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찍고 테헤란으로….’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23일 오후 7시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2002 아디다스컵 프로축구대회 전북 현대전을 승리로 이끌어 홀 가분한 마음으로 제21회 아시안클럽선수권대회(4.3일∼5일·이란 테헤란) 2연패를 향해 이란으로 출국한다는 각오다. 아디다스컵 A조 개막전에서 포항을 2대1로 눌렀던 수원은 지난 20일 홈경기에서 성남 일화에게 유리한 경기를 펼치고도 2대3으로 패해 이번 전북전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특히 이날 경기를 마친 후 오는 28일 아시안클럽선수권 출전을 위해 출국하는 수원으로서는 전북전을 승리 할 경우 시즌 초반의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원은 스트라이커 산드로와 미드필더인 루츠, 서정원 등이 이루는 공격진이 막강하지만 지난 20일 성남전 종반에 허벅지 근육파열의 부상을 입은 데니스가 한달 가량 뛸 수 없는 것이 마이너스 요인이다. 그러나 수원은 탁월한 득점감각을 지닌 산드로와 2선에서 빠르게 침투해 득점을 노리는 서정원, 루츠의 돌파력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미드필더와 수비진도 안정을 이루고 있어 전북전 승리를 낙관하고 있다. 지난해 상대전적에서도 전북에 4전승을 거두는 등 유난히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수원은 조현두, 박건하 등 벤치멤버들의 전력도 전북을 압도하고 있다. 반면 이에 맞서는 전북은 투톱인 김도훈과 박성배가 이전의 날카로움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나 막대한 예산을 들여 새로 영입한 ‘삼바 삼총사’ 레오마르, 쿠키, 보띠 등의 활약이 변수다. 레오마르, 전경준, 양현정 등이 이루고 있는 미드필드진은 공격 가담이 늦어 수원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다. 이번 주말 경기 가운데 가장 ‘빅카드’로 꼽히고 있는 수원-전북의 수원대결에서 과연 수원이 목표대로 전북을 꺾고 아시아 평정에 나설 수 있을 지 아니면 전북이 달라진 모습으로 수원전 연패 사슬을 끊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경기도가 배출한 한국수영의 기린아 성 민(한체대)이 제2회 아레나 코리아오픈수영선수권대회 배영 50m에서도 한국신기록을 세우며 3관왕에 올랐다. 올초 월드컵 25m 쇼트코스에서 2관왕에 올랐던 성 민은 22일 제주실내수영장에서 막을 내린 남자배영 50m 결승에서 26초10을 기록, 지난해 8월 베이징유니버시아드에서 자신이 세운 종전 한국기록(26초38)을 7개월만에 0.28초 앞당겼다. 이로써 첫날 배영 200m에서 우승했던 성 민은 전날 주종목인 배영 100m를 포함, 2개의 한국기록을 내며 3관왕을 차지했다. 또 여자 개인혼영 400m에서는 국가대표 이선아(경기체고)가 4분53초99로 대표팀 동료인 남유선(서울체고·4분52초26)에 이어 준우승했다. 여자배영 50m에 출전한 심민지(대전엑스포)도 29초50으로 자신의 한국기록(29초62)을 1년만에 0.12초 경신하며 2위에 올랐다. 한편 한국은 국가대표 선발전을 겸해 벌어진 이번 대회에서 자유형 50m의 김민석(한진중공업)과 자유형 중·장거리의 한규철(삼진기업), 배영의 성 민이 모두 한국기록을 세우며 아시아정상권에 진입해 부산아시안게임 전망에 파란불을 켰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김명재(이천 설봉초)가 올 시즌 아마씨름 개막대회인 제32회 회장기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장사급 패권을 차지했다. 김명재는 22일 문경시민체육관에서 벌어진 대회 첫날 초등부 장사급 준결승전에서 윤평성(용인초)을 배지기로 가볍게 뉘인 뒤 결승에서 홍유표(덕벌초)를 들배지기로 제쳐 1위에 올랐다. 또 용장급 결승전에서는 최정만(수원 우만초)이 권원진(대동초)을 안다리로 따돌리고 우승했다. 경장급 한강희(우만초)는 결승에서 신재현(대동초)에 져 준우승을 차지했고, 소장급 장민수와 역사급 윤창원(이상 우만초)도 우승 문턱에서 아쉽게 져 준우승에 머물렀다. 용사급 안성진(양평 다문초)과 박태욱(용인 양지초)은 3위에 입상했다. 한편 초등부 단체전 결승전에서 우만초는 대구 대동초와 접전을 벌였으나 3대4로 석패, 준우승을 차지했다. 광양중앙초를 준결승전에서 4대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오른 우만초는 대동초와의 결승전에서 첫째판부터 내리 3판을 내줘 패색이 짙었으나 최정만, 임성규, 윤창원이 상대 선수를 차례로 꺾어 3대3 동점을 만들며 승부를 마지막 판으로 몰고갔다. 그러나 우만초는 마지막판에서 기대했던 강민이 이규희에 패해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슈퍼 땅콩’ 김미현(25·KTF)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웰치스서클K챔피언십 첫날 ‘슈퍼샷’을 뿜어냈다. 김미현은 22일 미국 애리조나주 투산의 랜돌프노스골프코스(파72)에서 열린 대회 1라운드에서 7언더파 65타를 쳐 선두 애실리 번치(미국)에 1타 뒤진 공동 2위를 달렸다. 스윙 개조 이후 크게 늘어난 비거리를 바탕으로 김미현은 파5홀 4곳 가운데 2곳에서 세컨드샷을 그린에 올려 가볍게 버디를 낚았고 퍼트 역시 견실해져 보기는 단 한개도 없었다. 지난해 평균 234야드로 130위에 그쳤던 드라이브샷 비거리가 이날은 평균 256야드를 넘어 장타자 대열에 합류했고 페어웨이 안착률이 무려 85.7%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달라진 것은 그린 적중률. 비거리 부담으로 파4홀에서도 페어웨이 우드로 세컨드샷을 치느라 그린 적중률이 69.1%로 30위였던 김미현은 이날 아이언을 사용해 단 3개홀에서만 그린을 놓쳐 83.3%의 놀라운 그린 적중률을 과시했다. 백전노장 낸시 스크랜턴, 도로시 델라신, 팻 허스트 등 강호들이 김미현과 나란히 공동 2위에 포진했고 줄리 잉스터(미국) 등 3명이 6언더파 66타로 뒤를 쫓았다. 카리 웹(호주)은 4언더파 68타로 공동 12위에 올라 선두권을 위협했으나 대회 3연패에 도전하는 아니카 소렌스탐(스웨덴)은 이븐파 72타로 부진, 공동 70위에 머물며 우승 경쟁에서 한발 뒤처졌다. 이정연(23·한국타이어)이 2언더파 70타로 공동 31위에 올랐고, 박지은(23·이화여대), 장정(22·지누스)은 1언더파 71타로 공동 53위로 밀렸다. 박희정(22)과 펄 신(35)은 이븐파 72타로 공동 70위에 머물렀다./연합
한국 제2의 도시이며 국내 컨테이너 화물의 90%이상을 처리하는 제1의 국제 항만도시 부산. 1876년 국제항으로 개항된 이래 국내 최대의 항구로 동아시아 국제물류, 문물교류의 중심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제 한국의 경제를 이끄는 중추도시이자 세계속의 항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월드컵 공동개최국인 일본과는 항공, 해상항로로 직접 연결되어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매우 가깝고 친밀한 관계이며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때 축구와 요트 경기, 그리고 97년 동아시아경기대회 등 각종 국제대회를 개최한 경험과 역량을 갖추고 있다.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 월드컵을 시작으로 제14회 아시안게임, 제8회 부산 아·태장애인경기대회 등 각종 국제경기가 열리는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10만평의 부지위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설됐다. 마치 우주선이 내려앉는 듯한 느낌을 주는 부산경기장의 지붕은 부산 앞바다의 넘실대는 파도를 본따 만들었고 비가와도 관중석의 80%를 덮게끔 설계된 것이 특징. 가로 32.54m, 세로 9.8m의 전광판은 국내 경기장중 최대를 자랑하며 최대 10억7천만 컬러이상의 고선명 화상으로 대낮에도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5만4천534석의 좌석이 설치됐지만 빈 공간이 많아 최대 8만명을 수용할 수있는 매머드급 경기장인 부산 경기장은 1993년 11월 첫 삽을 뜬 이후 7년7개월여만에 완공돼 그 웅장함이 국내 최고다. 국제육상경기연맹 규정에 의한 1종 공인 육상경기장과 사계절 잔디를 갖추고 있으며, 경기장 둘레에 토성의 띠를 연상케 하는 30m의 데크(인공광장)를 설치, 사방 어느 방향에서도 진·출입이 가능하게 설계됐다. 또 사통팔달을 의미하는 48개의 기둥과 72개의 출입구에는 벽을 없애 세계와 우주의 기까지 호흡하자는 개방성을 구현하고 있다. 지붕재료를 유리섬유로 채택해 자연채광 효과를 극대화 한 것도 또다른 특징이다.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은 월드컵과 아시안게임 등 국제 경기가 끝나고 나면 주경기장을 생활체육 광장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부산에서는 6월2일 파라과이-남아공의 경기를 시작으로 4일에는 한국팀의 16강진출 고비가 될 폴란드전, 6일에느 프랑스-우루과이전이 펼쳐진다. ◇문화행사 해양수도 부산은 월드컵 기간중 고유문화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살린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공식행사로는 경기가 열리는 6월2일과 4일, 6일에 경기장 안팎에서 무형문화재 공연, 사물놀이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며 5월30일부터 6월9일까지 부산역광장에 월드컵프라자가 설치돼 대형스크린을 통한 경기중계, 기업홍보관, 문화재 전시 등이 열린다. 또 해운대 일원에 2002 부산빌리지가 형성돼 IT체험관, 전시판매장 등이 들어서며 각종 거리축제, 부산국제락페스티벌, 아시아단편영화제 등도 함께 열리게 된다. 부산의 특색있는 공연으로는 6월5일 조선통신사 행렬, 7일부터 9일까지 자갈치시장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삶의 애환을 그린 뮤지컬 ‘자갈치’공연, 8일부터 10일까지는 조선 숙종때 울릉도를 지킨 안용복 장군의 일대기를 창극화한 신창극 ‘푸른 깃발 안용복 장군’공연 등이 무대에 올려진다. ◇부산의 볼거리 부산시는 월드컵 등 4대 국제행사 개최에 따른 외국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판단, 2002년을 ‘부산방문의 해’로 정하고 다양한 볼거리를 발굴·육성하고 있다. 부산의 대표적인 명물은 한국전 동안 피난민들이 몰려들어 형성됐다는 자갈치 수산시장. 저가에 다양한 생선을 먹을 수 있고 해양도시의 특색있는 분위기를 접할 수 있다. 지난해 해운대 해수욕장 인접지역에 들어선 해저테마수족관인 부산아쿠아리움은 길이 30m, 폭 20m, 깊이 5m 규모의 국내 최대 수족관에 상어가 유영하고 있고 중국 장수도룡뇽과 희귀 갑각류 등 250여종 3만5천마리의 어류를 관찰할 수 있다. 영도해안을 따라 9.1㎞의 최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태종대에는 기암괴석의 절벽을 자랑하며 바닷내음과 아름드리 해송 등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고 있다. 부산시는 또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 국제경기 개최를 계기로 다양한 볼거리를 개발하고 있다. 우선 용두산공원과 문화회관, 금강공원내 민속예술회관, 수영공원 야외공연장 등지에 예술인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전통민속마당과 토요상설무대, 부산민속놀이 등을 마련, 외국인들에게 ‘부산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광안리 앞바다를 가로지르는 광안대로 현수교 및 트러스교 구간(1.68㎞)에 최첨단 경관조명시설을 설치해 시간대별, 요일별로 다양한 조명을 연출해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해운대 동백섬 서북안에 5천500t급 선박을 개조해 만든 수상관광호텔도 곧 개장돼 일반에 선보인다. 이밖에도 철새도래지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을숙도, 해운대를 비롯한 7개의 해수욕장, 동래온천과 해운대온천, 오륙도 등 40여개의 섬, 충렬사, 통도사 등 다양한 문화유산 등 수많은 볼거리가 산재해 있다. ◇부산의 먹거리 월드컵축구대회와 부산아시안게임 등 국제적인 행사를 앞두고 있는 부산은 오는 4월말 ‘아시아드·월드 음식점’마크를 부착한 모범음식점 2천2개소를 지정, 외국인들이 손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부산의 대표적인 먹거리는 청정 바다에서 잡아 올린 싱싱한 횟감과 다양한 해산물. 전통 재래시장으로 전국에 널리 알려진 부산국제시장을 벗어나 남포동 선착장쪽으로 가면 신동아수산물종합시장(051-246-7500)안에 횟집 60여곳이 밀집해 성업중이다. 지난 60년 남포동에 개업한 서울삼계탕(051-245-3696)은 부산지역 삼계탕 업소의 원조격으로 월드컵대회를 앞두고 중국인 등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영업장을 깨끗하게 수리, 독특한 손맛으로 고객들을 끌어 들일 계획이다. 부산의 또다른 먹거리로 풍치 좋기로 이름난 기장 대변항으로 가는 길목에 자리잡은 기장곰장어(051-721-2934) 본점과 1호점. 곰장어 전문점인 이곳은 전통음식인 곰장어 짚불구이와 곰장어 매운탕, 삶은 곰장어 이외에도 감초와 대추, 칡, 인삼 등을 넣어 솔잎으로 구워 낸 솔잎장어구이 등 다양한 새 메뉴를 개발하고 있다. 부산앞바다의 신선한 해산물로 만든 동래파전은 임금님의 진상품으로 뽑힐 정도로 그 맛이 일품이다. 또 부산 산성마을 초원지대에서 자란 흑염소로 만든 흑염소불고기, 신석기 시대인 5천년전부터 식용한 것으로 전해지는 복어요리, 해물탕 등 부산만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먹거리를 찾아 다녀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불운의 ‘쇼트트랙 영웅’ 김동성(동두천시청)이 빙판을 가르는 모습을 2006년 토리노올림픽에서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김동성은 21일 태릉선수촌 실내빙상장에서 세계팀선수권대회(30∼31일·미국 밀워키)와 세계선수권대회(4.6∼8·캐나다 몬트리올)를 앞두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적어도 다음 올림픽까지는 운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이후 진로를 놓고 고민해 온 김동성은 “솔직히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을 땄으면 은퇴할 수도 있었겠지만 이대로는 억울하고 아쉬워서 도저히 스케이트를 벗을 수 없다”며 “국민의 응원과 관심이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데 큰 힘이 됐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김동성은 악연의 아폴로 안톤 오노(미국)와 리쟈준(중국)과 다시 만날 것이 확실한 두 대회에서 “스케이트 실력으로 모든 것을 말하겠다”고 단단히 벼르고 있다. 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한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하루 평균 200여통의 팬레터를 받는다는 김동성은 정규 훈련이 끝난 뒤에도 ‘야간 자율 훈련’까지 스스로 하며 남다른 열의를 보이고 있다. 97년 세계선수권대회 이후 5년만에 다시 정상에 도전하는 김동성과 우승을 다툴 선수로는 여전히 오노와 리쟈준, 마크 개뇽(캐나다) 등이 꼽힌다./연합
2002년 한·일 월드컵축구대회가 열리는 수원월드컵 주경기장에서 무료영화가 상영된다. (재)경기도 2002년 월드컵 수원경기추진위원회는 21일 오는 4월6일부터 수원월드컵 주경기장에서 무료로 가족영화를 상영한다고 밝혔다. 주경기장 메인 전광판을 이용해 상영될 가족영화는 기상여건을 고려해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 각 1회씩 상영되며, DVD 판권 소유업체인 파라마운트 홈엔터테인먼트사가 무상으로 제공한다. 무료상영 첫날인 4월6일에는 오후 7시부터 ‘십계’가 상영될 예정이며 앞으로 모두 8편의 영화가 주경기장에서 상영될 계획이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2002 월드컵축구대회 조직위원회(KOWOC)는 22일 조직위 회의실에서 문동후 KOWOC 사무총장과 선영제 육군참모차장 등 조직위와 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월드컵 기간중 군 지원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에서 KOWOC은 군의 우수한 외국어 자원을 통·번역 및 영접요원으로 활용하고 전야제, 개막식 등 많은 인원이 필요한 행사에 군 인력을 지원받는 등 인적자원과 대회운영에 필요한 물자를 지원받기로 했다. 인력지원 규모는 육·해·공군 등 3군으로부터 통·번역, 의전, 영접, 수송, 통신 등 140여명과 행사요원 2천410명이며 지원물자는 운영요원들이 사용할 야전침대, 모포 등 4천500여점이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프로축구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연고지역 팬 서비스 확대와 수익증대를 위한 캐릭터용품 1호점을 오는 24일 수원시청 옆 홈플러스 동수원점 1층에 개점할 예정이다. 이번에 오픈하는 블루윙즈 상설 캐릭터용품점에서는 팀 창단이후 지속적으로 상품을 개발해 온 유니폼을 비롯해 사인볼, 가방류, 응원용품, 팬시류 등 70여종의 용품을 판매할 예정이다. 구단측은 지난 96년부터 홈 경기장인 수원종합운동장내에 캐릭터샵을 설치, 홈 경기때마다 운영한데 이어 99년부터는 인터넷 홈페이지(www.fcbluewings.com)를 통한 온라인 판매도 실시해 왔으며, 이번 상설매장 설치로 유럽 선진구단의 용품화 사업 모델의 기반을 조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은 캐릭터용품점 오픈을 기념해 이날 오후 2시부터 1시간동안 고종수, 서정원, 이기형, 산드로, 박건하 등 주전 선수들의 팬사인회도 개최한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수영국가대표 성 민(한국체대)이 제2회 아레나 코리아오픈수영대회 남자 배영 100m에서 한국신기록으로 우승, 2관왕에 올랐다. 전날 배영 200m에서 대회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던 성 민은 21일 제주실내수영장에서 벌어진 대회 이틀째 남자 배영 100m 결승에서 56초06으로 종전 한국기록(56초22)을 0.12초 앞당기며 중국의 왕 차오(58초64)와 슈 신(58초82)을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또 여자 배영 100m 결승에서는 방은지(경기체고)가 1분03초27의 대회신기록(종전 1분03초44)을 작성했으나 전날에 이어 중국의 시우준(1분02초40)에 이어 2위로 골인했다. 한편 여자 평형 200m 결승에 나선 조아라(수원 송원여중)는 2분32초35로 정슬기(하계중·2분32초10)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김미령(화성 진안중)은 여자 자유형 800m 결승에서 9분10초75로 중국의 두 외이오(9분06초12)와 대만의 치 찬(9분07초45)에 이어 3위에 올랐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