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372억원 추가 재정부담 떠안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고양시 행신동에 건설하는 경부고속철 차량기지와 고양시가 건설할 도시계획도로가 중첩되는데도 불구 이에 대한 협의책 없이 차량기지 건설을 추진, 고양시가 372억원의 추가 재정부담을 떠 안게 됐다. 감사원의 28일 밝힌 ‘99 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에 따르면 한국고속철도공단은 고양시 행신동 일대 136만8천㎡(41만4천평) 차량 24편성 주차 및 44편성 경수선 시설이 들어서는 경부고속철도 차량기지를 98년 12월 착공, 9월 현재 39.1%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이 차량기지는 고양시가 건설할 계획인 도시계획도로 2.5㎞ 구간과 중첩되어있는 상태로 차량기지 밑에 도로를 지하차도로 먼저 시공할 경우 예산(공사비)를 아낄 수 있다. 그러나 고양시가 도시계획도로 건설에 소요되는 예산이 없어 도로공사를 늦추고 있는 상태에서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고속철도기지 건설을 추진, 오는 2002년 11월에 완공할 예정이다. 따라서 고양시는 고속철도 차량기지를 건설한 뒤에 차량기지 위에 고가차도로 도시계획도로를 건설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공사비 372억원의 추가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관련 감사원은 “차량기지 중첩구간의 도시계획도로 공사에 필요한 예산을 조기에 확보, 고양시가 도로공사를 시행 한 후 지방양여금으로 상환받거나 공사 시기를 조정, 중첩구간의 도로공사를 우선 시행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 통보했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테마]축산통계 발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한육우, 젖소, 돼지, 닭 등에 대한 사육두수 등을 조사한 축산통계를 발표했다. 한육우는 2001년 수입개방에 따른 농가의 사육심리 위축으로 크게 감소했으며 젖소는 낙농경영여건이 개선되면서 지난해에 비해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는 지속적인 증가현상을 보이고 잇는 가운데 최근 산지가격 하락으로 모돈수는 감소했으며 닭의 경우 장기간 계란가격 하락에 따라 3개월전에 비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축종별로는 다음과 같다. ▲한육우 총마리수는 171만3천두로 3개월전보다 4.9%인 8만8천두가 감소해 전년동기보다 18.2%인 38만1천두가 감소했다. 가임암소는 73만8천두로 3개월전보다 6%인 4만7천두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는 20.6%인 19만1천두가 줄어들었다. 소규모 사육농가를 중심으로 사육마리수가 감소했으며 이는 2001년 수입개방 시기가 다가오면서 농가의 불안감으로 사육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00두미만 사육농가는 지난해 9월 187만5천두, 지난 6월 161만두, 9월151만2천두로 지속적으로 감소한반면 사육기반이 안정된 100두이상은 지난해 9월 21만9천두, 지난 6월 19만1천두, 지난 9월 20만1천두로 다소 증가했다. 사육가구수는 30만5천가구로 3개월전보다 6.4%인 2만1천두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는 18%인 6만7천호가 감소했다. ▲젖소 총마리수는 54만2천두로 3개월전보다 0.2%인 1천두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 1.3%인 7천두가 증가했다. 가임암소는 37만1천두로 3개월전보다 0.3%인 1천두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 1.1%인 4천두가 증가했다. 사육두수는 약간 감소됐으나 사료가격의 하락 등 낙농경영여건이 지속적으로 안정되면서 전체적으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전체사육농가의 72.8%를 차지하는 50두미만 사육농가의 마리수는 감소하고 50두이상 농가에서 사육마리수는 약간 증가했다. 사육가구수는 1만3천600호로 3개월전보다 1.4%인 200호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 8.7%인 1만3천호가 감소했다. 가구당 마리수는 39.8두로 전년동기의 36두보다 늘어나는 등 사육마리수와 가구수가 감소한것과 대조를 이뤘다. ▲돼지 총마리수는 837만1천두로 3개월전보다 3%인 24만5천두가 증가했고 전년동기보다는 7.1%인 55만8천두가 증가했다. 모돈두수는 93만2천두로 3개월전보다 0.4%인 4천두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는 5.4%인 4만8천두가 증가했다. 전분기까지 지속적인 모돈수 증가에 따라 자돈생산이 증가해 전체 사육마리수는 증가했으나 모돈수가 감소한 것은 최근 산지가격 하락에 따른 경영악화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100두미만 영세한 농가 사육마리수는 감소하고 100두이상 사육농가는 증가했다. 사육가구수는 2만3천500호로 3개월전보다 4.5%인 1천100호가 줄었고 전년동기보다는 3.3%인 800호가 감소했다. 사육가구수는 감소했으나 사육마리수 증가로 호당마리수는 전분기보다 8%가 증가했다. ▲닭 총마리수는 9천579만9천수로 3개월전보다 19.3%인 2천297만4천수가 감소했고 전년동기보다 4.7%인 476만8천수가 감소했다. 장기간의 계란가격 하락에 따라 농가의 사육의욕 저하로 신규입식을 자제하고 6개월령이상 마리수의 감축으로 전체사육마리수가 감소했다. 사육가구수는 23만2천호로 3개월전보다 2.1%인 5천호가 줄었고 전년동기보다는 10%인 2만1천가구가 늘어났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예금금리 5개월만에 상승세

5개월째 하락했던 예금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선 반면 대출금리는 하락해 은행의 예대마진이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8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수신평균금리(요구불예금 제외)는 연 6.19%로 전달(연 6.16%)보다 0.03%포인트 올라갔다. 예금은행 수신금리는 지난 2월 연 6.37%에서 3월에 연 6.35%로 떨어진 이후 4월 연 6.28%, 5월 연 6.19%, 6월 연 6.17%, 7월 연 6.16%로 3월 이후 5개월째 하락했었다. 한은 관계자는 “이는 정기예금 금리는 하락했으나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정기적금과 상호부금에 돈이 많이 몰리면서 은행권의 수신구조가 장기화됐기 때문”이라면서 “이에 따라 8월중 예금금리가 올라갔다고 해서 자금시장이 어려웠다고는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상품별로 보면 정기적금과 상호부금은 각각 0.47%포인트와 0.20%포인트 상승한 반면 정기예금(1년이상 2년미만)과 기업 자유예금 금리는 각각 0.05%포인트와 0.03%포인트 내려갔다. 반면 예금은행의 대출평균금리는 연 8.41%로 전달보다 0.10%포인트 떨어져 은행의 예대마진은 2.35%포인트에서 2.22%포인트로 축소됐다. 차입주체별로는 가계대출금리가 연 9.92%에서 연 9.77%로, 기업대출금리도 연 8.15%에서 연 8.02%로 각각 하락했다./연합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