시에 따르면 지난 75년 한진건설이 시공한 비산대교는 안양 구시가지인 만안구에서 평촌신도시와 과천시를 잇는 교통연결로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연장 92m, 교폭 25m(6차선) 규모로 하루평균 10만여대 이상의 차량들이 통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 지난 9월 안전진단전문기관인 비앤티 엔지니어링(주)에게 의뢰, 비산대교에 대한 외관조사, 비파괴시험 등 정밀안전진단을 벌인 결과 재시공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명됐다. 진단결과 철근배근 불일치, 기초말뚝의 유실 등 시공초기의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산대교의 빔 중앙부에 휨균열이 다수 발생해 중대형차량 통과에 따른 균열위험 등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됐다. 이에따라 시는 비산대교가 40t까지의 중차량이 통과할 수 있고, 교각수 감소로 하천의 통수능력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재시공방안을 모색, 총 43억여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설계 및 철거, 재시공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그러나 비산대교에 대한 실질적인 재시공은 철거 및 설계가 끝나는 오는 2001년께나 착공될 것으로 예상돼 조만간에 실시되는 중대형차량 통행제한에다 재시공이 이루어지는 기간동안 통행금지에 따른 이 일대 극심한 교통체증이 예상된다. 안양시 관계자는 “이번 비산대교에 대한 안전진단결과 재시공이 불가피해 설계 및 차량통행 제한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시민들의 불편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안양=유창재cjyou@kgib.co.kr 이용성기자 yslee@kgib.co.kr

개인투자자 한탕노리다 왕창손해

한탕을 노리고 주식에 뛰어든 ‘나 홀로 투자자’들이 두번 울고 있다.거래소시장에서의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눈을 돌린 코스닥시장이 최근 폭락세를 거듭, 또 한번의 막심한 손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20일 경기도내 증권업계와 개인투자자들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사흘간 계속된 코스닥지수는 사흘 만에 무려 34.2포인트(12.5%)가 폭락했다. 코스닥지수의 폭락으로 가장 큰 ‘피’를 본 것은 코스닥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개인투자자들로 이들이 입은 손실액은 3조5천여억원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주식에서 2천만원을 까먹은 회사원 왕모씨(32·수원시 팔달구 인계동)는 코스닥으로 옮기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직장동료의 말만 믿고 이달초 3천만원의 적금으로 코스닥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폭락사태가 이어지면서 왕씨는 불과 보름만에 1천500백만원이란 거금을 날리고 말았다. 이를 반영하듯 이날 수원,안양,성남 등 도내 증권가 객장은 불안섞인 한숨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이처럼 한동안 코스닥 주가가 불을 뿜자 거래소시장에 머물던 개인투자자들은 그동안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무작정 코스닥시장에 손을 댔다. 결국 이번 폭락사태로 ‘또 한번 깨진’ 개인투자자들의 한숨은 땅이 꺼질듯 깊기만 하다. 증권업계는 코스닥시장의 대폭락에 대해 어느정도 예견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벤처’라는 말만 믿고 너도나도 뛰어들면서 과열양상을 보였던 만큼 언제든 폭락세로 돌변할 수 있었음에도 개인투자자들이 너무 무모한 투자를 했다는 것이 증권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코스닥의 특징은 고수익만큼 위험도 크기때문에 정확한 판단없이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일찌기 코스닥 시장에 뛰어든 개인투자자는 아직 이익을 내고 있지만 최근 코스작시장의 뜨는 분위기만보고 무리하게 뛰어든 투자자 가운데선 상당수가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인천∼중국 국제여객선 정상운항

Y2K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올 연말과 내년초 인천∼중국을 오가는 6개 항로의 국제여객선이 정상 운항된다. 20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인천∼위해 등 중국 6개지역을 오가는 6척의 국제여객선 가운데 1만6천t급 뉴골든브릿지호와 1만2천t급 대인호, 1만1천t급 동방명주호 등 4척이 지난 7∼11월사이 한국선급 및 한국선주협회 등으로부터 선박 Y2K 검증확인서를 취득했다. 인천해양청은 이들 선박이외에 1만6천t급 향설란호와 1만2천t급 자정향호는 외부기관의 검증서를 교부받지는 않았지만 선사측의 자체 Y2K 대응 계획에 따라 영향평가를 실시하는 등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해양청은 이에따라 오는 30일부터 내년 1월3일까지(Y2K 위험기간) 5일동안 이들 여객선을 정상 운항토록 하는 한편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상황실을 설치, 운영키로 했다. 인천해양청 관계자는 “Y2K 위험기간에 인천∼중국을 오가는 국제여객선들이 선사측의 노력 등으로 대응능력을 갖춰 여객선 운항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만일의 사태에 대비, 선사측과 유기적으로 대처해 여객선들의 정상 운항에 지장이 없도록 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인치동기자 cdin@kgib.co.kr

월드컵개최 도시로서 부끄러운 단면

수원지역 상당수의 숙박업소와 이용업소들이 윤락행위를 알선하거나 무자격 안마사를 고용해 온 것으로 밝혀져 2002년 월드컵개최도시의 부끄러운 단면을 드러내고 있다. 20일 수원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말까지 구청별로 공중위생업소를 점검한 결과 80개 숙박업체와 120개 이용업체가 윤락알선과 음란비디오 상영, 안마사고용 등의 불법 영업을 해오다 적발됐다. 숙박업체의 경우 권선구 매산1가 A여관은 지난 4월 여관에 들어온 남자손님들을 대상으로 화대 5만원을 받고 윤락을 알선해 오다 적발돼 영업정지 2개월을 받는 등 수원시내 26개 숙박업소가 여관업이 아닌 윤락알선업을 해오다 적발됐다. 또 장안구 신풍동 W여관은 지난 7월 미성년자 혼숙으로 적발되는 등 54개업체가 미성년자 혼숙이나 투숙객을 상대로 음란비디오상영 등으로 적발돼 행정조치되는 등 상당수의 여관들이 불법영업을 일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용업소의 경우 장안구 영화동 M이용원은 조명을 어둡게 한뒤 무자격 안마행위를 벌이다 1개월의 영업정지를 받는 등 519개 이용업소 중 140개 업소가 시설기준을 위반하거나 시간외 영업 등으로 적발됐다. 시 관계자는“각종 공중위생업소의 깊은 곳을 들여다 보면 국제대회를 치루는 도시로서는 부끄러운 모습이 많다”며“업소는 물론 시민 스스로 이들 불법 공중위생업소를 감시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특차 모집 양극화 현상 뚜렷

아주대 경기대 협성대 경기·인천지역 대학이 특차원서를 마감한 20일 일부 대학의 인기학과는 높은 경쟁률은 보였으나 나머지 학과는 미달사태가 빚어지는 등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 경희대 인하대 인천시립대 등 21일 원서를 마감하는 대학도 이날까지의 접수현황 결과, 양극화현상이 뚜렷 막판 눈치작전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주대학교는 수능 3%이내 수험생을 대상으로 특차원서를 접수한 결과, 전체 577명 모집에 458명이 지원, 전체 13개학부 중 10개학부가 미달사태를 빚었다. 그러나 최근 수험생들의 학과 인기도와 직업전망 등을 감안, 16명을 모집하는 의학부에 21명이 지원 1.31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으며, 정보 및 컴퓨터공학부는 43명 모집에 74명이 지원 1.72대1, 미디어학부는 26명 모집에 58명이 지원 2.23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그러나 수험생들의 인기도가 다소 낮은 기계 및 산업공학부는 83명 모집에 28명만이 지원했으며, 화학·생물공학부도 39명 모집에 13명, 자연과학부는 52명 모집에 20명만이 지원, 모집정원에 크게 미달하는 현상을 보였다. 협성대도 이날 신학부 15명을 특차모집했으나 2명만이 지원해 이번 특차모집은 수험생들의 인기학과에 대한 소신지원현상이 뚜렷해 지고있다. 이와함께 21일 원서를 마감하는 인하대와 인천대 경희대 중앙대 등도 컴퓨터관련 학과나 예술분야, 미디어분야 등에 수험생들이 몰리고 있으며, 중앙대 연극학과 연기전공은 마감하루를 앞둔 이날 12명 모집에 438명이 지원, 치열한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앞서 지난 18일 원서접수를 마감한 인천교대는 318명 모집에 1천294명이 지원해 4.06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 안정적인 직업이 보장되는 대학 선호도가 높은 것을 반증하고 있다./이민용·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