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든 뇌는 실수로부터 잘 배운다

뇌는 나이가 들수록 실수로부터 더 잘 배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나이가 든 사람일수록 정답을 바로 알려주는 것이 인지 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된다는 기존 연구와 상반되는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캐나다 로트먼 연구소(Rotman Research Institute)는 나이에 따라 뇌가어떤 과정을 통해 올바른 정답을 찾아가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각각 ‘시행착오학습(trial and error learning)’ 과 ‘착오 없는 학습(Errorlesslearning)’으로 불리는 두 학습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시행착오학습이란 정답을 찾기 전에 다양한 오류를 경험하도록 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동물을 미로에 가둔 뒤 아무런 안내를 하지 않으면 이 동물은 잘못된 길에숱하게 머리를 부딪치면서 오류를 극복하고 제대로 된 길을 찾아나간다. 이런 학습방법은 새롭게 무엇인가를 배우는 활동적인 뇌에 긍정적인 자극을 준다. 어린이들이퍼즐을 맞출 때에 엄마가 옆에서 “이렇게 해야지”하고 가르쳐주는 것보다 시행착오를거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퍼즐 맞추는 공간 능력을 기르는데 더 효과적인 것도이런 이유에서다.반면 착오 없는 학습은 노인들이나 정신 지체자 등 뇌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사람에게 많이 사용됐던 학습 방법이다. 뇌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사람은 시행착오를겪도록 놔두면 오히려 이 착오가 정답을 찾아내는데 혼선을 준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에게는시행착오학습보다 정답에 보다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 주는 착오 없는학습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왔다.로트먼 연구소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평균 나이 20세와 70세 두 그룹을 대상으로시행착오학습과 착오 없는 학습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예를들어 정답이 ‘어금니’라면 시행착오학습을 위해서는 ‘이빨의 종류’라는 단어만힌트를 주고 정답을 풀도록 했고 착오 없는 학습을 위해서는 어금니라는 정답을 미리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했다.그 결과 젊은이나 노인 모두 착오 없는 학습에 비해 시행착오학습을 했을 때 정답을보다 잘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노인들은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시행착오학습을 했을 때 젊은이에 비해 2.5배나 높은 정답 이해도를 나타냈다.연구팀은 “지금까지 노인의 인지 능력 치료를 위해서는 착오 없는 학습을 주로사용했지만 이런 치료법은 재고돼야 한다”며 “노인들은 젊은이에 비해 오류와 정답사이의 상관관계를 훨씬 더 잘 찾아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번 연구는 학술지 ‘심리학과 노화(Psychology and Aging)’에 실릴 예정이며미국 의학뉴스 사이트 메디컬뉴스투데이가 26일 보도했다.[관련기사]☞사랑에 빠지면 흥분해서 몸이 아프다☞여자가남자보다 토론을 더 좋아한다☞요즘 남자 18세는 1800년대엔 22세☞루게릭병 원인 밝혔다…획기적 치료 기대☞전업주부가워킹맘보다 우울증 심해이완배 기자 (blackhart@kormedi.com)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회사만큼 병원 자주 가면? 스트레스!

직장에서 받는 업무 스트레스가 사람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도 그렇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업무 스트레스 강도가 센 직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이 병원을 더 자주 방문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메스바 샤라프 박사는 2000~2008년에 캐나다 국민건강조사에 응답한 직장인 2만 911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스트레스가 △높은 직업 △중간 정도 직업 △낮은 직업으로 나누고 그들의 병원방문 횟수를 추적한 결과 스트레스가 높은 직업의 직장인들이 스트레스가 덜 한 직업의 직장인보다 일반의는 26%, 전문의는 27% 더 자주 만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중간 정도인 직업의 직장인들 중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의사를 더 자주 만났는데 그 이유는 남성과 여성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샤라프 박사는 병원 진료가 잦은 것은 스트레스가 사람의 면역체계에 나쁜 영향을 줘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졌다는 증거라며 여러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요통, 대장암, 전염성 질병, 심장장애, 두통과 당뇨 등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는 스트레스 강도가 센 직업의 직장인들이 의사를 자주 찾는 이유로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으로 흡연, 약물 남용, 과도한 음주처럼 건강에 나쁜 수단을 선택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한 식생활 대신 기름지고 단 음식 소비를 많이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비엠시 퍼블릭 헬스(BMC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으며 미국 LA타임스 등이 26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다이어트 콜라, 뱃살 더 찌운다 ☞뱃살 빼려면 콩나물보다는 채소-과일 ☞루게릭병 원인 밝혔다획기적 치료 기대 ☞요즘 남자 18세는 1800년대엔 22세 ☞개가 사람 숨 맡아 폐암 조기 진단

2명 중 1명, 날씨 따라 기분 달라진다

비가 오면 기분이 우울해지고 날씨가 맑으면 기분이 상쾌해지는 느낌을 갖는 사람들이많다. 그런데 실제로 의학적으로도 2명 중 1명꼴로 날씨에 따라 기분이 바뀐다는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500명의 청소년들과 그들의 엄마를대상으로 날씨가 이들의 기분에 실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그 결과 조사 대상자 가운데 17%가 맑은 날씨에 기분이 좋아졌고 27%는 반대로 햇볕이따가운 날씨에 불쾌한 감정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참가자 가운데 9%는 비가 오는 날 기분이 우울해지는 현상을 보였다. 즉 실험대상자의 53%가 날씨에 의해 감정의 변화를 느낀 셈이다. 반면 날씨가 감정에 아무런영향을 주지 않은 경우는 전체 참가자 가운데 47%에 그쳤다. 특이한 점은 이 같은 현상이 가족 사이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엄마가 맑은 날씨에 기분이 좋아진 경우 자녀들도 비슷한 성향을 나타내는 경우가많았다. 또 비가 올 때 기분이 우울해지는 현상도 엄마와 자녀가 함께 겪는 일이잦았다. 이번 연구는 심리학 연구지인 감성 저널(journal Emotion)에 실렸으며 미국 방송MSNBC 온라인판이 25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날씨 따뜻해지면 두통 늘어난다 ☞오락가락 날씨에 조울병 주의보 ☞바람 부는 날엔 스트레스 더 받는다? ☞루게릭병 원인 밝혔다획기적 치료 기대 ☞요즘 남자 18세는 1800년대엔 22세

뱃살 빼는데 에어로빅이 가장 효과

다이어트로 고민을 하는 사람들에게 근육운동을 할 것이냐 유산소운동을 할것이냐는 중국집에서 자장면을 먹을 것이냐 짬뽕을 먹을 것이냐 만큼이나 고민스러운문제다. 지방을 태우는 데에는 유산소운동이 효과가 있지만 근육운동을 통해 기초대사량을늘리고 몸의 체질을 바꾸는 것이 다이어트에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그런데 오로지 뱃살만 빼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유산소운동의 일종인 에어로빅이근육운동보다 더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듀크 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에어로빅과 근육운동 가운데 어떤 것이 뱃살을빼는데 효과가 큰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18~70세 196명의 비만환자를 대상으로 8개월 동안 이뤄졌다. 연구팀은 이들을 모두 세 그룹으로 나눈 뒤한 그룹에는 에어로빅, 한 그룹에는 웨이트트레이닝, 마지막 그룹에게는 두 운동을병행해서 하도록 지도했다. 에어로빅 그룹은 1주일 동안 평균 20km 정도를 달린 운동량과 비슷한 강도로 운동을했다. 웨이트트레이닝 그룹은 운동마다 8~12회 반복하는 것을 기준으로 모두 3세트씩 일주일에 3회 운동을 했다. 모든 참가자들은 운동 시간에 최선을 다해 운동을할 수 있도록 관리를 받았다. 그 결과 웨이트트레이닝을 집중적으로 한 그룹은 8개월이 지난 뒤 복부지방이나내장지방, 지방간 수치 모두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에어로빅 참가자들은운동 이후 내장지방과 지방간, 피하지방 등 모든 복부지방 수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에어로빅 참가자들의 뱃살 감소 정도는 에어로빅과 근육운동을 병행한 참가자들보다도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에어로빅 참가자들의 신체에서는 심장병과 당뇨병을유발하는 위험 요소도 줄어드는 부수적인 효과가 생겼다. 이 같은 결과는 에어로빅과 근육운동 직후 소모되는 칼로리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생긴 현상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에어로빅을 한 실험 참가자들은 근육운동 참가자에비해 67%가량 더 많은 칼로리를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근육운동을 하면 근육량이 늘어나고 근육의 강도가 강해지지만 단순히뱃살을 빼기 위해서라면 에어로빅을 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연구는 미국 생리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에 실렸으며 미국 과학논문소개 사이트인 유레칼러트가 25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다이어트콜라, 뱃살 더 찌운다 ☞뱃살 빼려면 콩나물보다는 채소-과일 ☞루게릭병원인 밝혔다획기적 치료 기대 ☞요즘남자 18세는 1800년대엔 22세 ☞개가사람 숨 맡아 폐암 조기 진단

사랑에 빠지면 흥분해서 몸이 아프다

흔히 사랑을 하면 열병을 앓는다고들 말한다. 밤에 잠도 오지 않고 일에 집중도안 된다. 심하면 가슴통증을 앓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사랑 열병은 나만 느끼는비정상적인 현상이 아니라 실제 사랑하는 감정이 유발한 호르몬 작용 때문일 가능성이높다. 미국 MSNBC방송 온라인판은 24일 사랑 중독: 성(性), 로맨스, 그리고 다른 위험한약물들(Love Addict: Sex, Romance, and Other Dangerous Drugs)의 저자인 에슬리앤 베어 (Ethlie Ann Vare) 등 전문가의 견해를 바탕으로 사랑 열병의 원인과증상에 대해 소개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사람이 사랑에 빠지면 뇌에 흥분한 감정을 전달하는 역할을하는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자궁수축 호르몬으로 알려진 옥시토신(oxytocin)등이 몸에서 분비된다. 이들 화학물질과 호르몬은 상대를 보고 첫눈에 빠졌을 때상호 작용을 일으켜 정신각성제의 일종인 암페타민(amphetamine)을 복용한 것과 비슷한증상을 몸에서 나타낸다. 즉 기분이 좋아지고 정신이 맑아지며 다른 사람과의 유대감을높여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감정은 일종의 약물 중독과 비슷한 것이어서 긍정적인 효과 외에여러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흘 동안 잠을 못 잔다거나 음식이 목에안 넘어간다거나 하는 것들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잠이 안 오는 것은 사랑에 빠지면 몸에서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뇌에 흥분을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도파민은 적당히 분비되면 사람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지만과다하게 분비되면 흥분으로 잠을 못 이루게 하기도 한다. 사랑에 빠지면 얼굴이홍조가 되고 에너지가 넘치는데 이는 도파민의 긍정적인 역할이다. 반면 2, 3일이나잠을 못 이루는 것은 도파민이 많이 분비돼 생긴 부작용이다. 사랑에 빠지면 음식 맛을 제대로 못 느껴 음식이 안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이런현상 역시 사랑에 집착하는 감정 때문에 생긴 부작용이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이런 감정은 짧으면 6개월, 길어도 2년 안에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다. [관련기사] ☞사랑의 묘약 옥시토신 질투심의 원인? ☞사랑호르몬 옥시토신, 전쟁 불사할 때는? ☞화성남 금성녀? 사랑할 땐 남녀 따로 없다 ☞생명연장의 약 조만간 나온다 ☞독신주의자 사망 위험 높아진다

페이스북 이용 10대, 음주 흡연 더 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많이 이용하는청소년일수록 음주나 흡연에 노출될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립 중독 및 약물남용 센터(National Center on Addictionand Substance Abuse)는 최근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들과 음주, 흡연 및 약물 중독의연관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12~17세 청소년 1000명을 대상으로이뤄졌다. 이들 가운데 70% 가량은 평소에 페이스북 등 SNS를 이용하는 학생들이었다. 조사 결과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들 가운데 약 10%가 담배를 피우는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SNS를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의 흡연 비율(2%)에 비해 무려다섯 배나 높은 수치다. 또 SNS 이용 청소년들이 음주를 하는 비율은 26%로 SNS 비(非)사용자 그룹의 음주 비율(9%)에 비해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대마초를 피울 확률도13%대 7%로 SNS 사용자 그룹이 갑절가량 높았다. 연구팀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청소년들이 SNS를 통해 음주,흡연 및 약물중독에 보다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을 꼽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SNS 사용 청소년 가운데 약 절반가량이 청소년 음주나 흡연에 관한 사진을 SNS를통해 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소년들은 다른 또래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는모습을 보면 자신들도 충동적으로 이런 일을 시도하기 쉽다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SNS가 대마초 등 금지 약물을 구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두 변수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관련이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은 맞지만 SNS 사용음주와 흡연 증가라고 단정적으로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SNS를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들의30% 가량은 종교적 성향이 강한 가정에서 자라난 아이들이었다. 이런 종교적인 성향이이들을 음주나 흡연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했을 수도 있어 단순히 SNS를 사용하지않으면 건전한 생활을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는 것이 연구팀의 견해다. 이번 연구는 미국 의학뉴스 사이트인 헬스데이가 24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자녀의 페이스 북 이용, 약인가 독인가? ☞페이스북 폐인 10대 소녀, 거식증 생긴다? ☞페이스북 친구 많을수록 스트레스 많다 ☞전업주부가 워킹맘보다 우울증 심해 ☞남자 이혼 후, 여자 결혼 후 많이 살찐다

향신료 ‘고수’ 기름, 슈퍼박테리아 퇴치

식중독균과 항생제 내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와 같은 치명적인 박테리아를 죽이는데 향신료로 쓰이는 고수 씨앗에서 추출한 기름이 탁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나왔다. 포르투갈 베이라 인뜨리오르 대학의 페르난다 도밍구 박사팀은 코리앤더(Coriander)라불리는 허브식물의 씨앗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 슈퍼박테리아로분류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병원성대장균(E.coil) 등을 포함한12종류의 박테리아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 박테리아는 감염의 원인이 되는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생제에 내성이 있어 퇴치가 어렵다. 그런데 실험 결과 12종류의박테리아 모두 생장을 멈추고 대부분 죽는 것으로 드러났다. 코리앤더는 고수라고도 불리는 미나리과의 한해살이풀로 지중해 연안 여러나라에서 자생한다. 잘 익은 씨는 상큼한 레몬과 비슷한 방향성 향기가 나고 맛은옅은 단맛이 느껴지는 감귤류와 비슷하다. 멕시코, 아랍, 중국, 태국 등에서는 씨와잎을 요리 재료로 사용하는데 향신료로 쓸 때는 영어명인 코리앤더라고 부른다. 연구팀에 따르면 코리앤더 씨앗의 기름은 박테리아 세포의 표면 막을 손상시켜박테리아가 제대로 호흡을 할 수 없도록 차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박테리아를 죽음에이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리앤더는 고대부터 약용식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어떤 메커니즘으로 그 같은 효능을 발휘하는지는 이번 연구 결과로 밝혀진셈이다. 영국에서는 매년 100만 명 정도가 식중독에 걸리며 이들 중 2만 명이 병원치료를받고, 사망자는 약 500명에 이른다. 또한 2009~2010년에는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된1900명 가운데 500명이 사망했다. 도밍구 박사는 코리앤더 기름은 일반적인 항생제를 대체할 만하다며 우리는코리앤더를 함유한 로션, 구강세정제, 알약 등의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녀는 코리앤더의 효능을 발견한 데서 그치지 않고 약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더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일간지 데일리메일, 미국 FOX뉴스가 24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커피와홍차 마시면 슈퍼박테리아 뚝 ☞슈퍼 임질균 출현, 세계 보건에 위협 ☞루게릭병 원인 밝혔다획기적 치료 기대 ☞개가 사람 숨 맡아 폐암 조기 진단 ☞전업주부가 워킹맘보다 우울증 심해

순천향 부천병원 한캄봉사회 캄보디아서 의료봉사 펼쳐

순천향중앙의료원 산하 인간사랑봉사회 소속 봉사단체인 한캄봉사회(회장 신원한)가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5박6일 동안 캄보디아 캄퐁스퍼 도립병원에서 제10차 캄보디아 의료봉사활동을 펼치고 돌아왔다.캄퐁스퍼 지역은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서 50여㎞ 떨어진 곳에 위치한 곳으로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의료 기구가 잘 갖춰져 있어 현지 수술이 가능한 캄퐁스퍼 도립병원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펼쳤다.이번 의료봉사에는 신경외과, 내과, 성형외과, 안과, 산부인과, 외과, 이비인후과, 흉부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치과 등 총 12개 진료과의 의사 14명을 포함해 교직원,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생 등 봉사대원 총 35명이 참여했으며 봉사기간 동안 의료진들은 3천222건의 진료와 54건의 수술을 진행했다.의료봉사의 마지막 날에는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연수를 받고 돌아간 모든 캄보디아 의사들이 함께 모여 재(在) 캄보디아 순천향 동문회를 개최해 그동안 각 분야에서 연구된 논문을 바탕으로 의학 세미나를 열었다.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한캄봉사회는 지난 2002년부터 올해까지 10회의 캄보디아 의료봉사 활동을 펼치면서 337명의 봉사대원, 2만6천376건의 진료, 563건의 현지 수술, 28건의 심장병 어린이 한국초청 무료수술이라는 기록을 남겼다고 밝혔다./부천=김성훈기자 magsai@ekgib.com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