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향 한마음 음악회

수원과 자매도시를 맺은 제주시의 시립교향악단이 5일 오후7시30분 수원 청소년문화센터 온누리 아트홀에서 ‘자매도시 우정을 잇는 한마음 음악회’를 마련한다. 제주시립교향악단은 지난 1985년 제주 최초의 기성합주단인 탐라관악합주단을 모태로 시작돼 19877년에 교향악단으로 승격,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창단이후 200여회에 이르는 정기연주회, 특별연주회를 개최ㅎ하고 제일교포를 위한 동경 방문 연주회를 개최하는 등 해외로도 활동무대를 넓히고 있으며 고 이선문 교수에 이어 지난 1998년 2월 지휘자 이동호씨가 제2대 상임지휘자로 취임하면서 제주시향에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현재 연 50여회 활발한 연주활동으로 제주 문화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제주시립교향악단은 수원 공연에 앞서 3일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펼쳐지는 ‘교향악 축제’에 참여한다. 이동씨의 지휘와 피아니스트 김용배씨의 협연으로 꾸며질 이번 무대는 홍진표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샤먼’, 거쉬인의 ‘피아노 협주곡’, 루토 슬라브스키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느영나영’ ‘오돌또기’ ‘이야홍 타령’등 제주민요 모음이 연주된다. 홍진표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샤먼’은 무속의식의 원시성을 음악에 담아낸 것으로 동서양의 음악적 대립을 보편화시켜 만들어 낸 곡이며, 폴란드를 대표하는 현대 작곡가 루토슬라브스키가 1954년에 작곡한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은 전제적으로 고전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으나 내용은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음악이다. 이번 연주회는 클래식의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제주도 특유의 정서가 담긴 민요를 한껏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도립팝스오케스트라 정기공연

경기도립팝스오케스트라의 제12회 정기공연 ‘리듬앙상블과 함께 하는 팝 페스티벌’이 오는 6일 오후 7시30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다. 이번 공연은 강렬한 사운드와 화려한 무대매너로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 도립팝스오케스트라의 리듬앙상블팀이 단독으로 정기공연을 마련, 신선한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립 리듬앙상블팀은 전자바이올린의 김권식씨를 비롯, 드럼 임헌수, 섹소폰 조태신, 베이스기타 황석규, 신디사이저 최창혁, 전자기타 서강철, 퍼커션 윤주일 등 7명으로 구성, 탄탄한 팀웍을 바탕으로 한 폭발적이면서도 정교한 연주를 자랑한다. 특히 팀원들 모두 각 악기별로 애들립(즉흥연주)이 가능할 정도로 기량을 갖추고 있어 기존에 익히 들었던 음악이라도 또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이번 연주에선 록 형태로 편곡된 베토벤의 ‘운명교향곡’이 아주 색다른 분위기를 전해줄 것으로 기대되며, 드라마 ‘애인’의 삽입곡 ‘I·O·U’와 조성모의 ‘가시나무새’, 케니지의 ‘하나바’ , ‘하바나길라’ ‘유모레스크’ 등 어느 한곡도 놓칠 수 없는 곡들로 가득하다. 특별출연하는 요들송 가수 서용율씨가 ‘아름다운 스위스 아가씨’ ‘챠임벨’ ‘아름다운 베르네 산골’ 등을 관객들에게 선사해 흥겨운 시간을 더해준다. 요들송에서 클래식, 인기가요, 팝 등이 어우러지는 리듬앙상블의 이번 공연은 어린이부터 장년, 노년층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즐겁고 유쾌한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입장권 A석 5천원, B석 3천원 문의 (0331) 230-3242∼8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서경석선생 4월의 문화인물로 선정

문화관광부는 황진이·박연폭포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이름난 조선 중기의 유학자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1489∼1546)선생을 4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했다. 개성 화정리에서 서호번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43세 되던 해에 어머니 한씨(韓氏)의 간곡한 권유로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관직에는 나아가지 않고 평생을 학문에만 힘썼다. 서경덕 선생은 우주의 생성과 변화가 수학적 질서로 설명될 수 있다고 믿고 그 이치를 알아내려고 힘쓴 자연철학자였다. 조선시대 성리학에서는 이(理)와 기(氣)의 두 축을 근본으로 삼은 데 비해 그는 기야말로 모든 이치의 중심임을 강조하는 이른바 주기설(主氣說)을 창시했다. 이러한 주기적 태도는 이이(李珥)를 거쳐 홍대용(洪大容)과 최한기(崔漢紀) 등 실학자들에게 이어졌다. 그는 인간의 삶과 죽음을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과정으로 이해했으며 바람이 부는 까닭과 온천수가 솟아나는 이치도 기를 통해 설명했다. 또 해·달·별의 운동을 기본으로 원(元)·회(會)·운(運)·세(世)의 4가지 기본 시간단위를 설정, 우주적 시간개념을 설명하는 상수학(象數學)의 기초도 마련했다. 제자 이지함(李之函)이 ‘토정비결(土亭秘訣)’에 서경덕의 이름을 남긴 것도 그의 사상적 영향 때문이며 소설 ‘전우치전’에서도 그를 신비로운 인물로 그리고 있다. 송도삼절이란 말은 면벽수도(面壁修道) 30년의 지족선사(知足禪師)를 파계시킨 명기(名妓) 황진이가 서경덕을 유혹하는 데 실패한 뒤 자신을 포함해 화담과 박연폭포를 개성의 3대 명물로 꼽았다는 일화에서 비롯됐다. 문화관광부는 한국과학문화재단의 협조를 얻어 서경덕의 자연철학 논문과 자료를 담은 기념책자를 발간하는 등 기념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경기청소년 국악관현악단 정기연주회

우리음악을 전공하는 젊은 음악학도들이 모여 우리의 소중한 전통문화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경기청소년국악관현악단(단장 강영근)의 두번째 정기연주회가 오는 8일 오후7시 경기도박물관 대강당에서 마련된다. 지난해 7월 창단공연을 성황리에 마치고 크고 작은 음악회에도 꾸준히 참여해 온 경기청소년국악관현악단은 이번 공연에서 현 경기청소년국악관현악단 단장을 맡고 있는 강영근씨의 지휘로 이지혜씨와의 가야금협연 무대도 선보인다. 서울대 음대를 졸업한 지휘자 강영근씨는 현재 KBS국악관현악단 피리 수석을 맡으면서 대학을 출강하고 있고, 가야금을 협연하는 이지혜씨는 이화여대 4학년에 재학중이며 제1회 한밭가야금경연대회 대상·제15회 동아콩쿨 일반부 가야금 금상등의 수상 경력의 소유자로 지난 97년 서울청소년관현악단과도 협연한 바 있다. 이번 무대는 관현악합주 ‘만파정식지곡(취타)’,‘가야금 협주곡 제1번’, 전경빈외 4명의 ‘해금2중주, 상주합창변주곡’, 서은경외 4명의 ‘가야금 산조제주’, 문정중학교·신갈고등학교의 사물놀이 연합의 신나는 사물놀이 공연으로 꾸며진다. 또 하지아·남지영·심형경·김미연 등이 마련하는 경기민요 순서도 선보인다. 이번에 연주될‘해금 2중주, 상주합창변주곡’은 경북 상주군 함창지역에서 전해오는 토속민요를 해금 2중주 곡으로 편·작한 해금소품. 이 곡은 전체 노래 주선율이 깔리면서 두파트로 나뉘어 연주되고 단모리 부분에서는 4박으로 연주하게 되어 있어 현대적 감각을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작곡한 것이다. ‘가야금 산조 제주’다른 산조에 비해 경쾌한 느낌을 주고 농현과 장식음이 많아 기교를 많이 필요로하는 산조이며 ‘가야금 현주곡 1번’은 가야금이 지닌 특성을 살려 협주곡 형식으로 작곡된 것으로 1070년에 초연된 이래 지금까지 가장 빈번하게 연주되는 가야금 협주곡 레퍼토리다. 또 ‘가야금 협주곡 제1번’은 작곡자의 시나위 가락을 민속장단을 동원해 소금, 대금, 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대아쟁, 장구, 북, 징, 목탁으로 짜여진 현대 시나위라 할 수 있다.(0331)285-8880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안산,이천,김포시 조각공원 조성

지역 문화를 활성화하고 도민들의 휴식공간 마련을 위해 국비 6억원과 도비 6억원 등 총 12억원이 투입되는 조각공원이 도내 세곳에 조성된다. 조각공원이 조성되는 지역은 안산시 일동 615번지 노적봉공원 주변과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 산 23-1번지 일원, 김포시 월곳면 고막리 산 82-1번지 일원 등 세곳. 안산의 조각공원 조성예정지는 기존의 공원으로 조성된 지역으로써 평일과 휴일엔 많은 관광객이 찾아와 휴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익 선생묘, 기념관, 식물원 및 각종 체육시설들이 갖추어져 있어 다목적 시민 휴식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이곳은 년차적으로 조성되는 각종 시설물과 연계하여 테마를 조성할 수 있는 시유지로 도시계획변경등 별도의 조치가 필요치 않고 성포예술공연장 주변에는 이미 6점의 조각작품들이 설치되어 있어 조각공원으로 선정되었다. 조각공원 조성 추진위원회가 구성되면 추천작가를 선정하거나 공모작품 심사를 통해 조각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안산조각공원은 지난해 성공적으로 개최된 단원미술제와 연계 추진해 안산을 수도권 미술의 메카로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올해 개최될 안산항공축제 2000과 더불어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이천 조각공원은 경기도기념물 제156호인 설봉산성,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주행사장, 매년 개최되는 이천도자기축제장, 설봉호수가 있는 설봉도시자연공원등이 위치해 자연경관이 매우 수려한 곳이다. 이곳 부지선정은 이천이 도자문화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과는 상대적으로 문화공간이 절대 부족한 실정에서 조각가 강대철씨가 자신의 사유지를 조각공원부지로 이천시에 기부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소설가 이문열의 부악문원과 조화를 이루고 기존의 조각공원에서는 향유할 수 없는 새로운 조형예술을 창조해 이천국제조각심포지엄 행사장으로 활용될 이천조각공원은 이천의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부각시키는 한편 새천년의 문화 예술기반을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인천 부천 등 대도시와 인접한 전원도시로 영조도 신공항, 경인운하 건설에 따른 개발 잠재력이 큰 지역인 김포시는 세계 유일의 민족분단 현장에서 통일을 주제로 한 김포조각공원을 조성, 통일분위기를 고조시켜 향후 통일비엔날등 종합적인 문화예술공간으로 승화발전 시키기 위해 조각공원이 조성된다. 이곳은 국민적 통일 공감대를 형성하고 시민의 문화적 체험과 건강한 여가문화를 충족시켜 향후 종합문화예술행사로의 발전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조각공원내에는 청소년수련원, 눈썰매장, 레포츠 공원 등 복합적인 문화공간이 조성되어 있고 주변에는 문수산성, 산림욕장, 덕포진, 대명포구, 약암호텔등이 위치하고 있어 향후 관광벨트화 사업추진과 연계 발전의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김포조각공원은 향후 인천신공항, 경인운하등과 연계한 유리한 조건을 갖추면 더욱 더 새로운 명소로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이천 제1회 백사 산수유 꽃축제

이천시 백사면 원적산 자락에 흐드러지게 핀 노란 산수유꽃을 테마로 다음달 8·9 양일간 ‘제1회 백사 산수유 꽃축제’가 열린다. 백사면 도립·송말·경사리 마을주변 일대는 수령 100년에서 600년된 50여만 그루의 산수유 군락지로 국내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으며 4월초 축제기간은 북상중인 개화시기와 일치, 이날이면 만개된 노랑빛 별천지가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예총 이천시지부와 백사면 산수유축제 추진위원회의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축제의 볼거리는 단연 산수유 꽃이며 다음으로 산수유 음료, 산수유 술, 산수유 국수·수제비 등 산수유를 이용한 먹거리가 이채롭게 준비돼 있다. 볼거리로는 관광객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우선 백일장·사생대회·사진촬영대회가 참가자의 추억과 기념의 시간을 만들고 성화봉송·전통혼례·시낭송회·작은음악회·국악한마당·무용발표회·힙합댄스 경연대회·백송제·포크음악의 밤·노래자랑 등 크고작은 이벤트 행사는 흥과 즐거움으로 이어진다. 또 이번 행사는 도자기축제, 복숭아축제에 이은 제3대 이천시 관광명품 개발된 축제로, 행사장내에 천연기념물 반용송과 백송까지 둘러볼 수 있는 수도권 1일 관광코스라는 특색을 갖고있다. 대회장 김정호씨(시의원)는 “산수유꽃 축제는 선조가 물려준 자연을 배경으로 치뤄지는 행사인 만큼 자연과 인간이 함께하는 공존의 시간으로 꾸며졌다”고 강조하고 “가족과 연인까지 배려한 행사가 돼도록 만반의 준비를 했다”고 말했다. 한편 산수유꽃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관광 포인트는 행사장 인근 주차장을 이용하고 도보로 꽃길을 걷는 것이다. /이천=황규정기자 kjwhang@kgib.co.kr

가볼만한 곳 가평의 명산 연인산

봄이 우리곁으로 성큼 다가서고 있다. 이런 때 일상에서 탈출, 서울에서 1시간대에 찾을 수 있고 새·바람·물소리를 들을 수 있는 가평의 명산을 찾으면 자신을 뒤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도심지를 벗어나 오른쪽으로 시원하게 펼쳐지는 북한강의 물줄기를 따라 경춘국도를 가다보면 호명산 중턱에 위치한 인공호수를 만날 수 있다. 호명산의 수려한 산세와 더불어 넓은 호수에는 구름안개가 일렁이고 백두산 천지를 연상케하는 아름다운 절경이 펼쳐지는 호명호수를 지나 가평으로 진입하다보면 맑은물·소(沼)·기암괴석으로 형성된 수려한 협곡이 나온다. 수도권 지역의 계곡중에서 도로를 개설하지 않아 아직도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고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돼 있는 유일무이한 계곡으로 이끼 낀 바위와 굽이굽이마다 맑은 여울물, 곧게 자란 아름드리 적송, 백림(잣나무) 등의 향기가 온몸에 스며들어 절로 가슴을 열리게 한다. 바로 용추구곡이다. 능선을 따라 12㎞정도 걷다보면 제2회 철쭉제가 개최되는 사랑과 소망이 이루어지는 연인산을 만날 수 있다. 연인산은 등산로가 완만하고 접근이 용이해 남녀노소·가족단위로 어느때나 산행을 즐길 수 있는 곳. 매년 5월이면 1㎞이상씩 능선마다 이어지는 철쭉군락은 그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아름다움을 연출하며 수도권지역에 이런 곳이 있었나 하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철쭉제’행사동안에는 더 푸르고 더 붉은 연인산을 가꾸기 위해 가족과 연인이 함께하는 철쭉나무심기대회(3.25∼4.15), 서도대회(5.13), 전국노래자랑, 통일·풍년기원제, 사진촬영대회, HAM공개운영, 가평잣막걸리시음회 등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돼 축제의 한마당이 펼쳐진다. 또 가평읍에서 북면방향으로 가다가 목동삼거리에서 적목리 방향으로 들어서면서 부터는 우리의 시선을 빼앗는 아름다운 계곡을 만날 수 있다. 계곡사이로 울창한 산림과 기암괴석이 환상적인 경치를 이루며 구슬같은 맑고 투명한 물이 계곡을 따라 유유히 흘러내리고 신선한 공기가 새소리·바람소리와 어우러져 속세의 모든 티를 씻어 내게 한다. 봄이면 진달래와 철쭉이 만발하며, 푸릇푸릇 돋아나는 나뭇잎 사이로 날아다니며 지저귀는 새들의 모습, 시원스레 흐르는 물줄기들이 어우러져 전혀 새로운 느낌과 모습으로 봄향연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 있다. 해발 1천250m의 명지산을 감싸고 있는 명지계곡이다. 명지산은 고산으로 산세가 크고 웅장하며 수려한 계곡과 맑은 물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들고 있다. 명지산에는 용이 승천하다 낙상해 소를 이루었다는 전설이 있는 주변경관이 수려하고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명지계곡 용소와 무당이 춤을 추다가 익사해 소를 이루었다는 용수동 무당소와 삼단의 폭포로 해발고도가 높아 5월까지도 얼음이 있는 조무동 삼단폭포, 도마치폭포는 3단의 폭포형태로 주위경관이 아름답고 오후 2∼3시께면 폭포수 물보라로 인해 무지개가 아름답게 만들어지는 폭포다. 이처럼 기암괴석의 자연경관이 삼라만상의 오묘한 조화를 실감케하며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가평=고창수기자 cskho@kgib.co.kr

차를 몰고 자동차극장으로 가보자

‘무엇을 할까’고민하는 주말 오후.사람들이 너무 많아 복잡한 시내거리는 싫고 멀리 가기에는 부담스럽고 마땅히 가볼 곳도 없다면 차를 몰고 주변에서 가까운 자동차극장으로 가보자. 가벼운 드라이브와 함께 밤하늘의 별을 보며 영화를 감상하는 자동차극장. 친구들끼리나 연인과 오붓한 시간을 즐기고 싶거나 어린아이가 있어 그동안 극장에 가지 못했던 부부 등에게는 특별한 추억이 될 듯하다. 애연가라면 상영중에 담배를 한대 피울 수도 있고 좋아하는 음식을 가져가 먹으면서 편안하게 영화를 볼 수도 있다. 차한대당 입장료는 1만∼1만5천원 수준으로 한 차에 몇명이 타도 상관없다. 3∼4명이 가면 오히려 일반 극장보다 가격이 저렴하다. 대형스크린에서 일반 극장에서도 상영중인 최신 개봉작들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눈이 오나 비가 오나 영화를 볼 수 있다는 것도 특징. 도내에 있는 자동차극장은 어디며 극장마다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용인 애플스타 (0331-286-0434)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704인치의 대형화면을 설치, 박진감 넘치는 영화를 감상할수 있다. 특수처리된 화면에 최고급·고출력 영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질이 선명하고 깨끗한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입장료 일반 1만2천원, 장애인 6천원 ▲장흥 영화사랑 (0351-842-6061) 연인들의 데이트 명소인 장흥국민관광지내에 있으며 유명 카페나 놀이시설인 두리 훼미리랜드, 토탈미술관 등 주변에 볼거리가 많다. 장흥골의 맑은 밤공기와 별을 보면서 영화감상의 묘미를 더할 수 있다. 입장료 일반 1만5천원, 장애인 8천원 ▲일산자동차극장 1,2관 (0344-904-8472) 패밀리형 야외극장으로 선명한 화면과 고감도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입장료 일반 1만5천원 ▲안산 스타트랙 (0345-413-6825) 안산 초지동 화랑유원지 제2주차장에 있으며 유원지에서 낮동안 즐기고 밤시간에 영화를 감상하기 좋다. 매점 등 화랑유원지의 각종 부대시설이 이용할 수 있다. 입장료 1만3천원 ▲DIT 양평극장 (0338-773-7893) 국내 최초의 야외개봉관으로 천연잔디위에서 영화를 감상한다. 남한강을 끼고 아름다운 까페촌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영화종합촬영소, 양수리, 팔당호, 여주 신록사까지 완벽한 드라이브 코스도 특징. 입장료 1만5천원 ▲DIT 일산극장 (0357-531-1500) 임진각과 통일전망대 등의 볼거리와 이름난 음식점 및 까페촌이 인접해 있어 다양한 즐거움을 한번에 즐길 수 있다. 입장료 1만5천원 ▲평택 진위씨네마 (0333-664-3000) 시원한 진위천 바람속에 쉼터지역과 호수가 함께 어우러진 쾌적한 자연속에서 한가로이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미니축구 풋살경기장 등의 운동시설과 호수에서는 보트를 즐길 수 있다. 입장료 1만원 ▲평택 무비마운틴 (0333-655-4895) 스크린 뒤를 바위산이 감싸고 있어 빛이 새어나가지 않으므로 최고의 화질과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주변에 특이한 모양의 까페촌, 가든, 낚시터 등이 즐비해 운치를 더한다. 입장료 1만2천원 ▲포천 산정호수극장 (0357-531-1500) 산정호수까지 가는 길목에 이동갈비, 차주골 순두부 등의 토속먹거리와 온천탕 등이 산재해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로도 그만이다. 입장료 1만5천원 ▲남양주 씨네존21 (0346-592-2280) 푸른 잔디와 북한강의 밤풍경이 영화감상의 운치를 한층 높여준다. 입장료 1만5천원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