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31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와 비무장지대(DMZ) 시범적 GP(감시초소) 철수 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후속회담에서 이를 구체화하기로 했다. 또 DMZ 내에서 남북이 공동 유해발굴에 나서는 한편, 9월12~14일 서울에서 열리는 ‘서울안보대화’에 북측 대표단을 정식으로 초청했다. 남북은 이날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열린 제9차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4·27 판문점선언’에 명시된 군사분야 합의사항에 관한 남북간 입장을 교환한 이후 47일 만에 보다 진일보 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담 이후 양측은 별도 공동보도문을 채택하지는 않기로 하고, 각자 언론 브리핑을 통해 회담 내용을 발표했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도균 국방부 대북정책관은 남북군사당국간 합의 이행 성과를 평가하고,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 ▲비무장지대내 남북공동유해발굴 ▲비무장지대내 상호 시범적 GP 철수 방안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난 제8차 장성급 군사회담에서는 서해 군통신선 완전 복구에 합의했지만, JSA 비무장화를 비롯해 DMZ를 평화지대화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원칙적인 입장만 교환했었다. 이번 회담에서는 양측이 추후 일정을 잡아 구체적인 이행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일치된 의견을 내놓았다. 우리 측은 또 9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서울안보대화’에 북측 대표단 파견을 요청하며, 서주석 국방부 차관 명의의 초청장을 전달했고 북측은 초청장을 상부에 보고해 대표단 참석 여부를 전달해 주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김 대표는 “이번 회담은 양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 군사분야 합의사항 추진에 상호 입장을 일치시키고,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측 대표단은 김 대표를 포함해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과장(육군 대령), 안상민 합동참모본부 해상작전과장(해군 대령), 이종주 통일부 회담 1과장, 한석표 청와대 안보실 행정관 등 5명이었다. 북측 대표단으로는 수석대표인 안익산 중장(우리의 소장)을 포함해 엄창남 육군 대좌(우리의 대령), 김동일 육군 대좌, 오명철 해군 대좌, 김광협 육군 중좌(우리의 중령) 등 5명이 나섰다. 강해인기자
북한국제
강해인 기자
2018-07-31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