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공간 자리매김 매탄1동 사무소

아파트에 숲에 자리잡은 동사무소가 콘크리트의 삭막한 도시분위기를 없애고, 주민들이 어우러져 정을 나누는 자치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원시 팔달구 매탄1동(동장 방수명) 문화의 집은 지난 8월 동사무소 기능전화 시범동으로 지정된뒤 1층은 주민상담실로 2층은 문화창작실, 인터넷부스 , CD부스, 비디오부스, A/V 감상실, 체력단련실, 3층은 문화관람실로 개방한뒤 하루 300∼400여명의 주민이 찾는 명소로 탈바꿈 했다. 28일 오후 2시 매탄1동 문화의 집 2층은 출입구부터 어린이들의 재잘거림으로 가득했다. 비디오를 대여받기 위해 줄을 선 아이들, 인터넷부스 뒤로 줄을 선 청소년으로 북적됐다. 10명의 어린이들이 의자와 바닥에 앉아 비디오를 보고 있는 가운데 고학년 어린이 6명은 인터넷부스에 앉아 에듀넷을 연결, 자료를 찾기에 정신이 없다. 가끔 체력단련실에서 땀을 흘리던 주부들이 문을 열고 아이들과 함께 비디오를 보기도 한다. 주부 이미영씨(38·매탄5단지)는 매일 하번 이곳을 찾는 것이 일과가 됐다. 문고에 들러 이것저것 둘러보고 신간을 위주로 책을 대여한뒤 체력단련실에 들러 땀을 흘린뒤 돌아간다는 것. 특히 이곳에서 주부들에게 인기를 끄는 것은 꽃꽃이 교실, 종이접기, 소아추나요법 등 3개의 강좌. 무료강좌인 이곳에는 모두 80여명의 주부들이 참가하고 있으며, 오는 다음달 초에는 합동발표회도 가질 예정이다. 또 주부들의 요청에 따라 12월부터는 오전 9시부터 3층 문화관람실을 이용해 에어로빅 교실도 운영한다. 매탄1동 새마을 문고(회장 윤선자·38)도 주민들이 즐겨찾는 곳으로 모녀를 비롯 8명이 나란히 앉아 책을 읽고 있었다. 마을문고가 소장한 책은 모두 5천여권이지만 8월부터 지금까지 책을 대여하면서 회원으로 가입한 주민은 2천300명에 이르고 있다. 건물 뒤에는 인조잔디로 미니축구장과 3개의 농구대, 배던민턴 장을 설치해 이른 새벽부터 밤늦도록 주민들과 청소년들이 즐겨 이용하고 있다. 행정기관이 공간을 만들어주고, 36명의 주민들이 자원봉사를 하는 등 관과 민이 함께 관리하는 매탄1동 문화의 집은 이제 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공간이 됐다. 방수명동장은 “주민속의 문화공간으로 자리잡으면서 주민들간 대화와 정을 나누는 구심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 주민들 스스로 공간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도움을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수원시 ISO9001인증 획득 추진키로

수원시가 기초자치단체로서는 처음으로 시행정 전반에 걸쳐 국제품질규격(ISO 9001) 인증을 받기 위해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26일 시에 따르면 그동안 일부 기초자치단체에서 개별적인 사업에 대해 인증을 받는 ISO 9002는 있었지만 행정 전반에 걸쳐 인증받는 ISO 9001은 기초단체로서는 처음이다. 시는 인증 준비를 위해 컨설턴트회사인 (주)산틀과 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단계별 교육에 들어갔다. 지난 1일 간부공무원 55명을 대상으로 ISO 9001 소개와 품질행정의 기본개념 및 기대효과를 교육했으며, 담당급 70명을 대상으로 2시간에 걸쳐 각종 자세와 준비과정 등을 교육하기도 했다. 이와함께 품질행정 추진팀은 지난 22일부터 각 과별로 기초 진단설문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컨설턴트 대표가 직접 과직원들과 업무에 관한 면담 등을 통해 문제점 등을 정비하고 있다. 시는 12월에 인증을 받기위한 초안을 작성하고, 1월 초안을 공표해 문제점을 개선한뒤 4월까지 안 개정과 평가를 반복하고 5월말에 외국의 심의기관에 본심사를 받을 계획이다. 시관계자는“기초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전분야에 ISO 9001인증을 위해 행정 전반에 대한 심사와 평가를 전문기관과 함께 공동으로 들어갔다”며“인증과정을 통해 행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인증을 획득할 경우 시의 국제적인 위상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청와대 보고서 유출에 도민들 경악

옷로비 의혹사건에 대한 청와대 사직동팀의 내사보고서가 김태정 전검찰총장에게 건네졌다는 사실이 알려진 26일 경기·인천지역 각계 인사들은 ‘국가기강을 뒤흔들었다’는 반응과 함께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특히 청와대 보고서의 유출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국가기관의 사건 축소, 은폐의혹이 고개를 들고있는 점을 지적하며 책임자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함께 실체적 진상규명을 위한 성실한 노력을 촉구했다. 경기대 이영수교수(56)는 “이솝우화에 나오는 ‘양치기소년’의 교훈처럼 거짓말은 쉽게 할수 있지만 한번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며 “등을 돌린 국민들의의 신뢰를 회복할수 있는 정부 당국의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원경실련 노민호사무국장(30)은 “옷로비 당사자들의 거짓말과 함께 청와대, 검·경 등 국가기관이 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 축소했다는 의혹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며 “국가기강 확립 차원에서라도 만약 사건이 축소, 은폐됐다는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관련자들 모두에게 엄중한 사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원지방변호사회 정병혁변호사(37)는 “사건 관련자들이 특검수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조차 진실을 계속 은폐해왔다”며 “특검팀에 의해 모든 사실이 철저하게 밝혀지고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이 있어야 하며 사건 관계자들도 보다 진실한 자세로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교사 김원근씨(41)는 “이번 사건은 집권층 관료 전체의 신뢰성이 붕괴되는 일로 청와대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한뒤 진상파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경희대생 정구문씨(20)는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왜 진실을 숨겨 사태를 이 지경에까지 몰고 왔는지 한심스럽다”며“온 국민의 의혹이 쏠린 사건을 이렇게 대처한 정부가 앞으로 어떤 발표를 하더라도 믿어줄 국민이 얼마나 되겠느냐”고 개탄했다. /지방종합 kchwang@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