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 제7회 전국학생 글로벌 경제토론대회

대한민국 차세대 리더들의 토론마당 ‘제7회 전국학생 글로벌 경제토론대회’가 8월3~4일 수원 아주대학교 종합관에서 개최돼 이틀간의 열전 뒤 성료됐다. 이번 토론대회에서는 전국에서 참가한 120명의 고등학생들이 6개 조로 나눠 ▲징벌적 손해배상제, 계속 확대되어야 하는가 ▲공공부문 일자리를 OECD 수준으로 늘려야 하는가 ▲비정규직은 정규직으로 모두 전환하여야 하는가 ▲4차 산업혁명 시대, 통신비 기본료 폐지 필요한가 ▲국공립 유치원을 계속 확대해야 하는가 ▲전월세 상한제 필요한가 등 6개의 주제로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1개조는 4팀(찬성 2, 반대 2)으로 구성해 대학원생 멘토의 지도를 받아 조별로 논리적이고 전문적인 의견을 펼쳤다. 또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통계와 사례를 들어 자신들의 논거를 뒷받침하며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에 앞서 독특한 팀 명을 소개하는 등 학생들만의 창의적이고 톡톡 튀는 매력을 선보였다. ▲ 박서연 (주)퍼스널브랜딩코리아 대표가 특강을 하고 있다. 토론회는 권혁성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심사위원들은 토론주제에 대한 준비 및 이해와 관련된 충실성, 의견 제시 방법에 대한 논리성, 팀원들 간 협동성 등 토론방법에 대해 공정하면서도 심도있게 심사했다.특히 토론 대회가 끝나고 마련된 명사 초청 특강 시간에는 박서연 퍼스널브랜딩코리아 대표가 ‘꿈의 근육을 키워라’라는 주제로, ▲꿈에 맞는 언어습관을 가질 것 ▲긍정적이 될 것 ▲꿈을 찾기 위해 정점을 맞출 것 ▲마음의 장벽을 허물 것 ▲매일 목표를 이야기할 것 등을 학생들에게 조언했다. 또 박신환 경기도 일자리노동정책관도 경기도 도시들을 통해 미래 생겨날 일자리들을 학생들에게 소개해 호응을 얻었다.대회에 앞서 열린 개회식에서 신항철 대표이사 사장은 “대회에 참가한 학생 여러분이 대한민국의 미래인 만큼 그 역할과 경쟁력이 매우 중요한 상황에서 이 대회가 그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토론회에 참가한 24개 팀 중 15개 팀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고, 수상하지 못한 팀 중 2명의 학생(우성고 유승찬·이화여자외고 고다흡)이 개인 토론 우수자로 선정돼 상을 받았다. 최고 영예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은 수원여자고등학교 ‘EMO’ 팀의 성지윤·손예빈·강진하·강윤선·김하영양에게 돌아갔다.한편, 경기일보가 주최하고 아주대학교가 주관한 이번 토론대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등이 후원했다.글_김규태ㆍ유병돈기자 사진_전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