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재건축·재개발 ‘가뭄 장기화’ 벼랑끝 건설사 ‘수주전’ 치열

경기지역 재건축재개발 수주전이 치열해지고 있다.조합 내부의 갈등으로 시공사 선정이 지연되는 사업지구가 많아 사업물량이 줄어든데다 건설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수주목표를 채우기 위한 건설사들의 수주경쟁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28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경기지역 재건축재개발 시장 물량이 줄면서 건설사 간 수주 경쟁이 과열조짐을 보이고 있다.구리 인창C구역은 삼성물산과 GS건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특히 올해 수주목표를 3조원으로 잡은 것으로 알려진 GS건설은 반드시 수주실적을 올린다는 의사를 내비치고 있어 건설사들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지난 22일 사업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구리 인창 C구역 재개발 사업은 신축가구수 1천2가구로 예상 공사금액은 1천400억여원으로 추진된다.오는 6~7월께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벌써 삼성물산과 GS건설 측에서 조합에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조합에서는 건설사들의 과열홍보전을 예방하기 위해 시공사 방문 및 접촉을 자제하고 있어 건설사들이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안양 호계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한화건설, 현대산업개발, GS건설,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등이 수주전에 뛰어들었다.1천6가구를 신축할 예정인 안양호계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예상공사금액이 1천800억여원 규모다.조합에서는 사업방식을 도급제와 지분제를 놓고 고민 중인데 사업방식이 결정되는 대로 오는 7~8월께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남양주지역에서 도곡 2구역 사업을 놓고 역시 GS건설 등이 수주를 노리고 있다.업계에서는 건설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전반적인 건설 사업물량이 감소해 사업별 수주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도내 한 건설사 관계자는 경기지역 재개발 지구에서 나올 시공사 선정물량이 제한되다 보니 건설사들의 올해 수주예정 사업지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며 워낙 건설경기가 안 좋다 보니 재개발 수주 경쟁도 과열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도내 공동주택 공시價 3.2% 하락…인천 3.9% ↓

지난해 주택거래 침체로 경기도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이 3.2% 하락했다.국토해양부는 28일 올해 1월1일 기준 전국 공동주택 1천322만 970가구의 공시가격을 29일 확정 공시한다고 밝혔다.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경기도가 3.2%, 인천은 3.9%, 서울이 2.1% 떨어져 수도권이 평균 2.7% 하락한 반면 지방은 9.4%나 오르면서 전국 평균으로는 전년 대비 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경기, 인천, 서울 등 수도권의 경우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증가, 보금자리주택 공급 등으로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가 미쳤던 2009년(-5.9%)에 이어 2년 만에 공시가격이 하락했다. 또 재개발재건축 사업 지연과 각종 개발계획 취소, 지연 등도 공시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경기도내에서 하락폭이 컸던 지역은 과천(-7.8), 파주(-6.4), 고양 일산동(-6.0), 광명 (-5.9), 고양 일산서(-5.5) 등이었고 이 중 과천, 파주, 고양 일산동은 하락폭이 전국 5위 안에 들었다. 전국 1위는 인천 중구로 전년 대비 10.4% 하락했다.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경기도내 공동주택은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분당파크뷰(전용면적 244.7㎡)로 18억8천만원이었고, 공시가격 최저가를 기록한 공동주택은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프리빌(28.3㎡)로 800만원이었다.또 연립주택 최고가는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죽전극동스타클래스4차(244.2㎡) 12억3천200만원이었고, 최저가는 포천시 영북면 운천리 신대빌라나동(37.7㎡) 800만원으로 기록됐다. 이와 함께 시군구가 발표하는 단독주택은 전국적으로 1.04% 올랐다. 공동주택과 달리 경기(1.41%), 인천(1.01%), 서울(0.68%) 등 수도권 지역도 모두 상승했다.전국 최고가 단독주택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자택인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단독주택이 지난해 95억2천만원에서 올해 97억7천만원으로 2.6% 오르며 최고가 주택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공동주택 및 개별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국토해양부 홈페이지(www.mltm.go.kr)와 해당주택 소재지 시군구 민원실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음달 31일까지 열람할 수 있고, 이의가 있는 사람은 해당 시군구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반전세·오피스텔도 ‘전세자금대출’ 가능

최근 전세가 상승으로 급격히 늘어난 반(半)전세(월세를 낀 전세)도 앞으로는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또 도시의 아파트로 국한됐던 전세자금대출 가능 범위도 전국 모든 형태의 주택으로 확대, 주거용 오피스텔도 전세자금대출의 범위에 포함된다.금융감독원은 28일 이러한 내용의 전월세자금대출 확대방침을 정하고 시중은행, 특수은행, 지방은행 등 18개 은행에 관련 상품을 개발하도록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우선 금감원은 월세를 낀 전세계약(보증부 월세계약)에 대한 전세자금대출을 신청하면 전세금에서 임차기간의 월세금을 제외한 만큼을 담보로 대출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토록 했다.금감원은 또 군(郡) 지역 거주자나 아파트가 아닌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등에 전세계약을 맺어도 담보가치를 확인할 수 있으면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해지도록 했다.현재까지 대다수 은행은 시(市) 또는 광역시의 아파트에 대해서만 전세자금대출을 취급해 왔지만 서울보증보험이 금감원의 방침에 맞춰 다음달 2일부터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보증서 발급 기준을 대폭 완화키로 하면서 사실상 전국의 모든 주택에 대해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세금이 많이 올라 반전세 계약이 늘고 있지만, 은행들은 월세가 낀 전세자금대출은 하지 않았다며 월세금을 빼고 일반 전세와 마찬가지로 대출받을 수 있게 해 자금 마련 부담을 덜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수도권 아파트 70%…2년간 전세가 평균 3천700만원 ↑

지난 2년동안 경기도 등 수도권 아파트 10가구 중 7가구의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평균 상승액은 3천700만원이 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27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2009년 4월24일과 올해 4월26일의 수도권 전세가격을 비교한 결과, 2년새 경기도내 139만6천442가구 중 103만3천462가구(74.01%)의 전세가격이 올랐다.또 서울 시내 119만3천925가구 중 87.3%인 104만2천322가구의 전셋값이 상승했고, 신도시는 31만3천644가구 중 26만324가구(83%)가 뛰었다.수도권내 아파트 총 331만7천166가구 중 252만9천595가구(76.26%)의 전셋값이 오른 것이다.반면 70만6천667가구(21.3%)는 보합세를 기록했고, 전세가격이 내린 가구수는 8만904가구(2.44%)에 불과했다.가구당 평균 전세가 상승액도 경기도 2천899만원을 비롯해 서울이 4천936만원, 신도시는 3천657만원, 인천 1천709만원이 각각 올랐다. 이들 지역의 평균 상승액은 3천726만원이다.상승폭은 50만원 이상~2천만원 이하가 92만4천82가구(37.32%)로 가장 많았고, 2천만원 초과~4천만원 이하가 70만3천668가구(30.19%), 4천만원 초과~6천만원 이하가 44만1천4가구(17.43%), 6천만원 초과~8천만원 이하가 20만1천2백81가구(7.96%) 순이었다.특히 전셋값이 1억원 이상 폭등한 가구수는 9만6천889가구(3.61%)로 이 가운데 경기도에서는 과천시(2천272가구), 판교신도시(1천817가구) 등의 전셋값 상승이 두드러졌다.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홍희정의 경매이야기> 전·월세 때 최초 저당일자 꼭 확인을

작년 11월 중순 천안법원에 나온 물건이다.천안시 성정동 대지 106평 건물 189평 2년 된 5층짜리 건물로써 11가구의 세입자가 살고 있었다. 감정가는 8억5천만원, 최저가는 5억9천만원으로 3명이 응찰해서 77% 인 6억5천400만원에 고객 C씨가 낙찰 받았다. 11가구 중에 절반은 전액배당이며 나머지는 한 푼도 배당받지 못했다.원만히 합의해서 전부 이사 가고 지금 90% 재임대에 성공했다. 새 건물에 입주한다는 생각에 건물주와 부동산업자의 말만 믿고 세를 들어와서 낭패를 보는 세입자들도 많이 있다. 전세나 월세를 들어갈 때 등기부등본에 최초 저당일자를 꼭 확인하자. 임대차 보호법 적용시점은 전입일자가 아니라 근저당이나 가압류 날짜가 적용됨을 알아야 한다.추천 경매물 자료제공: 수원법률경매정보㈜, 문의(031) 212-3007 수원 영통구 아파트 시세 대비 저렴▲소재지: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현대힐스테이트아파트 10/10층 ▲감정가: 5억8천만원 ▲최저가: (64%) 3억7천120만원 ▲대지권: 57.612㎡ (17평) ▲전용면적: 127.908㎡ (39평) ▲입찰일 : 5월20일▲평형:47평형 ▲이용상태: (방4 주방및식당1 거실1 욕실겸 화장실2 발코니 등 / 동수원초등학교 북측 인근에 위치/부근은 대단위 아파트지대 인근에 편의상가 학교 공원 등이 소재 / 인근에 노선버스 정류장이 소재 대중교통여건은 양호 /현 시세가 대비 저렴한 물건. 천안시 숙박시설 교통상황 보통▲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운전리 ▲감정가: 7억6천703만원 ▲최저가: (70%) 5억3천690만원 ▲토지면적: 677㎡ (205평)▲건물면적: 647.85㎡ (제시외포함 259평) ▲입찰일: 5월17일 ▲보존등기일: 1993년 2월 ▲이용상태: 목천IC 북동측 인근에 위치 /주위는 국도변 상가지대로 각종 근린상가 숙박시설 주유소 휴게소 등이 형성/ 인근에 간선도로 및 버스정류장이 소재 교통상황 보통/북측 왕복 2차선 아스콘 포장도로에 접함. 현재 영업 중. 제주도 과수원 평당 4만3천원▲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과수원 ▲감정가: 1억6천889만6천원 ▲최저가: (100%) 1억6천889만6천원 토지면적: 12만992㎡ (3930.06평) ▲평당가:4만3천원 ▲입찰일: 5월2일 ▲이용상태:시흥초등학교 남서측 원거리에 위치 /주위는 전 및 과수원 임야 등이 혼재한 지역임/ 제반교통사정은 무난시/인접 도로 대비 등고 완만한 부정형의 토지/ 서측 및 동측 폭 약 4m 정도의 시멘트 도로 북측 폭 약 4m 정도의 비포장 도로에 접함 화성시 상가 인근에 공동주택단지정류장▲소재지: 화성시 반월동 반달마을 두산 위브 1/3층 ▲감정가: 3억6천만원 ▲최저가:(80%) 2억8천800만원 ▲대지권: 49.234㎡ (15평) ▲전용면적:58.125㎡ (18평) ▲입찰일: 5월12일 ▲보존등기일 :2007년 09월 ▲이용 상태: 율목초등학교 남동측 근거리에 위치/주위는 동 유형의 근린상가 등이 밀집해 있고 배후지로 공동주택단지가 형성/ 근거리에 노선버스정류장이 소재 교통사정은 무난/서측 노폭 약20m의 공도에 접함. 대단지 아파트 상가로써 상권 좋음.

서울 접근성 탁월·편리한 교통망 산업단지 인근 분양 받아볼까

수도권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근 분양물량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서울과 접근성이 뛰어나거나 배후수요가 풍부한 단지들이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산업단지 주변은 근로자 수요가 꾸준해 임대수익은 물론 각종 편의시설과 교통망 확충으로 앞으로 시세차익까지 기대해 볼 수 있다.■ 삼성디지털단지삼성물산은 수원시 신동 1,2도시개발사업지구에 113~150㎡ 1천330가구를 5월에 분양할 예정이다.부지 북쪽에 삼성전자 수원공장이 위치해 근로자 유입이 기대되는 사업지다. 삼성디지털시티 내에 2013년 삼성연구소 R5가 완공되면 연구 인력이 1만여명 신규 입주가 예정돼 배후수요가 한층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영통지구, 매탄동, 권선동 등과 인접해 다양한 편의시설(갤러리아백화점, 그랜드백화점, 이마트, 홈플러스, 농수산물도매시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분당선 연장구간(2013년 말 개통 예정)이 개통 시 방죽역과 매탄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어 대중교통 이용도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 송탄산업단지코오롱건설은 평택시 장안동 483번지에 90~138㎡ 1천943가구 대단지를 지난 4월 14일부터 분양 중이다. 사업부지 남쪽에는 송탄산업단지가 위치하며, 서쪽에는 고덕국제도시가 조성될 계획으로 배후 주거단지로 기대가치가 높은 곳이다. 경부선 전철 서정리역과 차로 10분거리며, 평택~제천고속도로와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접근성이 좋아 교통여건도 우수한 편으로 분양가는 3.3㎡당 789만~850만원에 책정됐다. 효성은 평택시 소사벌지구 B-4블록에 109㎡ 1천58가구를 분양 중이다. 소사벌지구 내 첫 분양으로 모두 전용면적 85㎡이하 물량으로만 이뤄져 실수요자들은 관심을 둬볼 만하다. 분양가는 3.3㎡당 937만~956만원이다. ■ 오정산업단지 현대산업개발은 부천시 원미구 약대동 약대주공2단지를 재건축한다. 총 1천613가구 규모며 여기서 85~208㎡ 425가구를 오는 6월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약대주공2단지 재건축 인근에는 오정산업단지가 있다. 오정산업단지는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 일대에 있는 산업단지로 경인고속도로와 서울외곽순환도로 등 주요도로 진입이 쉬워 서울 및 수도권 지역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곳이다.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이미 주거지가 잘 갖춰져 생활환경이 편리한 장점을 갖췄다. 부천초등, 중원초등, 중원고 등의 기존 학군 통학이 수월하고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이 2012년 10월 개통될 경우 부천시청역(가칭)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양촌산업단지양촌산업단지 동쪽에는 신도시 김포한강이 위치해 직접적인 산업인력 수요층이 두터울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신도시 김포한강에는 합동분양이 진행 중이다. 총 5개 블록에서 4개 블록이 분양 중이며, 중소형아파트 물량 비율이 높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우건설은 Aa-10블록에 80~84㎡ 812가구를 분양하며, 한라건설은 Ac-12블록에서 129~157㎡ 857가구를 분양한다.반도건설은 한라비발디 인근 Aa-9블록에 80~81㎡의 1천498가구 규모의 대단지를 분양하고 있다.이외 김포도시공사(시행)가 Ab-5블록에 98~113㎡ 572가구 임대아파트의 청약접수를 27일부터 진행한다. ■ 양주남면산업단지양주시 덕정동 417의 2번지에 서희건설이 103~133㎡ 1천68가구 대단지를 7월에 분양을 앞두고 있다. 부지 북쪽에 양주남면산업단지가 위치하며, 경원선 전철 덕정역이 걸어서 10분 거리다. 덕정초등, 덕정중 등은 걸어서 학군 통학이 가능하다. 주변에 회천, 옥정지구가 조성된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임해규 의원, 진퇴양난 뉴타운 퇴로 열어줘야

한나라당 뉴타운사업특위 위원장인 임해규 의원(부천 원미갑)은 25일 이미 진퇴양난이 되고 있는 뉴타운 사업의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고 밝혔다.임 의원은 이날 한 방송에 출연해 (뉴타운 사업) 주민들이 이렇게 해서는 안 되겠다 싶으면 안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 되는데, 현행법은 시공사나 지자체가 사업을 추진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만들어져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임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정부구역 고시 이후 2년안에 조합설립추진위 승인을 받지 못하거나, 조합설립추진위 설립 이후 2년이내에 조합설립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토지소유자의 25% 이상이 동의하면 지방자치단체가 지구지정을 해지할 수 있도록 했다.그는 사업을 중단할 경우 그동안 들어간 비용에 대해선 다들 가난한 주민들인데 시가 그 비용 중의 일정한 부분(50 %이하)은 지원을 해주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고, 개정안을 통해 뉴타운 지구의 용적률을 500%까지 올리는 것은 과도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국토법 시행령에 최대 300%까지로 돼 있다며 언론에서 잘못 보도한 것이라고 답했다.그는 또 시 정부가 (조례를 통해 시행령 허용치보다 낮은) 200%로 해라, 하면서 30% 정도를 선심을 쓰듯 주는 듯하면서 기부채납을 주민들한테 하도록 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PF(프로젝트파이낸싱)대란’… 도시개발사업 ‘험난한 길’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란으로 지역 주요 도시개발사업들이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24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도내 각 지역 주요 도시개발사업들이 PF대출 어려움 등으로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용인지방공사가 최근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선 용인 역북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사업 신청자가 전무해 사업 방식을 변경키로 했다.이 사업은 용인지방공사가 민간사업자와 합동으로, 용인시 역북동 528의1번지 일대 41만6천787㎡(민간개발 16만6천912㎡) 부지에 단독주택을 포함한 주택 3천여가구를 짓고, 복합도시지원시설을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공사는 이를 위해 지난 2월 민간사업자 공모를 개시했고, 건설사와 금융기관 등 4개 사업자로부터 참여의향서를 받았다.그러나 최근 공사가 사업계획을 접수한 결과, 민간사업자는 아무도 참여하지 않았다.역북지구 사업의 경우 민관합동 사업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PF대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5천억원에 달하는 토지비용을 마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또 용인을 포함한 수도권 일대의 미분양이 줄지 않아 적정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이처럼 민간 사업자 선정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공사는 민관합동 개발방식을 철회하고, 공동주택 및 복합시설용지 등을 따로따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업계와 전문가들은 PF시장의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는 이상, 민관합동 도시개발사업도 상당기간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하남도시개발공사가 추진 중인 지역현안사업1지구도시개발사업도 민간사업자 모집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대상부지가 보금자리주택의 영향권에 들어 있고 30대 건설사가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등 제약요건도 까다롭기 때문이다. 도내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PF시장의 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공사 중이거나 준공된 사업을 제외하고, 제대로 굴러가는 민관합동 도시개발사업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민간의 PF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