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재테크>약세장에서는 냉정함이 중요

물가상승에 따른 실물경기의 위축 및 기업의 내수부진에 따른 불안감 등 개인투자자들이 직접 느끼는 불안요소들은 크다. 현시장에서는 냉철함과 집중력, 그리고 자제력이 필요하다. 이 세가지를 앞세워 약세장에서도 수익을 내는 투자자들이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철저하게 투자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충실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첫째, 장세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장세를 여러 장세로 분류, 목표수익율을 설정하고 종목당 목표수익율을 결정해야 한다. 투자실패의 가장 큰 요인은 ‘대박신화’이다. 올해를 전반적인 하락장으로 본다면 종목당 목표수익율을 10%정도로 설정하고 투자자산의 일정부분을 현금자산으로 운용하면서 주식부분의 비중을 축소하는 것도 한 방편이다. 둘째, 우량 소수종목을 집중 공략한다. 현재의 시장은 좋은 종목을 고를 기회이다. 외국인과 기관의 보유비중이 적으면서 기업의 순자산가치와 수익가치가 좋고 사양산업이 아닌데도 저평가된 종목을 고른 후 순자산가치 수익가치 등 절대적인 가치를 분석해 국·내외 동종업체의 가격을 상대적으로 비교해 적정주가를 산출한다. 종목수는 10종목 내외가 적정하다. 셋째, 시장 흐름에 동반한다. 집중력과 자제력, 냉철함이 투자의 가장 기본 골격이다. 욕심을 버리고 수익률과 손절매 모두 확실한 매매기준을 세우며 아집에 매달리지 않는다. 기본과 원칙을 무시하는 투자는 이러한 약세장에서는 결코 지속적인 수익을 낼 수 없으며 심한 경우에는 속된 말로 ‘깡통’을 찰 수 있다. 주식거래 하루하고 대박을 터트린 사람은 없다. 많은 노력을 통해 자신의 원칙을 견고하게 세워 충실하게 따르는 사람만이 대박을 낼 수 있다. ‘대박신화’는 기본과 원칙에 충실할 때 터지는 것이다. <이경배 제일투신증권 수원지점장>

[테마]금융기관 담보대출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을 맞아 가계자금이 필요로 하는 서민들이 많아지고 있다.이에 따라 금융기관들도 다양한 대출상품을 선보이며 고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금융기관들의 대출상품중 담보대출에 대해 알아본다. 담보대출하면 대부분 아파트 등 주택을 담보로 한다. 은행권이나 보험업계 모두 담보대출 금리 인하 경쟁을 벌여 평균 10%의 금리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택담보대출중 금리 조건이 가장 좋은 것은 평화은행의 ‘근로자주택자금대출’이다. 그러나 모두 해당되는 것이 아닌 본봉 3천만원 미만의 근로자들만을 대상으로 연리 7.75%의 금리가 적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 아파트담보대출도 실시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인터넷을 통해 아파트 담보대출을 실시, 대출금액은 아파트 가용담보액 범위내에서 제한이 없으며 금리는 최저 연 9.3%(기준금리 연동)이다. 대출을 받으려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고 결과를 통보받은 뒤 서류를 준비해 영업점 창구를 한번만 방문하면 된다. 신한은행도 8월21일부터 은행권 최초로 인터넷을 통해 대출금액과 승인여부를 즉각 알려주는 아파트담보대출을 실시, 대출금액은 최고 5억원, 금리는 기준금리연동인 경우 최저 연 9.3%이다. 주택은행 ‘새론주택자금대출’은 9%로 매월 상환할 원금을 일점범위에서 변경 할 수 있는 고객지정 상환제도다. 또 하나은행에서 판매하는 ‘이자내맘대로대출’은 대출만기전에 고객이 원하는 때에 아무때나 이자를 납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금리는 9.75%다. 보험업계의 주택담보대출은 8%대다. 금호생명의 팰컨스 아파트 담보대출은 보험업계 최저 수준인 8.7%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부동산 담보대출전 알아두면 편리한 사항 ▲대출가능금액 산정방법 시가-선순위 채권최고액-전세보증금-(본인 사용방수×800-1.2원)=담보가능금액 대출가능금액:아파트는 담보가능금액의 80∼90%, 빌라는 담보가능금액의 60∼70%, 전, 답, 임야, 나대지는 담보가능금액의 40∼50%를 받을 수 있다. 단 대출가능금액은 금융기관별로 부동산경기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자가 부동산감정방법 아파트, 빌라는 인근 부동산 사무소에 확인하며 주택, 전, 답, 임야, 나대지는 구청의 공시지가 확인원을 통해 나온 금액의 120%선이다. 주택 건물가격은 경과년수 및 건물내용에 따라 대지 시가의 10∼20%선이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