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한강신도시 합동분양을 3순위까지 마감한 결과 수요자들이 브랜드보다는 평면구성, 입지, 평형 등 실속을 중시하면서 건설사들 간 희비가 엇갈렸다. 24일 금융결제원과 건설사 등에 따르면 지난 19~21일 반도, 한라, 대우건설 등 3개 건설사가 한강신도시에서 분양한 3천156가구에 대한 1~3순위 청약에 2천409명이 신청, 평균 0.76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건설사별로는 반도건설의 반도유보라 2차의 일반 분양분이 최고 4.17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A 타입과 C타입에서 3순위 마감되는 등 총 1천491가구 모집에 1천606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이 1.08대 1로 나타났다. B타입(597가구)과 D타입(524가구)에서 각각 56가구와 50가구가 미달했다고는 하나 전체 가구수를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중대형 평수로 구성돼 다소 우려됐던 한라건설의 한라비발디는 856가구 모집에 695명이 청약, 평균 0.81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최대 평형인 126㎡(60가구)에는 126명이 몰려 1개 평형대가 3순위 마감됐다. 특히 126㎡ 3순위 서울, 인천 부문은 최고 경쟁률 8.33대 1을 기록했다.반면 59㎡ 단일 평형으로 809가구를 공급한 대우건설 한강신도시 푸르지오는 108가구만 청약해 평균 경쟁률 0.13대1에 그치면서 4개 타입 모든 순위에서 미달됐다.업계 관계자는 이번 한강신도시의 청약은 실수요자들이 중소형 평형과 평면구성, 한강과 인접한 입지를 선호하는 성향을 보이면서 브랜드는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한편 당첨자 발표는 오는 27일이며 계약은 5월2일부터 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구리지역 39개 사회단체장 등이 참여하고 있는 구리시정 자문위원회(회장 이현욱)가 개최한 구리월드디자인센터 포럼(설명회)이 뉴타운 반대 주민들의 기습시위로 파행을 겪었다. 구리시정 자문위원회는 22일 오후 3시 시청 대강당에서 주민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리월드디자인센터조성 사업의 성격과 규모 및 내용,투자비 조달, 지역경제 활성화, 고용증대 등을 집중 설명하는 포럼을 개최했다. 위원회는 이날 김기선 사무총장의 개회 선언에 이은 내빈소개, 국민의례 등 1부 행사를 마치고 단상정비 시간을 가졌으나 이미 좌석을 차지하고 있던 인창수택지구 뉴타운 반대 주민 50여명이 뉴타운 반대를 외치며 단상을 점거하는 등 행사 진행을 방해해 2부 행사를 열지 못했다. 위원회는 이영련 강원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조용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아도시연구소 이사, 김완순 경기도 외자유치위원장, 곽상경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고창국 k&C Associate 대표 등의 주제 발표, 질의응답 등 시간을 가질 계획이었다. 위원회 관계자는 구리월드디자인센터 조성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증대 등 구리지역 발전을 획기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사업으로 주민들의 기대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면서 2부 행사가 취소된데 대해 아쉬움이 많다고 말했다. 구리=한종화 기자 hanjh@ekgib.com
올해 2분기에는 전국적으로 총 4만8천여가구의 아파트가 입주한다.국토해양부는 올해 4~6월에 입주 예정인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총 4만8천763가구에 이른다고 22일 밝혔다.지역별로는 수도권 2만6천903가구, 지방 2만1천860가구이며 이 가운데 6천999가구가 서울에서 입주한다.월별로는 이번 달이 9천916가구였으나 5월에는 2만90가구로 늘어나고, 6월에도 전 달과 비슷한 1만8천757가구가 완공된다.공급 주체별로는 공공이 2만6천109가구로 전체의 54%를 차지하고, 민간이 2만2천654가구다.국토부는 이 가운데 임대시장 안정을 위해 광주 수완, 인천 향촌, 김제 교동, 음성 삼성지구 등에 공급되는 공공아파트 5천375가구에 대해서는 입주를 한달씩 앞당길 예정이다.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가 3만7천181가구로 72%에 달하고 85㎡ 초과 중대형은 1만3천582가구(28%)다.
올해 들어 전국의 땅값이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국토해양부는 3월 전국의 지가는 전 달에 비해 0.11%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2월의 0.09%에 비해 상승폭이 약간 커진 것이다.지역별로는 서울이 0.15%, 경기 0.1%, 인천 0.06%가 각각 올랐고, 지방은 0.05~0.13% 뛰었다.도로 등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경남 함안군과 미사ㆍ감일ㆍ감북 등 보금자리주택 사업을 추진중인 경기도 하남시가 각각 0.31%로 가장 많이 올랐다.또 시흥시(0.3%), 대구 달성군ㆍ동구(0.29%) 등도 각각 보금자리주택과 대구 테크노폴리스산단 및 대구 혁신도시 등 개발사업 영향으로 상승폭이 컸다.토지거래량도 증가했다. 지난달 거래된 토지는 총 24만4천486필지, 23만4천442만2천㎡ 규모로 전 달 대비 필지 수는 14.6%, 면적 기준 3.9% 상승했다.용도지역별로는 상업지역(34%), 주거지역(20.5%), 공업지역(18.9%)의 순으로 거래량이 많이 늘었다
LH(토지주택공사)가 황해경제자유구역 포승지구 사업을 포기하면서 사업자조차 선정하지 못한 향남지구 내 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향남지구는 지구지정 된 지 3년이 지나도록 사업자 조차 선정하지 못한 채 답보상태에 놓이면서 공장 증축, 신설 등 개발행위는 물론 매매 등도 제한됐기 때문이다.21일 황해경제자유구역 향남지구 내 기업과 화성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지난 2008년 5월 황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향남지구(531만㎡)는 지구지정 3년이 지나도록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하면서 지구 내 160여개 기업들이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이처럼 장기간 사업이 답보상태에 놓이면서 이미 은행대출 등을 통해 이주 대체부지를 매입한 업체 등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향남지구 내 기계부품업체 Y사는 향남지구가 지정되자 대체부지를 은행 대출로 자금을 마련해 수원 고색산업단지를 분양받았다.Y사는 향남지구 내 부지가 수용돼 받을 보상금으로 대출금을 갚을 계획이었지만 사업자조차 선정하지 못하면서 한달 금융비용만 500만~600만원을 내는 상황이다.Y사 대표는 향남지구가 바로 개발될 줄 알고 빚을 내 대체부지를 마련했다며 사업이 이렇게 진척이 없다면 차라리 지구지정을 풀어주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압축공기 제습기기를 생산하는 H사는 당장 공장을 증설하거나 이전해야 할 상황이지만 향남지구 지정이 발목을 잡았다.지구내 공장을 팔고 이전하고 싶어도 황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당장 공장을 팔 수 없기 때문이다.H사 관계자는 향남지구 내 업체들이 LH가 포승지구 사업을 포기하는 것을 보고 더 불안해 하고 있다며 향남지구는 사업자도 선정하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하다고 말했다.전자부품을 생산하는 또 다른 H사는 황해경제자유구역을 추진한 경기도 등을 비난했다.H사 관계자는 경기도가 황해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한다면서 되레 경기도 업체를 고사시키고 있다며 경기도 등 관에서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핑계만 대고 있다고 지적했다.이에 대해 화성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경기도나 황해경제자유구역청에서 포승지구보다 향남지구가 사업성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미 업체들의 불신이 깊어진 상황이라며 도나 황해청 등에서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기지역 A 건설업체는 최근 아파트 분양 등 사업을 추진하다 잠정 보류키로 결정했다.A업체가 추진하는 지역의 입지가 그다지 뛰어나지 않아 섣불리 사업을 추진했다가 미분양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부산 등 지방 분양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분양시장은 분양 물량이 급감하는 등 여전히 한파가 지속되고 있다.21일 도내 중소 주택건설업체와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5월 분양을 앞둔 전국 아파트 60곳 3만3천694가구 가운데 지방의 비중은 62.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지방 중소도시의 약진이 두드러져 지난해 5월 3천543가구에 불과했던 지방 분양물량은 올해 1만1천697가구로 대폭 늘었고, 지방 5대 광역시 물량도 지난해 7천346가구에서 올해 9천388가구로 증가하는 등 5월 지방 분양물량은 4년 만에 최대가 될 전망이다.반면 2차 보금자리주택 1만4천391가구를 포함해 지난해 5월 공급량이 2만9천165가구로 치솟았던 수도권의 올해 공급은 1만2천609가구로 반토막이 났다.이는 일부 인기지역 외에는 청약성적이 저조할 뿐 아니라 저렴하고 입지까지 우수한 보금자리주택이 풀린 이후 수요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져 민간 건설에서 신규 물량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이처럼 수도권 분양시장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으면서 도내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실제 중소건설업체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 회원사 970여개 중 5월 분양에 나서는 업체는 단 한곳도 없는 실정이다. 분양가 인하 기대감 등 부동산 수요자들이 민간 분양주택을 고르는 인식이 까다로워진데다 입지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은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지방발 분양시장이 꿈틀 되고 있다지만 경기지역은 아직 미분양 물량이 남아 있는 등 분양여건이 좋지 않다며 특히 중소 주택건설업체들은 분양에 실패하면 타격이 크기 때문에 현재 상황을 관망하는 업체들이 많다고 말했다.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자가용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상업지역 주차난이 심각해지면서 주차 전용 상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신도시 상업지역은 단일 상가 건물 내 주차대수 한계와 진입 불편을 해결한 주차 전용 상가가 속속 건립되고 있다. 19일 상가정보연구소에 따르면 광교, 동탄신도시 등에 저렴한 용지 매입으로 상가 투자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주차전용 상가가 공급 중이다.신도시의 상업지역 내 주차 전용 상가는 일반적인 지구단위계획기준에 의거 건축 연면적의 최대 30%까지 12종 근린생활시설 또는 문화 및 집회시설, 업무시설, 운동시설 등의 건축이 가능해 투자 상품으로도 매력이 높다.광교 신도시 신대역 일반상업지역에서는 주차장 전용 상가 에스비타운이 공급중이다. 총 분양규모 330억원대, 연면적 1만2천682㎡, 지하2~지상6층 규모로 총41개 점포가 공급되는 에스비타운은 상록자이 대단지 아파트(1천35가구) 출입구 바로 옆에 위치해 있어 단지내상가 역할이 가능하고, 주차공간만 163대규모로 신대역 인근상가 중 최대규모다.지상층 전층에서 주차장과 매장이 바로 연결되는 동선을 확보해 고객과 입점주를 위한 편의성을 높였다.에스비D&C 김홍삼 대표는 에스비타운은 시행사가 직접 토지매입, 개발, 분양하는 상가로서 1층 기준 3.3㎡당 공급가격이 주변 보다 10~20% 훨씬 저렴하다며 주차장 용지 선별에 있어서 인근 상업과 업무시설과의 연계성 확보와 주차장의 편의성 그리고 배후수요와 유동인구의 소비력을 감안했기 때문에 입지적인 이점도 높다고 말했다.동탄신도시 에이스타운과 판교신도시 이신빌딩도 자리에 따라 주변 가격보다 각각 30%, 20% 저렴하게 공급 중이다.상가정보연구소 박대원 소장은 학부모의 차량으로 이동하는 학생수요를 흡수할 각종 프랜차이즈나 학원, 한의원등의 임차 경쟁에서도 비교 우위에 있어 관심을 둘만 하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작년 12월 중순 수원 법원에서 진행했던 경매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화성시 장안면에 있는 대지 215평, 건물 104평, 점포수 5개의 상가 건물이 경매에 나왔다. 감정가 7억3천, 2회 유찰가는 4억6천700만원. 3명이 응찰해 부천에 사는 고객 A씨가 71%인 5억1천900만원에 낙찰 받았다.그 물건은 내년 신도시 편입 예정이며 보증금 6천에 월세가 350만원이 나오는 우량물건이었다. 잔금을 치르고 세입자들을 만나보니 보증금이 1억 4천만원 미만이고 소액 임차인이라 최우선 변제권이 있어 배당을 받는 줄 알고 있었다. 임차인 중에는 보증금 1천만원에 월 50만원도 있었는데 그 지역은 기타 지역에 해당돼 환산 보증금이 2천500만원 미만이어야 750만원 배당을 받는 것인데 환산 보증금이 6천만원이라 배당을 받지 못했다. 주택 임대차와는 다르게 상가 임대차는 보증금과 월세를 환산한다. (보증금+(월세100)) 상가 임대차 보호법의 최우선 변제권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던 것이다. 계약할 때 주의할 점은 계약 시점이 아니라 등기부 등본에 나와 있는 물건의 최초 저당일이 임대차 보호법의 시점이 됨을 알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추천 경매물 자료제공: 수원법률경매정보㈜, 문의(031) 212-3007 분당 아파트, 생활편의시설 인접▲소재지: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아름마을 7/17층 ▲최저가: 12억5천만원 ▲최저가:(51%) 6억4천만원 ▲대지권: 102.056㎡ (30.87평) ▲전용면적: 195.08㎡ (59.01평) ▲입찰일 :5월9일 ▲평형:69평형 ▲이용상태: 방5 거실 주방 다용도실 욕실2 발코니3/ 매송초교 북측 위치 /주위는 대단지아파트 /인근에 생활편익시설 학교 공원 입지/버스정류장이 직선거리 약 1km 남동 측에 이매역, 교통상황 무난 화성 주택, 주변 전원주택단지▲소재지:화성시 봉담읍 덕우리 2층 주택 ▲감정가:2억9천670만원 ▲최저가: (80%) 2억3천740만원 ▲토지면적: 478㎡ (145평) ▲건물면적:202.55㎡ (제시외 포함 78평) ▲입찰일: 4월27일 ▲보존등기일 :1999년 6월 ▲이용 상태: 덕위마을 내에 위치/주변은 전원주택단지 기존주택 및 소규모 공장 농경지 및 임야 등 형성 / 차량접근이 가능 근접지에 노선버스 정류장이 소재 제반 교통사정 보통 화성 상가, 최저 1억3천만원▲소재지: 화성시 진안동 뱅뱅 프라자 1/6층 ▲감정가:3억4천만원 ▲최저가: (41%) 1억3천900만원 ▲대지권: 11.47㎡ (3.47평) ▲전용면적: 41.04㎡ (12.41평) ▲입찰일:4월26일 ▲보전등기일: 2004년 8월 ▲이용상태: 진안초등교 남동 측 인근에 위치 / 주위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및 단독주택 등을 배후지로 한 근린시설이 밀집/인접 병점역 도보15분 거리/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소재 대중교통양호 제주 5층건물, 인근에 한림초교▲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리 5층건물 ▲감정가:4억14만원 ▲최저가: (70%) 2억8천10만원 ▲토지면적:235㎡ (71평) ▲전용면적:723.78㎡ (219평) ▲입찰일:5월2일 ▲이용상태: (지하1층: 근린 생활시설,소매점. 2층:사무실. 3층:다가구주택 4층:주택) /한림초등학교 북동 측 인근에 위치/주위는 상업용 건물 일반음식점 단독주택 등 형성
LH경기지역본부(본부장 김성균)는 용인 서천 택지개발지구 내 분양주택 839가구를 선착순 공급한다.공급규모는 14블록 중 미청약된 1블록 503가구(전용면적 74㎡ 5세대, 84㎡ 498가구), 4블록 336가구(전용면적 74㎡ 16가구, 84㎡ 320가구) 총 839가구로 2013년 1월 입주 예정이며 입주(등기완료) 후 전매가 가능하다.이번에 공급하는 주택은 청약통장, 주택소유 여부 등과 관계없이 입주자모집공고일(4월13일) 현재 만 20세 이상인 자는 누구든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입주자 선정은 블록별주택형별로 전산추첨(컴퓨터 무작위)하는 방식이다.공급가격은 3.3㎡당 850만원(기준층기준, 74㎡:2억5천500만원, 84㎡:2억8천900만원)선으로 저렴하게 공급된다. 특히 계약금액을 당초 20%에서 13%로 대폭인하(전용 84㎡기준, 약 2천만원)해 3천만원대이며, 인하금액은 잔금시 내면 된다. 공급일정을 살펴보면 20~21일 양일간 LH(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http://www.LH.or.kr)와 분양사무실(수원 장안구 조원동 보금자리주택홍보관)에서 신청 가능하며, 25일 당첨자 발표, 5월 2~3일 계약체결 예정이다. LH경기지역본부는 오는 수원호매실지구내 일반상업용지 18필지, 주차장용지 1필지 총 19필지 38천㎡도 공급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일반상업용지 18필지의 공급면적은 1천48~4천552㎡, 예정가격은 29억2천400만원~14억8천4천만원, 주차장용지 1필지의 공급면적은 783㎡, 예정가격은 9억6천600만원이다.호매실지구 내 상업용지 등은 20일 LH 홈페이지 토지청약시스템을 통해 분양신청 접수 후, 당일 개찰 및 낙찰자를 발표하며, 27일28일까지 계약 체결 예정이다. 기타 입찰관련 문의는 LH 경기지역본부 수원호매실 사업단(031-548-57078)으로 문의하면 된다.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기도는 18일 원룸형 주택에 대한 주차장 설치기준 완화와 주차장 완화구역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일선 지자체에 요청했다고 밝혔다.도의 이같은 방침은 소형주택을 얻기 어려운 도시근로자독신자학생의 주거안정을 위해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양호한 역세권이나 대학교 주변, 학원 및 공장밀집지역 등을 중심으로 원룸형 주택이 공급되도록 하려는 방편에 따른 것이다.역세권 등이 주차장 완화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주차장 설치기준이 주거전용면적 60㎡당 1대에서 연면적 200㎡당 1대로 완화된다.도는 지난달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 확대와 조기정착을 위해 주차장 설치기준을 정비하도록 일선 시군에 요청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도는 도시형생활주택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앙정부에 별도의 제도개선을 요구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2009년 291호에 불과했던 도내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물량은 주차장 설치기준 완화 등 규제가 완화된 지난해 3천127호로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