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이웃에 각종 공연과 봉사활동으로 행복 바이러스를 퍼트려온 구명자 오산운암예술단 단장이 어린이들을 끌어 안았다. 경기도무형문화재 제8호 승무살풀이춤 이수자인 구 단장은 지난 2007년 오산운암예술단을 창단해 160여 명 단원에 무용단과 판소리, 사물놀이 등 7개 단체가 있는 예술단으로 이끌어 왔다. 사회복지시설과 어르신처럼 문화예술 소외 계층을 찾아가 공연하고 배움을 갈망하는 주부와 노인층에 무용과 소리 등을 가르쳐 온 나눔 교육 활동이 예술단 발전에 힘이 됐다. 그가 이번에는 어린이로 교육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나섰다. 이유는 명확하다. 배울 곳 없는 어린이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교육혁신도시인 오산시에 정작 어린이 무용단이 없고 저렴하게 무용을 배울 수 있는 것도 없더라고요. 돈이 많아야만 예체능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현실에서 오산시에서만큼은 저렴한 가격에 무용을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하게 됐죠. 이에 구 단장은 지난 3월 운암리틀무용단을 창단하고 수강료 월 5만 원에 오산문화예술회관에서 일주일에 2회씩 20여 명 어린이에게 한국무용과 발레를 가르치고 있다. 어린이 무용단 창단 당시 시민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사비를 털어 운영하는 만큼 20명을 정원으로 계획하고 오디션을 진행, 3.5: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이다. 배우는 아이와 자녀를 데리고 온 부모의 열의가 정말 뜨거워요. 그동안 다른 도시나 서울로 갔던 어린이들이 내가 사는 오산에서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긍심도 느끼는 것 같아요. 재능있는 우리 아이들이 지역의 희망으로 커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구 단장은 앞으로 운암리틀무용단의 커리큘럼을 밸리와 우리 춤 체조, 민요 등으로 확대하고 의미 있는 공연도 진행할 계획이다. 교육이 곧 봉사라는 구 단장의 이 같은 활동이 어린이들에게 꿈의 날개가 되고 지역 발전의 밑거름이 되길 응원해 본다.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
예부터 우리나라는 설날(1월1일), 삼짇날(3월3일), 단오(5월5일), 칠석(7월7일), 중양절(9월9일)처럼 양수(陽數)가 중첩된 날을 모두 중요한 명절로 삼았다. 특히 3월 삼짇날은 최고의 길수로 3이 중첩된 날이다. 그래서 음력 3월 3일은 중삼일(重三日)이라 하여 봄의 양기가 충만한 날로 기록돼 있다. 이를테면 강남으로 간 제비가 중삼일에 돌아온다 말도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 그리고 고구려 유리왕은 3월3일에 돼지와 사슴을 사냥해 하늘과 산천에 제사를 지냈고, 신라시대에는 매년 다례를 올렸다. 지금도 사당에 모신 조상에게 봄ㆍ가을로 시제를 지낼 때면 주로 3월3일에 춘향제(春享祭)를 지낸다. 또 삼짇날은 산신제를 지내는 지역도 많다. 지난 4월 12일(음력 3월3일) 정오, 남양주시 화도읍 천마산 관리사무소 위 소운동장에서 제16회 천마산 산신제가 엄숙하게 거행됐다.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가 자연스럽게 산으로부터 시작된 것처럼 남양주시도 크고, 작은 산을 배경으로 다양한 문화를 구축해왔다. 남양주시는 크게 동북부의 산지와 서남부의 분지로 구분된다. 동북지역에는 주금산(813.6m), 축령산(879m), 천마산(812m), 운길산(610.2m)과 서쪽으로는 수락산(637m), 불암산(509m)이 솟아 있다. 특히 화도읍과 진접읍 경계에 있는 천마산(天摩山)은 남양주시민들에게 푸근한 어머니 품과 같은 존재로 사랑받고 있다. 태조 이성계가 천마산으로 사냥을 왔을 때 이 산은 매우 높아 푸른 하늘에 홀(笏조선시대에 관직에 있는 사람이 임금을 만날 때 손에 들고 있던 물건)이 꽂힌 것 같아 손이 석자만 더 길었으면 가히 하늘을 만질 수 있겠다(手長三尺可摩天).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이때부터 하늘을 만질 수 있는 산이라는 하여 천마산이라 불리게 됐다. 또 산세가 험하고 봉우리가 높아 조선시대에는 임꺽정이 이곳에 본거지를 두고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꺽정바위로 불리는 바위가 남아있다. 현재도 천마산은 60만 명의 남양주시민의 건강한 삶을 책임지고 있는 영험하고 이로운 명산임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천마산에서의 산신제는 과연 향토문화와 지역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과거로의 회귀는 아닐까. 이 질문에 이용복 남양주문화원장은 향토의 전통 민속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하고 남양주시의 번영과 시민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삼짇날에 민속 산신제를 16년째 거행해 오고 있다며 이는 민속신앙이 샤머니즘에서 한정된 것이 아니라 전통민속 행사를 이어오면서 마을 주민의 화목 및 단결을 도모하고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마을공동 의식의 축제로 승화되는 민족고유의 혼이 담겨 있음을 주지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신제는 고대사회에서부터 있어 온 대규모적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신인합일사상(神人合一思想)에 근거하고 있다. 산신제의 전통이 오늘날에 와 마을 또는 지역 단위의 소규모 행사로 축소되면서 본래 의미보다는 축소된 게 사실이다. 현대의 산신제는 오히려 지역민 보호와 마을 안녕 추구가 주 목적이 됐다. 남양주시도 예외는 아니다. 농촌과 도시가 혼재한 상태에서 읍면동 각 마을마다에는 산신제나 성황제 터주 고사 등을 지내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연구, 계승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남양주문화원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역사적 신화의 뿌리에 근거를 두고 원초적 제의성(祭儀性)에다 마을 주민의 공동체의식을 조성해 주는 산신제를 개최해오고 있다. 아쉬운 게 있다면 천마산 산신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박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많은 이들이 독립성, 이합집산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에 거주하다보니 천마산을 매개로 한 향토문화, 그리고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의식이 낮을 수밖에 없다. 아파트 문화는 산업화 및 도시화, 서구화와 궤를 같이한다. 그 과정에서 지역 고유의 향토문화는 사라지고 있다. 남양주시도 급격한 도시발전과 팽창 속에서 큰 도시로 성장했다. 그 가운데 삼짇날 진행되는 남양주시 주민들을 위한 천마산 산신제는 단순한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과거와 친하게 지내는 방법 중에 하나다. 새로운 미래도 결국에는 과거를 통해 만들어지고 미래의 정답은 과거에 있다는 것을 명시해야 한다. 글ㆍ사진_강현숙기자 mom1209@kyeonggi.com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라수흥)은 2013 수원화성국제연극제 개막작과 시민희곡낭독프로그램에 함께할 시민 배우를 모집한다. 개막작 에디트 피아프의 사랑의 찬가는 에디트 피아프의 명곡을 바탕으로 영상과 무용을 접목시킨 발레음악극으로 이번 연극제에서 서(Seo)발레단을 통해 시민참여형 야외공연작으로 재탄생하는 작품이다. 시민 배우는 19일까지 모집하며 오디션을 통해 에디트 피아프 등 30여명의 시민 배우를 선발할 예정이다. 시민희곡낭독프로그램 연극을 읽다, 연극에 빠지다에 참여할 시민 배우 20여명도 23일까지 선착순 모집한다. 연극을 읽다, 연극에 빠지다는 희곡낭독 워크숍과 공연을 결합한 것으로 시민 배우 연기의 기초부터 공연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한다. 이들 공연 모두 연령 제한 없이 연기, 무용, 노래에 소질이 있는 시민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참가희망자는 수원문화재단ㆍ수원화성국제연극제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받아 이메일(shtft2013@naver.com)로 접수하면 된다. 문의 (031)290-3563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경기도여성비전센터(소장 이용교)는 경기도의 미래를 이끌어갈 여성리더 육성을 위해 여성리더십 프로그램MAP에 참여할 교육생을 오는 25일까지 모집한다. 지난 2010년 도내 여성 리더의 인적 자원화와 네트워킹 지원을 위해 시작된 이번 프로그램은 총 3기까지 239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현재 수료생들의 모임인 경기여성리더네트워크가 결성돼 도 발전을 위한 각종 캠페인 활동, 사회복지시설 방문 등으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올해는 도내 최고의 여성리더십 교육기관인 아주대학교와 경기도가 만나 수준 높은 강의와 여성리더들의 네트워크의 장을 제공하고, 지난 3년간의 성과를 이어받아 지역정체성을 띤 차별화된 여성리더십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교육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거나 도 소재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여성으로 기업 및 조직의 CEO, 고위공직자, 각 분야의 전문직 여성(CEO 과정), 각 분야의 핵심리더급 전문직 여성(핵심리더과정)이다. 교육기간은 오는 30일부터 7월 9일까지이며 교육 장소는 경기도여성비전센터(수원시 인계동 소재)에서 진행된다. 정규 과정 외에도 경기도 정책체험과 해외연수(CEO 과정) 등이 포함돼 있다.문의(031)8008-8043 강현숙기자 mom1209@kyeonggi.com
경기도박물관은 오는 17일 박물관 내 강당에서 한국인의 종교와 신앙을 주제로 한 제 15회 뮤지엄 아카데미를 개강한다. 이 강좌는 성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오는 6월19일까지 총 10주 동안 매주 수요일 진행되며,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신앙을 알아본다. 서울대 종교학과 최종성 교수를 비롯해 서영대(인하대 사학과), 조흥윤(한양대 문화인류학과), 신종원(한국학중앙연구원), 나희라(경남과학기술대학교), 김기덕(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김형우(안양대), 김선기(원광대박물관 학예실장), 전호태(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등이 강사로 참여한다. 박물관 관계자는 하반기에 16기 아카데미를 열고 고려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종교와 신앙을 연이어 고찰하면서 한국인의 삶을 지탱해 왔던 내면적인 부분을 되짚어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강료 3만원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
Q. 얼마 전 신용카드를 분실했습니다. 만일 다른 사람이 부정사용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요? A.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및 신용카드 표준약관에 따라 분실ㆍ도난으로 인한 카드 부정사용금액에 대해 보상신청을 하고자 할 때에는 카드사가 정하는 소정양식에 따라 서면으로 보상신청을 해야 하며, 이 경우 회원은 분실ㆍ도난 신고 접수시점으로부터 60일전 이후에 발생한 제3자의 카드 부정사용금액에 대해 카드사에 보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보상에서 제외됩니다. ▲회원의 고의로 인한 부정사용의 경우 ▲카드의 미서명, 관리소홀, 대여, 양도, 보관, 이용위임, 담보제공, 불법대출 등으로 인한 부정사용의 경우 ▲회원의 가족, 동거인(사실상의 동거인 포함)에 의한 부정사용 또는 이들에 의해 제2호와 같은 원인으로 부정사용이 발생한 경우 ▲회원이 카드의 분실ㆍ도난 사실을 인지하고도 정당한 사유 없이 신고를 지연한 경우 ▲부정사용 피해조사를 위한 카드사의 정당한 요구에 회원이 특별한 사유 없이 협조를 거부하는 경우 ▲카드를 이용하여 상품구매 등을 위장한 현금융통 등의 부당한 행위를 한 경우 등이다. 자료제공=경기도소비자정보센터 손철옥팀장(031-251-9898)
갑은 1996년 을과 결혼했는데 을은 결혼 초기부터 한 직장에 오래 다니지 못했고, 약 10년 전부터는 아예 취업할 생각도 하지 않은 채 무직으로 지내왔다. 반면 갑은 악착같이 일을 해 모은 돈으로 2000년 음식점을 개업해 상당한 수입을 올렸고, 그 수입으로 안양시에 있는 토지 1천652㎡(500평)를 을 명의로 구입해 줬으며, 수원에 있는 아파트 1채를 자신의 명의로 구입했다. 을은 2년 전부터 산악 동호회에서 만난 병과 교제하기 시작했고, 갑은 그러한 사실을 알게 된 이후로 을과 자주 다투게 되었는데, 을은 병과 점점 더 가까워지더니 적반하장으로 갑이 부정행위를 했다는 등의 터무니없는 이유로 재판상 이혼을 청구했다. 이후 갑이 위 안양 토지의 등기부등본을 발급받아 보니, 을이 1년 전 토지를 시동생인 정에게 증여해 소유권이전등기까지 경료해준 것이었다. 을은 소송에서 자신에게는 분할해줄 재산이 없다고 하면서 갑 소유의 아파트에 관한 2분의 1 지분에 상당하는 금원을 갑으로부터 재산분할로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경우 갑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무엇일까? 재산 명의를 가진 배우자가 상대방 배우자와의 이혼소송에서 상대방 배우자에게 재산분할을 해주어야 할 것을 예상하고 재산분할의무를 회피하기 위해 재산을 제3자 명의로 이전해 두는 경우가 있는데, 명의상으로만 보면, 제3자 명의의 재산은 재산분할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불합리한 결과 도출된다. 그에 종래에는 재산분할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해 민사사건에 해당하는 사해행위취소 청구의 소를 제기해 문제를 해결해 왔는데, 실무상으로 재산분할 심판(협의) 전에 그 구체적 내용이 형성되기까지는 그 범위 및 내용이 불명확, 불확정하기 때문에 재산분할청구권을 피보전권리로 하는 채권자취소권이 인정될 수 있는지에 관해 의문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2007년 12월21일 민법을 개정해 부부의 일방이 다른 일방의 재산분할청구권 행사를 해함을 알면서도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를 한때에는 다른 일방은 그 취소 및 원상회복을 가정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는 규정(민법 제839조의3)을 신설했다. 따라서 갑은 을과 정 사이에 체결된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정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하라고 청구하고 나서 안양 토지를 재산분할청구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갑은 위 취소 및 원상회복 청구를 을이 아닌 정을 상대로 해야 하고, 정은 을이 갑에게 재산분할을 해주지 않기 위해 정에게 증여하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어야 한다. 그런데 을이 정에게 위 토지를 증여함에 있어서 재산분할청구권을 가진 갑을 해함을 알고 있었다면 정 또한 그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추정되므로, 정이 위 증여로 인해 갑의 재산분할청구권을 해하게 된다는 사실을 몰랐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 한편, 갑은 을이 갑의 재산분할청구권을 해하기 위해 정에게 증여를 하였다는 사실을 안 날로부터 1년 내, 위 증여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 내에 취소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문의 (031)213-6633 이정모 변호사
진공청소기는 가정 내 보급률이 82%에 달하는 대표적인 생활가전제품이다. 소비자 선호도에 따라 강력한 흡입력에 소음이 적고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제품이 많아짐에 따라 소비자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성능도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한 진공청소기 구매 비법을 소개한다. ■흡입력 효과적인 청소를 위해서는 사용조건에 알맞은 흡입력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제품에 따라 흡입력이 최대 3배 차이를 보임에 따라 구매 전 흡입력 체크는 필수다. MYVAC(ART-MY01) 제품의 경우 흡입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참조하자. ■소음 소음에 민감한 소비자인 경우 소음이 작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흡입력 상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제품에 따라 일반적인 사무실에서의 소음 수준에서 자동차도로 수준까지 천차만별이므로 사전 테스트를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미세먼지 방출량 진공청소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천식환자,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 따른 진공청소기 미세먼지방출량 5단계는 0.20㎎/㎥초과, 0.20 ㎎/㎥이하, 0.10㎎/㎥이하, 0.05㎎/㎥이하, 0.01㎎/㎥이하으로 제품별로 벙출량이 각각 다르므로 어린이나 노인이 있는 가정은 미리 체크해야 한다. ■보유기능 제품은 보급형,고급형으로 나뉜다. 제품에 따라 무선작동, 흡입력 자동조절, 오토무빙, 필터자동세척, 먼지센서, 먼지압축, 브러시자동변환, UV살균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가정 내에서 필요한 기능을 고려해 구매하면 된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저렴한 진공청소기가 싼 게 비지떡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왔다. 14일 한국소비자원이 내놓은 보급형 청소기 8종, 고급형 제품 11종 등 14개 업체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시험ㆍ평가한 진공청소기 가격ㆍ품질 비교정보 제공 자료를 보면 가격 차이는 최대 8배 이상이지만 비싼 제품의 주요 성능이 저렴한 제품과 큰 차이가 없었다. 싸이클론 방식으로 먼지를 집진하고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 진공청소기는 에이스(AVC-950), 필립스(FC8144), LG전자(VC4014LHAM), 삼성전자(VC331LWDCUD)의 제품이 흡입력, 소음 등 주요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VC331LWDCUD) 제품은 13만원으로 저렴했지만 흡입력이 최대 414W로 보급형 제품 중 가장 뛰어났다. 소음,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등도 다른 품질도 우수했다. LG전자(VC4014LHAM) 제품도 가격은 12만원대지만 최대 흡입력이 394W로 보급형 제품 중 두 번째로 우수했다. 생산이 중단된 국내제품인 에이스(AVC-950) 제품 역시 흡입력, 소음,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우수하고 가격은 10만원대로 저렴했다. 다양한 부가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고급형 진공청소기의 경우 삼성전자(VC-UBJ937) 제품이 흡입력 최대 397W로 가장 우수했지만 최대 흡입력을 기록한 보급형 삼성전자(VC331LWDCUD)에 미치지는 못했다. 필립스(FC9256) 제품(30만5천원)은 370W, LG전자(VK9101LHAY) 제품(43만5천원)은 359W로 뒤를 이었다. 다만, 이들 고급형 제품의 소음은 모두 상대적 우수 평가를 받아 보급형보다 소음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고가에 판매되는 수입제품은 가격이 최대 8배 차이가 났지만 흡입력, 소음 등의 성능은 떨어졌다. 덴마크 닐피스크(X300C) 제품은 81만9천원으로 가장 비쌌지만 흡입력은 최대 303W, 소음상태는 양호에 머물렀다. 50만원대의 스웨덴 일렉트로룩스(ZUAG3802)는 흡입력이 최대 195W로 고급형 제품 중 가장 품질이 떨어졌으며,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측정 결과 표시치(4등급)보다 한 단계 낮은 5등급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닐피스크(X300C), 루체스(LC-V60AT), 밀레(S5481), 카처(VC6300), 필립스(FC8144) 등 5개 제품은 소비전력을 마치 흡입력인 것처럼 표시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소비자원 측은 전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진공청소기 가격이 비싸다고 주요 성능이 우수하진 않다며 구매 시 흡입력, 소음, 미세먼지 방출량, 보유 기능 등을 확인하고 선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극단 한네(의정부)가 전국연극제에 경기도 대표로 참가할 수 있는 대상을 차지했다. 한국연극협회 경기도지회는 10일 전국연극제 경기도 대표 참가 극단을 가리기 위해 지난달 24일부터 4월7일까지 개최한 제31회 전국연극제 경기도대회 시상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도내 18개 시ㆍ군 대표 전문연극단체가 참여, 도지사 훈격인 단체상 부문 대상은 의정부시 대표로 참여한 극단 한네의 그 여자, 이브가 수상했다. 단체상 중 금상은 극단 동선(성남)의 누이야 큰 방 살자와 연극협회 안산시지부의 염전이야기가 받았다. 이 중 안산시지부는 안산문화재단과 공동기획한 염전이야기로 개인상 부문에서 우수연기상(성정선), 신인연기상(최진영), 특별상(김수아) 등 4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통했다. 단체상 동상은 연극협회 남양시지부, 극단 연극마을(군포시), 극단 후(고양시)가 각각 받았다. 개인 부문에서는 ▲희곡상 박윤희 ▲연출상 조현건 ▲무대예술상 조현준ㆍ박민정 ▲최우수연기상 박기선ㆍ박재운 ▲우수연기상 김학재ㆍ서영삼ㆍ오인순ㆍ성정선ㆍ정현수ㆍ이종길 ▲신인연기상 권용환ㆍ조은정ㆍ주승민 등이 수상했다. 하상길 심사위원장은 그 여자, 이브는 한 여자의 과대망상이 ?는 살인심리극이라는 낯선 내용과 반전으로 새로움을 줘 대상으로 선정했다며 이번 대회는 출품작의 양보다 질적 향상이 더뎌 안타깝지만 배우들의 연기력 향상과 7편에 달하는 초연 창작극이 밝은 미래를 전망케 한다고 심사평을 밝혔다.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