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정 공동2위 '출발 좋다'

‘코알라’ 박희정(22)이 쾌조의 스타트를 끊으며 메이저대회 우승꿈을 부풀렸다. 그러나 사상 최연소 그랜드슬램을 노리고 있는 박세리(25·삼성전자)는 무거운 발걸음을 옮겼다. 박희정은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란초미라지의 미션힐스골프장(파72)에서 열린 시즌 첫 메이저대회 나비스코챔피언십 1라운드에서 버디 5개, 보기 3개로 2언더파 70타를 쳐 아니카 소렌스탐(스웨덴), 에이미 프루워스(미국)와 함께 공동 2위에 오르는 기분좋은 출발을 보였다. 3언더파 69타를 쳐 단독 선두에 나선 리셀로테 노이만(스웨덴)과는 불과 1타차. 박희정은 특히 17번(파3), 18번홀(파5) 연속 버디를 낚아 2라운드를 앞두고 상승세를 탄 점이 고무적이다. 지난 2000년 이 대회에서 10위를 차지, 언니 나리와 함께 3년 연속 특별 초청을 받은 한국계 쌍둥이 송아리(15)도 1언더파 71타를 쳐 공동 5위에 오르며 또 한번 돌풍을 예고했다. 장 정(22·지누스)은 이븐파 72타로 공동 9위를 달렸다. 한편 박세리는 이글 1개와 버디 1개를 뽑아냈지만 보기를 5개나 쏟아내 2오버파 74타 공동 23위로 밀려 시즌 첫 우승과 최연소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려던 목표에 다소 차질을 빚게 됐다. 지난해 신인왕 한희원(24·휠라코리아)이 2오버파 74타로 박세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상위권 진입의 기회를 살린 가운데 첫 메이저 챔피언을 노리고 있는 김미현(25·KTF), 박지은(23·이화여대)은 나란히 3오버파 75타로 펄 신(35)과 함께 공동 40위에 머물렀다./연합

김상도·전은수 2관왕 '탕탕'

중학사격의 기대주인 김상도(이천중)와 전은수(부천 북여중)가 제15회 경기도회장기사격대회에서 나란히 2관왕 총성을 울렸다. 김상도는 29일 경기도종합사격장에서 벌어진 대회 남자 중등부 소총 개인전에서 394점을 쏴 김민호(고양 한수중·390점)와 팀 동료 최하늘(389점)을 따돌리고 우승한 뒤 강민창, 최하늘과 팀을 이룬 단체전에서도 이천중이 1천171점으로 한수중(1천154점)과 안성 공도중(1천151점)을 제치고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또 여자 중등부 권총의 전은수도 개인전에서 372점을 마크, 송슬기(동수원중·370점)를 꺾고 우승했으며, 정다운, 조은비와 함께 출전한 단체전서도 소속팀 북여중이 1천108점의 대회신기록(종전 1천105점)으로 패권을 차지하는 데 크게 기여해 2관왕이 됐다. 한편 여자 중등부 소총 개인전에서는 권지나(성남 상원여중)가 395점으로 최윤정(공도중·394점)과 장하나(장수중·393점)를 누르고 우승했으며, 단체전서는 한수중이 1천171점으로 2위 상원여중(1천169점)과 함께 대회신기록(종전 1천161점)을 경신하며 패권을 안았다. 남자 중등부 권총 개인전서는 한상진(문산북중)이 374점을 기록, 같은 팀 김태민(373점)을 1점차로 제치고 우승한 후 단체전서도 팀이 1천105점으로 1위에 올라 2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이밖에 여자 고등부 소총에서는 경기체고의 안현정이 개인전에서 396점으로 같은 팀 이민아(394점)와 안정욱(393점)을 따돌려 1위에 오른 후 단체전서도 경기체고가 1천183점으로 우승해 금메달 2개를 목에 걸었다. 경기체고는 여자 고등부 권총에서도 안수경(377점)과 김 숙(376점), 오민경(375점)이 1∼3위를 휩쓸었고, 단체전에서도 1천128점으로 부천 원종고(1천108점)를 20점차로 여유있게 따돌리고 우승했다. 남고부 권총에서는 이대현(문산고)이 567점을 쏴 정상에 올랐고, 소총에서는 김윤성(평택 한광고)이 593점으로 개인전 1위를 차지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월드컵 개최도시 순례-(3)광주

예향과 의향의 도시 빛고을 광주.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한 광주는 호남의 중심도시로 인구 140만명을 헤아리는 한국 5대도시중 하나다. 유구한 역사와 문화발전의 유구한 전통을 자랑하는 광주는 선사시대와 백제시대의 유적을 비롯해 조선시대에 빛나는 학문과 예술을 꽃피워 개성있는 남도문화를 이룬 예향의 고장이며 독립운동과 5·18 민주화운동을 통해 민주주의를 이끌어온 고장이다. 지난 1995년 9월 세계인의 미술축제인 광주 비엔날레를 개최, 예술의 도시로 거듭난광주가 이번에는 지구촌 최대의 스포츠 축제인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또다시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광주 월드컵경기장 광주시 서구 풍암동 염주체육시설지구내 32만7천391㎡의 부지위에 총 1천587억원을 들여 건설한 광주 월드컵경기장은 연면적 8만7천429㎡규모에 4만3천여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축구 전용경기장이다. 광주경기장의 지붕선은 광주의 주봉인 무등산의 완만한 곡선을 형상화 간결함을 주된 이미지로 표현했고 동쪽과 서쪽 스탠드는 광주의 전통 민속놀이인 ‘고싸움’을 표현, 전통미를 가미했다. 또 스탠드와 지붕의 색깔은 눈의 피로를 덜어주기 위해 파란색으로 채택했고 관중석의 60%를 덮도록 설계, 통풍과 채광에 중점을 둬 잔디의 생육상태가 뛰어나다. 특히 광주경기장 양측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은 국내 최고의 화질로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을 정도로 선명도가 뛰어나며 관중석 앞쪽에 스피커를 설치, 최첨단 음향시설과 뛰어난 음질로 대형 음악회를 열어도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광주 경기장의 또다른 특징은 지붕을 스테인레스 처리해 영구적이며 폐침목과 태양광 설비 등 친환경시설을 도입했다는 점과 축구전용구장이지만 5천100여석이 조립식으로 설치돼 종합운동장으로도 변경할 수있다는 점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광주 경기장은 타 경기장에 비해 많은 예산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인근 염주수영장에서 버려지는 물을 중수처리해 경기장의 조경용수, 화장실 및 청소용수 등으로 사용, 연간 약 1억4천여만원을 절감할 수 있고 태양광설비로 연간 6천700만원의 예산절감 효과로 연간 총 2억700여만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6월2일 스페인-슬로베니아, 4일 중국-코스타리카 등 예선 2경기와 22일 8강전 1경기 등 모두 3경기가 펼쳐지는 광주 경기장은 대회가 끝나고나면 광주시민들의 종합레저문화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 ◇문화행사 광주는 월드컵 문화행사의 주제로 ‘광주의 빛, 세계의 평화’로 정하고 월드컵 첫 경기가 열리는 6월2일 태동, 조우, 화합, 공존 등 4막의 개막행사를 준비하고 있고 4일과 22일에도 경기장 안팎에서 다양한 민속공연과 문화예술공연이 펼쳐지게 된다. 3월29일부터 ‘멈춤, P-A-U-S-E, -止-’를 주제로 중외공원 일대에서 93일간 대장정에 돌입하는 제4회 광주비엔날레를 월드컵기간과 연계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1995년 ‘경계를 넘어서’라는 주제로 시작된 광주비엔날레는 2년에 한번씩 홀수 해 9월부터 약 90일간 열려 왔으나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가 결정됨에 따라 지난 2000년부터 짝수 해에 개최돼 월드컵 관광객들이 비엔날레를 함께 접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월드컵경기가 열리는 6월2일부터 22일까지 월드컵경기장 주변에서 쉴새없이 남도문화예술 공연, 출전국들의 민속공연이 펼쳐지며 동구 궁동 ‘예술의 거리’에서는 댄스 페스티벌, 거리 음악회, 육체 퍼포먼스 등 다양한 공연이 준비돼 있다. 광주는 또한 월드컵 본선에 첫 출전하는 중국을 겨냥해 중국관광객들을 위한 한류(韓流) 드림콘서트와 중국미술전시전도 계획하고 있다. 이밖에도 광주문화예술회관에서 무용 ‘소쇄원 48영’(6월 5∼6일), 오페라 ‘춘희’(6월 14∼17일), 연극 ‘한여름밤의 꿈’(6월 18∼19일), 발레 ‘춘향’(6월 22∼23일)이 공연되며 상무지구 시민공원에서는 마당극 ‘꽃길’(6월 10∼11일)이 초연된다. ◇볼거리 광주의 주산인 무등산은 광주 시가지를 감싸안고 있어 어머니의 포근한 앞가슴에 비유되고 있다. 1,187m로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 등 수직으로 깎아내린 암석이 석책을 두른듯 치솟아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원효사와 무등산 최대 사찰인 증심사 등이 유구한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우리나라 정원문화의 백미인 소쇄원과 성산별곡의 산실 식영정, 송강 정철의 풍류가 살아있는 환벽당 등 문화의 흔적이 곳곳에 배어있고 민주주의의 산실 5·18 묘역, 항일운동의 정신이 담겨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등 의향의 도시를 느낄 수 있다. 또 전남의 자연경관은 산과 육지, 바다 그리고 해안선, 갯벌, 점점히 아름답게 떠있는 섬까지 함께 아울러 다른 지역과는 다른 정취를 풍긴다. 영광에서 광양까지 793㎞의 서남해안 일주도로를 따라 여행하다 보면 내륙에서는 구경하기 힘든 볼거리를 만끽할 수 있다.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해안절벽과 해식동굴이 절경을 자랑하는 홍도, 진도아리랑의 고장이며 진돗개의 고향인 진도, 조선시대 시문의 대가 윤선도가 유배생활을 하면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을 지은 곳으로 유명한 보길도 등은 많은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먹거리 광주는 음식의 고장답게 정갈하고 깔끔한 수많은 먹거리가 있다. 남도의 대표적 음식인 한정식은 한국음식을 정식코스에 따라 맛보는 것으로 더운 음식과 찬 음식의 조화를 기본으로 대개 술안주용 음식에 밥 반찬이 더해지는 교자상으로 차려진다. 한정식은 일반적으로 죽-떡-전병-갈비산적-생선구이-홍어·돼지고기편육-젓갈-된장찌개·밥-과일-차 순으로 나온다. 특히 광주의 한정식은 남도의 자연을 고스란히 담아 맛깔스럽고 정갈하며 다른지역에서는 맛볼 수 없는 홍어, 매생이, 젓갈 등 싱싱한 해산물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광산구청일대에 10여곳이 성업중인 떡갈비집도 광주 특유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곳이다. 2∼3년생 한우 암소만을 갈아 손바닥크기로 둥글게 뭉쳐 갖은 양념을 해 숯불에 구워 먹는 맛은 먹어보지 않고는 표현하기 힘들다. 이밖에도 무등산의 갖가지 산나물과 보리밥을 함께 비벼먹는 무등산 보리밥촌, 영양이 풍부한 건강음식 유동 오리탕거리, 저렴한 가격의 돼지갈비와 양념삼겹살을 즐길 수 있는 황금동 돼지갈비집 등이 식도락가들을 유혹하고 있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인터뷰>유정웅 남수원 CC 대표

“내장객들이 쾌적하고 즐거운 가운데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전 직원이 하나되어 서비스 만점의 골프장을 만드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남수원 C.C.의 제5대 대표이사로 취임한지 6개월을 맞이한 유정웅 사장(57)은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친환경적인 골프장을 만드는 데 역점을 두고있다고 밝혔다. 취임후 페어웨이와 그린, 조경 등을 정비해 최상의 코스 유지와 쾌적한 환경조성에 역점을 뒀다는 유 사장은 그린과 T박스를 보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시설공사는 자연경관을 최대 활용한 환경친화적이고 라운딩간 불편이 없도록 배려해 내장객들로 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해 11월 모노카트 80대를 도입, 페어웨이및 그린 주변의 심한 UP-DOWN으로 인해 플레이 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함은 물론 동절기와 해빙기의 잔디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됐다. 유 사장은 이번에 도입한 모노카트는 무공해, 무소음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동절기에도 안전한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항상 고객의 만족을 위해 주기적으로 서비스교육과 전문가 초빙을 통한 친절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유 사장은 “최고의 서비스와 친절·봉사로 다시 찾고싶은 골프장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예약은 회원을 우선시함과 동시에 비회원들의 경우 가능한한 오랫만에 예약한 고객을 우선으로 배정, 가능한한 많은 사람들이 형평성 있게 라운딩을 할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수원 C.C.가 국가기관에서 운영하는 까닭으로 예산 재투자에 한계가 있다는 유 사장은 그러나 “전 임직원이 노력해 일반 골프장 못지않은 수준높은 시설과 환경을 유지토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유 사장은 골프장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없도록 타구 방향을 조정하는 등 항상 친근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현대 4연승행진 '몸 풀렸어'

현대 유니콘스가 2002 프로야구 시범경기에서 초반 부진을 씻고 4연승을 달렸다. 현대는 28일 인천 문학야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시범경기에서 채종국의 투런 홈런 등 9회에만 3점을 뽑아내는 뒷심을 발휘하며 4대3으로 역전승을 거뒀다. 이로써 4연승을 거둔 현대는 시범경기에서 5승1무4패를 기록했다. 이날 선취점은 SK가 먼저 뽑아냈다. SK는 2회말 안재만의 중전안타와 채종범의 볼넷에 이은 현대 선발 위재영의 와일드피칭으로 만든 2사 2,3루의 찬스에서 최태원이 2타점 적시타를 터뜨려 2대0으로 앞서갔다. 그러나 현대는 전준호의 2루타와 박종호의 적시타로 1점을 따라붙었고, 이후 양팀은 팽팽한 투수전속에 여전히 SK가 2대1로 박빙의 리드를 지켰다. 7회와 8회 주자를 득점찬스에 진루시키고도 득점치 못했던 현대는 9회초 투아웃 이후 연속 대타작전이 성공하며 역전에 성공했다. 2사 1루에서 대타 서성민이 좌익선상을 흐르는 적시 2루타로 2대2 동점을 만든 뒤 역시 대타 채종국이 볼 카운트 2-1의 불리한 상황에서 SK의 마무리 투수 자니 러핀의 4구를 통타해 좌측 담장을 넘기는 2점 홈런을 뽑아내 4대2로 리드를 잡았다. 반격에 나선 SK는 9회말 마지막 공격에서 1점을 따라붙고 1사 1,2루의 기회를 잡았으나 후속타 불발과 2루 주자가 투수 견제에 아웃돼 무산됐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김소희 2관왕 '그린재킷'

여자 아마골프의 간판스타 김소희(경희대)가 제3회 회장배 대학골프선수권대회에서 개인전과 단체전을 휩쓸며 2관왕에 올랐다. 국가대표 김소희는 28일 프레야충남골프장(파72)에서 열린 대회 최종일 여자부 4라운드 경기에서 2오버파 74타를 기록, 합계 1오버파 289타로 강연진(성균관대·296타)을 7타차로 여유있게 제치고 우승했다. 역시 국가대표인 새내기 문현희(용인대)는 이븐파 72타로 선전했으나 전날 3라운드에서 8오버파로 무너지는 부진 탓에 합계 9오버파 297타로 3위에 만족해야 했다. 개인전 우승자인 김소희는 김유라, 여지예와 팀을 이룬 단체전에서 소속팀 경희대가 590타로 용인대(601타)와 경원대(613타)를 제치고 패권을 차지, 2관왕이 됐다. 한편 남자부 개인전에서는 국가대표 김병관(건국대)이 4라운드에서 1오버파 73타로 부진했으나 최종 합계 4언더파 284타를 기록, 정상을 차지했다. 또 주니어대표 출신 강경남(용인대)은 이날 데일리베스트인 6언더파 66타로 맹위를 떨친데 힘입어 합계 1언더파 287타로 김기훈(한체대)과 동률을 이뤘으나 서든데스에서 승리, 2위에 입상했다. 남자부 단체전에서는 강경남, 이길희, 김우찬, 조효준이 팀을 이룬 용인대 A팀이 863타로 경희대 A팀(871타)과 건국대 A팀(878타)을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이번 대회에는 남녀 40개팀 총 194명이 출전해 지난 25일부터 4일간 경기를 펼쳤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