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Im convinced that it changes the basi chemistry of orange juice when they concentrate it. B: Yes. I prefer to buy fresh orange juice rather than concentrated any day. A: 오렌지주스가 추출됐을 때 기본적인 화학변화가 있다고 생각해. B: 맞아. 나는 추출된 것 보다 추출되지 않은 오렌지주스 사는 것을 선호해. concentrate : con=together, centr=center으로 모든 것을 중심으로 모아서 집중하는 것을 의미하여 동사로는 집중하다어떤 특정 지역에 모이다(모이게 하다)전념하다로 쓰인다. 자료제공=
A: I dont understand what you are trying to explain. Can you demonstrate it on your computer? B: Sure, I can show what the problem is, but it might be different from another type of operating system. A: 너가 무슨 말을 설명하려는지 이해가 안 가. 컴퓨터에서 제대로 보여줄 수 있어? B: 물론, 문제가 뭔지 보여줄 수 있지만, 다른 타입의 운영 체제와는 좀 다를 수 있어. demonstrate : ~을 증명하다. 설명하다. 시위하다라는 뜻으로 de-(강조) + monstr(appear/show) + ate라는 말이 합해져서 완전히(강조) 뭔가를 보여주다라는 뜻이다. 자기의 생각/주장/철학/태도를 분명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하다 보니 시위하다/데모하다/입증하다/시범을 보이다 라는 뜻이 있는 것이다. 자료제공=
A: I finally convinced my parents to adopt a dog from the humane Society. B: Before you make a selection,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general dog breeds and learn the typ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ny dog breed you might consider. Some make better family pets than others. A: 나는 마침내 동물 애호회로부터 개를 입양하는 것에 부모님을 설득했어. B: 선택을 만들기 전에, 일반적인 개 품종 대해 잘 알아보는 것과 너가 고려하는 전형적인 개 품종의 행동특성에 대해 배우는 것이 굉장히 중요해.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 애완동물을 선택해. 어떤 사람이 You look very familiar to me. 라고 이야기를 하고 상대방은 Really? Im a type.이라고 대답한다. 여기서 type은 symbolizing=representing이라는 뜻인데, 자기가 어떤 그룹이나 장소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인물임을 이야기한다. 자료제공=
A: When I was young, I thought it would be great to be a secret agent. B: Me, too. But now I am more realistic about what I want for a career. A: 내가 어렸을 때, 비밀요원이 되면 굉장할 거라고 생각했어. B: 나도. 하지만 지금은 내 경력을 위한 것을 원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지. flack은 우리말로 방패막이라는 뜻이다. 특히, 언론사를 본인에게 유리하게 관리하고 움직이는 언론 홍보 담당자를 뜻한다. 이와 비슷하게 사용되는 agent는 대리인인데, 그래서 real estate agent는 부동산 중개업자(agency=중개업소)를 말한다. 즉, 타인을 대신해서 특정한 행동이나 활동을 직접 수행 할수 있는 권한/권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중요한 동의어로는 proxy가 있다. 자료제공=
A: Please! I have done all my homework and helped with the dishes. I really want to go to the movie with Jill. B: Okay. You have persuaded me. You can go to the movie. A: 제발! 나 숙제도 다 했고 설거지도 도왔어요. Jill과 함께 영화를 너무 보고 싶어요. B: 알겠어. 네가 날 설득시켰어. 영화 보러 갔다오렴. persuade는 ~을 설득하다/ 설득해서 ~을 하도록 만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per=throughly(완전히)의 의미이고 suade=sweet(달콤한)의 뜻이다. 즉, 누군가를 완전하게 달콤하게 설득시켜서 행동까지 하게한다는 의미다. 자료제공=
A: My taxes for next year seem to have increased quite a bit. How about yours? B: Same here. I think I will ask the assessors office to come back and assess my properly again. There must be a mistake. A: 내년 내 세금이 엄청나게 오른 것 같아. 너는 어떠니? B: 나도 마찬가지야. 나는 내가 회계사 사무실에 요청해서 내 재산을 꼼꼼하게 평가해 달라고 할 것 같아. 실수가 있었던 게 틀림없어(이렇게 많이 낼 이유가 없어). 평가하는 것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 assess와 evaluate과 다르다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사람을 고용할 때 뽑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 결론을 내리는 것을 evaluation이고 항목별로 수치적으로 평가 하는 것을 assessment라고 한다. assessment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이고, 반면에 evaluation은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평가를 뜻한다. 자료제공=
A: Hey Mom, I already practiced my flute today. B: Great! When you perform your solo at the recital, you will find it goes much better because you practiced. A: 존의 문제는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거야. B: 훌륭해! 발표회에서 솔로무대를 보여줄 때, 너가 연습했기 때문에 훨씬 더 잘하게 된 것을 알게 될거야, performance는 하는 것(doing/발휘되는 것)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가지고 가장 최고(completely)의 것(기준에 맞게 잘 보여주는 것)을 해낼 때 쓰이는 단어이다. 그래서 보통 음악이나 연주를 공연할 때 쓰이는 단어가 바로 perform이다. 자료제공=
A: I want to go running in the park. Do you think it is too late? B: There is a 10 p.m curfew. That fact might be relevant to your decision. A: 공원에 뛰러 가고 싶다. 너무 늦었나? B: 10시 통금시간이잖아. 그 사실이 너의 결정에 관련이 있을 거야. Relevant : 적합한타당성이 있는딱 들어맞는을 의미한다. 명사형인 relevance은 적합함타당성실용성(객관적인 기준이나 판단 근거에 딱 들어맞는 것)을 뜻한다. 자료제공=
A: Its just not fair! Everyone else gets to stay out later than I do! B: I am your mother. This is not an issue for debate. Your curfew is 11:30 and you will be home by then! A: 이건 그냥 공평하지 않아! 다른 사람들은 다 나보다 더 늦게 까지 있다고! B: 난 네 엄마야. 이건 토론할 주제가 아니야. 너의 통금은 11시 반이고 그때까지 집에 들어와. debate : 이 단어는 de(=downcompletely) + battere(b=eat)의 합성어로 어떤 주제에 대해서 깊이(down)있게 생각하여 완전히 다른 생각의견을 갖고 서로 소통하면서 공식적으로 싸우는 과정. 즉, 토론을 말한다. 자료제공=
A: Im convinced that it changes the basic chemistry of orange juice when they concentrate it. B: Yes. I prefer to buy fresh orange juice rather than concentrated any day. A: 오렌지주스가 추출됐을 때 기본적인 화학변화가 있다고 생각해. B: 맞아. 나는 추출된 것 보다 추출되지 않은 오렌지 주스 사는 것을 선호해. Design Concentration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여기선 CONCENTRATION이 정신집중이라는 뜻으로 쓰여 어떤 물건을 만들 때 정신 집중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물건을 의미한다. 자료제공=
A: Did you know the Smiths are getting a divorce? B: I saw the divorce notice this morning in the paper. I wonder what happened. A: Smith부부가 이혼하는 거 알고 있었어? B: 오늘 아침 뉴스에서 이혼 공지 봤어. 대체 왜 그런 건지 궁금하다. notice는 가장 중요한 뜻이 attention과 observation이다. 자기가 알아차릴 때와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남에게 알리는 것을 모두 notice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notice는 명사와 동사의 의미 두 가지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동사로는 알아차리다/ 알리다, 그리고 명사로는 알아챔, 공고문이라는 뜻이다. 동의어로 가중 중요한 것은 perceive(~을 감지하다/인지하다)가 있다. 자료제공=
A: We have to leave immediately before the flood waters rise. Where are all the important papers? B: Lets be calm. We are prepared for this crisis. Ill get the file with all our papers and you get the dogs. We are going to be okay! A: 홍수 물이 불어나기 전에 우리 빨리 벗어나야해. 중요한 문서들이 어디 있지? B: 진정해야해. 이 위기에 대한 대책이 있어. 내가 파일과 우리의 문서들을 챙길 테니깐 너는 개를 챙겨. 우리는 괜찮을 거야! 영어로 위기(crisis)는 상황에 대한 판단, 의사결정, 구분이라는 뜻을 갖는 Krinein에서 유래되었는데, 위기는 최악의 상황이 아니라, 대처하기에 따라 긍정 혹은 부정의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결정적 순간을 뜻한다. 즉, 어떤 상황이 계속 쌓이다가 중대한 결정을 해야 하는 위기적인 사태(critical momentsituation)를 말한다. danger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은 danger의 경우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을 의미한다. 자료제공=
A: Got any ideas about what we can contribute to the schools fundraising auction? B: How about those antique dishes we got from your great aunt? Someone might really like those. A: 우리가 학교 모금 경매에 기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 있어? B: 저번에 너의 고모할머니한테 받은 옛날 그릇들은 어때? 어떤 사람들은 굉장히 그걸 좋아할 수 있어. contribute : 기부하다공헌하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여기서 con-은 withtogether의 뜻이고 tribute는 allotpay(=주다)라는 뜻이다. 어떤 공동의 목표를 위해서 직접 기여하고공헌하고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료제공=
A: I am so tired. I dont have the capacity to read another word tonight. B: You should probably sleep now and get up early tomorrow to study a little more. A: 나 너무 피곤해. 오늘 밤에 글을 읽을 힘이 더 이상 없어. B: 지금 자고 내일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공부를 조금 더 하는 편이 좋을 것 같아. 우리말에 능력역량수용능력재능이라는 말은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르게 쓰인다. 영어에도 capacitycapabilitycompetencefaculty가 있다. 여기서 capacity는 뭔가를 담아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래서 He is a man of great capacity라고 하면 그 사람은 어마어마하게 담아 낼 수 있는 역량수용 능력이 있다는 뜻이다. 자료제공=
A: How could she say such stupid things? She is crazy! B: Calm down! Her comments were aimed at me, not at you. A: 어떻게 그녀는 그런 어리석은 말을 할 수 있지? 그녀는 미쳤어! B: 진정해! 그녀의 말들은 너가 아닌 나를 겨냥한 거였어. aim : (제대로 평가하고 계산해서 정확하게 어떤 것을) 맞춰가다조준하다목표를 겨냥하다라는 의미이다. aim과 비슷한 말로 object와 goal이 있다. aim(샛길로 빠지지 않고 그 목적을 위해서만 매진 할 때 쓰임) 자료제공=
A: I have been working night and day on this project and I am tired! I want to take a break, but I need to keep working. B: A break might be a good idea. You have made a lot of progress. A: 이 프로젝트를 밤낮으로 일했더니 피곤해. 잠시 쉬고 싶지만 계속 일해야 해. B: 잠시 쉬는 것이 좋은 생각 일지도 몰라. 넌 많은 진전을 만들어 냈어. progress에서 pro-는 접두어로 forward의 뜻이고, gress는 walking의 뜻이다. 즉, 앞으로 걸어가는 것으로 발전, 진전, 진전을 보이다. 진척을 하다(점진적으로 일을 진전 시켜서 성과나 일을 완수시켜서 나아가다)라는 뜻이다. 자료제공=DYB최선어학원
A: Would you like to go to the National Museum tomorrow? B: Thats a good idea. The museum is full of rare and precious treasures, isnt it? A: 내일 국립박물관 갈래? B: 좋은 생각이야. 박물관은 희귀하고 값진 보물들로 넘쳐나잖아, 그렇지 않아? rare : 드문, 진귀한 부족하고 특이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는 것을 뜻한다. 유의어로는 sporadicerraticunique가 있다. 특히, erratic behavior는 돌발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반대말로 normal이 있는데, 여기서 normal은 not wrong의 뜻으로 normalize는 정상화시키다라는 뜻이 된다. 자료제공=
A: I have a lot of difficult math material to cover this afternoon, so I must get the students to settle down as soon as they come back from lunch. B: Good luck! Getting the kids to settle down and focus on work is often difficult, but it is especially hard just after lunch. A: 오후에 어려운 수학 문제들을 많이 다뤄야 하니까, 점심 뒤에 학생들이 돌아오는 즉시 바로 아이들을 앉혀야해. B: 행운을 빌어! 아이들 앉히고 공부에 집중시키는 것은 가끔 어려워. 특히 점심 바로 뒤엔 더 어렵지. settle : 유럽기어 sed에서 왔는데 안다라는 의미이다. 또한 정착시키다라는 의미도 중요하게 사용된다. 자료제공=
A: We just got an invitation to the AIDS benefit next month. Can we go? B: I think we should. That event always raises lots of money and awareness. A: 우리 방금 다음 달에 있는 에이즈 행사 초대장 받았어. 우리 갈 수 있어? B: 우리 가는 게 좋을 것 같아. 그 행사는 항상 많은 자선금과 인식을 끌어 모았어. benefit : ben-은 라틴어로는 good이라는 의미이고 -fit은 do 또는 make의 뜻을 갖고 있으며, 우리말 의미로는 혜택이득수당이라는 뜻이다. 여름날씨가 너무 더워서 자주 가시는 카페이름이 하나 떠오를 것이다. 맞다. 바로 Cafe Bene! 혜택주는 카페라는 뜻이다. 자료제공=
A: Do you think we can beat South High this week? B: I hope so. Our soccer team needs a win to stay eligible for the tournament. A: 너는 우리가 이번 주에 South High를 이길 수 있을 거라 생각해? B: 그러길 바래. 토너먼트 자격을 유지하려면 우리 축구팀은 이겨야 해. beat : 때리다상대방을 이기다박자 등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beat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반복적으로 계속 일정하게 때리다라는 의미이다. 마치 음악에서 계속 두드리면서 소리가 나는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beaten track(path)은 사람이 계속해서 발자국을 남겨서 생긴 산길, 상도(누구나가 다 아는 상인들끼리 지켜야 되는 규칙)를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자료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