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아파트 단지 오수관 파열… ‘분뇨폭탄’ 입주민 날벼락

인천시 송도국제도시의 일부 아파트 단지 내 오수관이 터져 지하주차장이 폐쇄되는 등 주민들이 각종 불편에 시달렸다. 23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연수구 송도 2동 P 아파트 단지(입주자 1천947명)와 T 아파트 1단지(2천270명)2단지(1천815명) 지하 주차장 천장에 설치된 오수관이 파열돼 분뇨 등 각종 오수가 주차장 바닥으로 쏟아졌다. 사고가 발생하자 각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단지 내 차량 진입을 통제하고, 내부 방송을 통해 가정 내 화장실 이용을 자제할 것과 주차된 차량을 밖으로 옮길 것을 주문해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특히 아파트 단지 내 인도 위와 인근 커넬워크 쇼핑몰(NC큐브) 도로까지 이중삼중 주차된 수백 여대의 차량 탓에 이 일대의 교통이 큰 혼잡을 빚었다. 인천경제청과 인천시시설관리공단은 지난 22일 새벽께 아파트 단지 외부 도로에 묻힌 중앙 오수관로가 막힌 사실을 확인, 찌꺼기 제거작업을 벌였다. 또 살수차량 8대와 30여 명의 인력을 투입해 주차장 내부 청소작업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아파트 화재경보기가 오작동해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도 빚었다. 현재 P 아파트 단지 지하 2층 주차장은 여전히 폐쇄된 상태이며, 나머지 주차장은 탈취작업을 벌이고 있다. 주민 A씨(56여)는 송도 신도시에 새로 지은 아파트인데 오수관이 터지다니 말도 안 된다면서 원인을 철저히 밝혀 또다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인근 상가에서 배출한 기름찌꺼기 등이 중앙 오수관로를 막아 아파트단지 오수관이 파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현재 원인 분석 중이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인하대서도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 찢겨

인하대학교 캠퍼스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가 찢겨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인하대와 학생모임 인하, 안녕들 하십니까에 따르면 지난 10일 고려대 재학생이 쓴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가 온라인 상에 큰 반향을 일으킨 이후 인하대 캠퍼스에 관련 대자보가 15개가량 게시됐다. 이들 대자보는 국정원 대선 개입, 철도 민영화 문제 등 사회문제에 대해 대학생 특유의 솔직한 시각을 담고 있으며, 더욱 적극적인 관심과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8일 밤 인하대 후문 인근 게시판에 붙여 있던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 두 개가 찢긴 채 발견되면서 대자보 훼손을 두고 학생들 사이에 논란이 뜨겁다. 두 개의 대자보는 사회교육과 소속 한 학생과 익명의 한 학생이 작성한 것으로 일부 혹은 전체가 찢겼으며, 누군가가 고의로 훼손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학생은 정치논리를 떠나서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는 대자보를 훼손한 것은 잘못된 행동으로 대자보 내용과 다른 생각을 갖는다면 반박 대자보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다른 학생은 이들 대자보가 학교 측의 승인을 받은 대자보가 아니며, 철거기한을 명시하지 않거나 청테이프 등을 사용하는 등 게시판 문화를 해치는 대자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인하대 관계자는 상업 목적이 아니라 내부 학생들이 만드는 대자보는 별도로 사전승인 등의 절차는 갖고 있지 않는다며 정치적인 내용이라 예민할 수 있지만 학교가 개입할 일은 특별히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제 살 깎아먹는 건축업계 과다출혈로 빈사상태

인천건축사협회 회원 절반 가까이 월 1건도 수주못해 건축주 터무니 없는 단가 요구 부실설계 부메랑 우려 인천지역 건축사업계가 공사물량 급감으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가운데 단가 후려치기 등 업계 간 제 살 깎아 먹기 출혈 경쟁으로 부실설계 우려를 낳고 있다. 22일 인천건축사협회에 따르면 협회에 가입된 357명의 회원 가운데 한 달 평균 1건의 설계도 맡지 못하는 건축사가 절반 가까이에 이르고 있다. 특히 지역 내 굵직한 규모의 공사도 대형건설사와 컨소시엄으로 들어온 외지 건축사들이 독식하기 일쑤여서 인천 건축사들은 그나마 소규모 단독 주택의 대수선이나 용도변경 등의 공사에 매달리고 있지만 이마저도 물량 부족으로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일부 건축주는 건축사업계의 경영난을 틈타 설계비용 평균 단가인 3.3㎡당 8만~9만 원보다도 터무니없는 저가 설계 수주 금액을 요구하고 있다. 통상 설계비는 3.3㎡당 8만~9만 원으로 통신과 설비, 소방, 전기, 구조 등의 외주 용역비를 제외하면 이윤은 20% 이하로 사무실 운영비조차 대기 버겁다. 최근 한 개인 건축주가 20~30개의 원룸을 신축하면서 일부 건축사에게 설계비를 6만 원 이하로 대폭 낮춰 달라고 요구하는 등 설계비 후려치기가 점차 확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건축사는 울며 겨자 먹기로 이 같은 제안을 수용하고 있지만, 건축주들이 원룸이 아닌 다른 건축물에도 저가 설계금액을 요구해 업계 갈등이 증폭되고 부실설계마저 우려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한 건축사는 설계비 후려치기를 통한 물량 확보는 임시방편으로 사실상 건축업계 전체를 죽이는 일이라며 단가가 너무 낮다 보니 제대로 된 설계를 하기 어려워 부실설계가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건축사회 관계자는 건설 공사의 경우 지역 업체 공동 도급 등을 통해 지역 업체를 배려하는 법률이 마련돼 있지만, 건축 업무는 배제돼 있다면서 정부와 자치단체 등에 법률 제정 및 조례 제정을 요구했지만, 매번 허사로 돌아가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