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3분기 누적 당기순익 3조원 육박...“역대 최대” [한양경제]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이 경기둔화 우려와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따라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하고도 올해 3분기까지 누적 3조원대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하나금융은 27일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3분기 실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올해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2조9천77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당기순이익 2조8천8578억원과 비교해 4.2% 증가한 수준이다. 하나금융은 3조원대에 육박하는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금융지주사 설립 이후 최대 실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은 9천570억원으로 전년 3분기(1조1천219억원)와 비교하면 14.7% 감소했다. 해당 분기의 당기순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대 실적을 낸 것은 그룹의 비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라고 하나금융 측은 설명했다. 비이자이익은 수수료이익(1조3천825억원)과 매매평가익(7천876억원) 등 총 1조6천96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25.5%(9천443억원) 증가했다. 큰 폭의 비이자이익 시현 역시 지주사 설립 이후 최대 규모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은 △시장변동성을 활용한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관련 매매익 시현 △신탁·퇴직연금·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 개선 △여행수요 회복에 따른 영업점 외환매매익 증가 등을 이유로 꼽았다. ■ 비이자이익 증가 영향…하나銀, 전년比 23.3%↑ 비이자이익에서 증가는 하나은행 실적에도 보탬이 됐다. 하나은행은 3분기 9천274억원 등을 포함해 누적 당기순이익 2조7천664억원(연결 기준)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3.3%(5천226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2.5%(5천756억원) 증가하면서 은행 실적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고, 우량자산 중심의 대출 성장도 한몫했다. 비은행 관계사인 하나캐피탈은 3분기 1천910억원, 하나카드 1천274억원, 하나자산신탁 656억원, 하나생명 170억원 당기순이익을 선보였다. 다만 하나증권은 당기순손실 14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사적인 비용관리를 통한 효율성을 높인 전략도 실적으로 반영됐다. 하나금융 3분기 영업이익경비율(C/I Ratio)는 전년 동기 대비 4.1%포인트 개선된 37.8%로 나타났다. 하나금융 측은 “비용 상승 압력에도 전사적인 비용 절감 노력을 해 3분기 연속 37% 수준으로 우수한 비용 효율성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경영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49%, 총자산이익률(ROA)는 0.68%이다. 총자산은 3분기 말 기준 774조9천831억원(신탁자산 173조1천836억원 포함)이다. 하나금융은 3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주당 600원을 주주들에게 현금배당하기로 결정했다. 하나금융 측은 “배당의 가시성과 지속성 제고를 위해 분기배당을 정례화한 결과”라며 “그룹은 앞으로도 우수한 자본 여력과 안정적인 자산건전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이복현 “미래에셋 횡령사고 미보고 검사 착수…책임 물을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7일 미래에셋증권의 횡령 사고 보고 누락에 대해 “허위 보고 내지는 누락 고의성 등을 검사해서 최대한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금감원이 미래에셋증권 횡령 사고를 1년 6개월 만에 알았는데 감독·보고 시스템이 엉망진창인 것 아닌가’라는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에서 프라이빗뱅커(PB)로 일하던 A씨는 한 벤처캐피털 기업 일가의 자산을 관리하며 펀드 수익을 낸 것처럼 조작해 734억원을 편취하고 투자 손실을 숨기려 가짜 서류를 만들거나 임의로 주식을 매매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하지만 금감원은 미래에셋증권으로부터 사고에 대한 보고를 받지 못했고, 300억원대 민사소송에 대해서는 뒤늦게 보고 받았다. 황 의원은 “(미래에셋증권에서) 700억원대 사고가 발생하고, 300억원대 민사소송도 있었는데 금감원이 보고를 받지 못했다”며 금감원의 내부 시스템을 지적했다. 이에 이 원장은 “허위 보고 내지 보고 누락 등에서 고의·중과실이 있었는지 검사를 착수해 내부통제 실패 건인지, 은폐 건인지 진상조사하고 있다”면서 “규정상 개별 건 근거가 있는 것에 대해선 제재할 수 있지만, 근거가 없으면 제재가 어려워서 향후 재발 방지 대책 위주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느 부분이 빠져 있는지 보고 개선방안을 준비해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CEO 테니스 사랑’에 제재 직격탄 맞은 동양생명 [한양경제]

동양생명이 저우궈단 대표이사의 ‘지극한 테니스 사랑’으로 금융당국의 제재 직격탄을 맞는 처지에 놓였다. 금융당국이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는 ‘공유재산’인 테니스장을 동양생명이 무자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운영했다고 잠정 결론 내렸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저우궈단 동양생명 대표 등 임직원들이 장충테니스장 관련 계약 체결 및 사업비 집행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한 것과 관련해, 조만간 법인 제재 조치와 함께 관련자들을 수사기관에 고발 조치 등을 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올해 9월 4일~15일까지 동양생명의 사업비 운용 실태에 대한 현장검사를 한 결과를 지난 24일 밝혔다. 동양생명은 지난해 12월 장충테니스장 운영권을 낙찰받은 스포츠시설 운영업체 A사와 광고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올해 4월 일부 언론을 통해 동양생명의 낙찰 행위가 ‘우회 낙찰’이라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금감원은 이후 임원 면담 등 사실 확인을 했지만 소명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사업비가 합리적으로 집행됐는지 여부 등을 검사해왔다. 금감원에 따르면 동양생명은 테니스장의 시설 운영을 기획하고 지시를 하는 등 실질적인 운영권자 역할을 수행해왔다. 또 금감원은 테니스장 운영을 위한 시설보수 비용을 대부분을 보전해주는 등 회사에 일방적으로 불리한 계약을 체결한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동양생명 측은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충성도를 강화하기 위한 전사 차원의 다각적인 노력 덕분에 실적 개선과 기업가치가 크게 향상됐다”며 “금감원 조상 대상인 테니스장 계약 역시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악의성을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 운영권 낙찰가액, 최대 7배 이상 높아…“상당한 고가” 하지만 금감원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동양생명 측이 객관적인 근거 없이 사업비를 집행하고 불합리하게 운용했다고 판단했다. 장충테니스장은 관할 지방자치단체 소유 ‘공유재산’으로 공개입찰을 통해 사용·수익허가권을 부여받는다. 또 테니스장 입찰 공고상 입찰 참여는 최근 5년 이내 테니스장 운영 실적이 있는 자로 한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낙찰자는 제3자에게 운영권 일부나 전부를 전대(轉貸)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동양생명은 지난해 10월 A사가 장충테니스장 운영권 낙찰가액 26억6천만원(3년 분할)을 연간 9억원(3년간 총 27억원)씩 기본 광고비 명목으로 전액 보전하기로 했다. 실제 동양생명은 1년차분 기본광고비 9억원을 지급했다. 또 동양생명은 지난해 12월 테니스장 시설보수 공사비용을 명목으로 추가 광고비 9억원을 추가 집행한 것으로 금감원 검사 결과 확인됐다. 이외에도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3차례에 나눠 장충테니스장 운영에 소요되는 인건비와 관리비 등을 광고대행수수료 명목으로 1억6천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금융당국은 장충테니스장 운영권 입찰금액으로 A사가 제시한 낙찰가액 역시 과다하게 부풀어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사안에 따라서는 배임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A사의 제안 낙찰가액은 장충테니스장의 직전 운영권 낙찰가(3.7억원)과 최저 입찰가(6.4억원) 대비 4.1~7.1배 높은 금액으로, A사가 처음 제안한 금액(3년간 21억원)보다도 5억6000만원 더 많다. 특히 금감원은 사업비 집행 과정에서도 회사의 내부통제 절차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고 봤다. 금감원은 “(동양생명은) 임원 해외 출장비 등 경비 집행 시 업무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문서, 비용 집행 정산서 등 증빙이 구비돼 있지 않음에도 검토 없이 관련 비용을 지급했다”며 “근거 없이 업무추진비 등을 인상해 지급하는 등 사업비를 불합리하게 운영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동양생명의 테니스장 계약체결, 사업비 집행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한 행위에 대해서는 검사·제제 규정에 따라 조치하고, 저우궈단 대표 등 회사 임직원이 회사에 끼친 손해에 대해서는 내부심사를 거쳐 필요시 수사기관에 통보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저우궈단 대표 취임을 전후로 회사가 과도한 테니스 관련 사업을 추진해왔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 2월 새 대표이사로 선임된 저우궈단 대표는 평소 취미생활로 테니스를 즐기고 주말에도 직원들과 테니스를 칠 만큼 애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업계에 알려졌다. 동양생명도 지난 1월 스포츠 특화 헬스케어 앱 출시를 추진하거나 테니스대회를 개최하는 등 테니스 관련 사업에 공을 들여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업마다 오너나 CEO가 원하는 사업을 중점 추진하는 데 매달리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번 케이스(사례)는 과욕이 비정상적인 사업 추진을 낳게 한 화근을 보인다”고 말했다. 동양생명 측은 공식 입장문을 내고 “금감원의 검사 기간 중 해당 건에 대해 성실히 설명했다”면서도 “검사결과가 발표되고 결과적으로 고객 여러분과 주주, 임직원분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은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강석훈 산은 회장 “부산 이전, 나름대로 노조 설득 중”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은 24일 산은 부산 이전과 관련해 “나름대로 노조를 설득하는 과정에 나서고 있다”며 “토론회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 회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산은의 부산 본점 이전을 위해 내부적으로도 노력이 필요하다는 국민의힘 최승재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또한, 부산 이전을 전제로 연구용역을 진행한 것에 대해서는 “산은이 정부 정책에 관해서 비용 편익 분석을 해서 그게 맞다 틀리다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라며 “저희는 이전 타당성 문제에 대해 일관적으로 분석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해 왔다”고 강조했다. 산은은 지난 7월 부산 이전 계획 연구용역을 통해 모든 기능과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금융당국에 보고한 바 있다. 금융위원회와 산은은 전체 기능을 이전해야 온전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했고, 이에 따라 서울 여의도에는 최소인력인 100여명만 두고 전부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행 산은법 제4조는 ‘산은은 본점을 서울특별시에 둔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부산 이전을 위해서는 법 개정과 국회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노조와 야당은 산은의 부산 이전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오기형 의원은 “(강 회장이) 정무위 야당 의원들도 설득하겠다고 했는데, 저는 1년 동안 강 회장님을 한 번도 뵌 적이 없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강 회장은 “향후 법안소위가 진행될 때 산업은행이 부산에 가서 어떤 일을 하겠다는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조와) 대화하고 싶은데 실질적으로 부산으로 이전하지 않겠다는 이야기가 아니면 어떤 대화도 거부당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HMM 매각도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이 “적격 인수자가 없어도 HMM을 이번 입찰에서 반드시 매각할 것이냐”고 묻자, 강 회장은 “적격 인수자가 없다면 반드시 매각할 이유가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답했다. 그동안 산은은 올해 안에 HMM 매각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전해왔지만, 업계에서는 HMM 인수전에 참여한 후보들이 자체 여력으로 HMM을 인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산은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입찰적격후보(숏리스트)로 동원산업, 하림·JK파트너스 컨소시엄, LX인터내셔널 등 3곳을 선정했으며, 지난달 6일부터 실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11월 최종입찰을 진행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KB금융, 사상 최대 실적… 3분기 누적 순이익 4조3704억원 [한양경제]

KB금융그룹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4조3천700억원을 웃돌며 3분기 누적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보였다. KB금융그룹은 24일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8.2%(3천321억원) 증가한 4조3천70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3천7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0.4%) 증가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8.4% 감소했다. KB금융그룹 측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기타영업손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KB손해보험이 금융당국의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을 반영하면서 일회성 손실이 발생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KB금융그룹 재무총괄임원은 이번 실적에 대해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영업 환경 속에서도 은행과 비은행 계열사의 균형 잡힌 성장과 비이자수익 확대 및 판매관리비 통제를 통해 안정적인 이익창출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특히, 순수수료 이익은 그동안의 그룹 비즈니스 다변화 노력에 힘입어 올해 들어 매 분기 9천억원대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3분기 누적 그룹 CIR(Cost-to-Income Ratio)은 37.4%로 전년 대비 큰 폭 개선됐다. 3분기 누적 그룹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 역시 0.52%를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KB금융그룹 재무총괄임원은 “그룹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 증가는 1분기 중 포괄적 추정전망(General Provisioning)을 전입한데 이어 2분기에도 예상손실 전망 모형 변경에 따른 추가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상반기 중 약 4천900억원의 대규모 충당금을 전입하고 그룹 전반적으로 경기불확실성에 대비하는 보수적이고 선제적인 충당금 적립 정책을 지속한 데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KB금융그룹 이사회는 3분기 배당으로 주당배당금 510원을 결의했다. KB금융그룹 재무총괄임원은 지난 7월 발표한 3천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진행 상황에 대해 “8월부터 신탁계약방식에 의거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으며, 매입이 완료되는 대로 소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개미들 죽 쑤는데…증권사, 820억원 ‘상여금 잔치’ [한양경제]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여파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국내 증권사들이 지난해 수백억원대 상여금을 임직원에게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증시 부진 속에서 상대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개미투자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위기 상황에서 증권사들이 ′상여금 잔치′를 했다는 점이 드러나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2022년) 10대 증권사(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삼성·KB·하나·메리츠·키움·신한투자·대신)의 고유자산운용부서(주식·채권·파생 포함) 임직원이 받은 상여금 규모는 3천18억3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증권사별로는 △메리츠가 694억3천1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상여금을 지급했고, △하나(629억5천300만원) △KB(413억5천500만원) △삼성(329억2천100만원) △신한투자(296억8천100만원) △한국투자(228억3천100만원) △NH투자(194억7천400만원) △미래에셋(150억8천200만원) △키움(63억5천만원) △대신(17억2천5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연도별로는 △2018년 469억4천500만원 △2019년 447억3천900만원 △2020년 552억7천800만원 △2021년 728억5천만원 △지난해 819억9천100만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상여금 규모는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증권사들의 상황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지난해 증권사들의 순이익은 2021년 말부터 이어진 증시 부진과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금감원의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회사(58개사) 당기순이익은 4조5천131억원으로, 전년(9조 896억원)보다 50.3% 감소했다. 이에 더해 증권사들은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확대되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었고, 올해 초 금융당국으로부터 성과급 지급 현황을 점검받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증권사들이 실적이 부진한 상황에서도 성과급 지급 규모를 늘리는 것이 ‘과도한 성과급 지급’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 역시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잘못 설계된 체계로 인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겠다”며 증권사들의 상여금 문제를 주목하겠다”고 말했다. 김종민 의원은 “부동산 PF 사업이 부실화되는 상황에 높은 수준의 성과급이 지급된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부동산 PF 사업에 대한 증권사의 과도한 쏠림 현상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눈물’의 부동산PF, ‘성과급 잔치’한 증권사 [한양경제]

국내 9개 종합금융투자사(자기자본 3조원 이상 증권사)가 최근 4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담당 임직원에게 성과급 8천500억원 이상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PF 사업이 부실화되는 상황에서 증권사들이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는 지적과 함께 부실이 확정될 경우 성과급 환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용우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메리츠·한국투자·미래에셋·KB·키움·NH투자·신한투자·삼성·하나증권 등 9개 종투사의 최근 4년간(2019~2022년) 부동산 PF(대체투자 포함) 관련 성과급 총액은 8천510억원, 연평균 2천128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이 중 메리츠증권의 4년간 성과급 총액은 3천550억원으로, 9개 종투사 중 가장 컸다. 특히, 메리츠증권의 부동산 PF 담당 인력은 연평균 223명으로 45∼172명 수준인 타 증권사 대비 압도적으로 많아 성과급 지급 규모도 컸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천411억원), 미래에셋증권(840억원), KB증권(824억원), 키움증권(595억원), NH투자증권(517억원), 신한투자증권(373억원), 삼성증권(239억원), 하나증권(158억원) 순이었다. 최근 증권사의 부동산 PF 사업은 시장 악화로 사업 진행이 지연·중단되거나 개발 및 분양 실패로 부실화돼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중소형 건설사들은 생존 위협에 몰려있는 상황이다. 성과급은 일시지급, 이연지급(성과급을 나누어 지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성과보수의 40% 이상을 3년 이상 이연해 지급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향후 투자 부실이 확정되면 이연성과급 환수 사태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용우 의원은 “부동산PF 사업이 부실화되는 상황 속에서도 높은 수준의 성과급이 지급된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부동산PF 사업에 대한 증권사의 과도한 쏠림 현상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입니다.

수협은행, 어민 없는 수도권에 지점 편중…“설립 취지 어긋나”

수협은행 지점 과반수가 어업인이 없는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어업인과 조합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수협은행의 설립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재갑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협은행 127개 중 87개(69%)가 수도권에 편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르면 중앙회는 ‘어업인과 조합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함으로써 어업인과 조합의 자율적인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그 경제적 지위의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신용사업을 분리해 그 사업을 하는 법인’으로서 수협은행을 설립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립 목적에도 수협은행을 어촌 현장에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윤 의원실의 조사 결과, 수협은행 지점 127개 중 87개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으며, 특히 서울에만 57개(45%)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어업인이 주로 찾는 수산정책자금은 비수도권 대출 규모가 81.2%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지만, 어업인들이 많은 비수도권 지점은 부산(12개), 경남(3개), 전남(3개), 충남(1개) 등으로 과반수를 넘지 못했다. 윤 의원은 수협은행이 최근 오픈한 ‘Sh 수퍼골드클럽’을 통해서도 수도권 집중화 문제가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Sh 수퍼골드클럽은 프라이빗뱅킹(PB) 서비스 브랜드로, 서울 압구정과 양재 두 곳에 전담지점을 마련해 VVIP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Sh 수퍼골드클럽에 가입한 비수도권 인원수는 단 4%에 불과했다. 윤 의원은 “(수협은행이) 수도권 VVIP 챙기기에 급급한 모습”이라며 “수협은행이 본래의 설립 목적에 맞게 어업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비수도권에 대한 투자를 늘려 경제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IT 조직개편에 ‘속도‘…은행·카드·FIS 노사 합의

우리금융그룹의 IT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 작업이 물살을 탔다. 지난 7월 IT 혁신계획 발표 후 3개월 만에 은행·카드·FIS 3사 노사합의를 이뤄낸 것이다. 우리금융은 20일 우리금융 본사에서 임종룡 회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박완식 우리카드 대표, 고정현 우리에프아이에스 대표와 박봉수 우리은행 노조위원장, 장문열 우리카드 노조위원장, 이호성 우리에프아이에스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IT거버넌스 개편을 위한 노사합의′ 서명식을 진행했다. 우리금융은 지난 7월 우리에프아이에스의 주요 IT 개발 및 운영 업무를 은행과 카드사가 직접 수행하는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사 노사는 지난 8월 이후 총 4회에 걸친 공동협의를 진행했으며,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직원 설명회를 개최하고 공동협약서를 작성하는 등 신속하게 합의를 이끌었다. 우리금융은 이번 개편으로 은행, 카드사의 기획과 IT 업무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그룹의 디지털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현업과 개발자가 기획단계부터 공동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애자일(agile) 조직을 통해 개발 신속성을 확보하고, 외주 개발을 자체 수행으로 전환함으로써 조직과 인력의 중복을 해소해 IT 비용 효율화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업무 연관성 등을 고려해 인력 등의 일부를 은행과 카드사로 이전할 예정”이라며 “IT 업무의 기획, 분석, 개발의 전 과정에 있어 신속하고 유연한 실행 중심 문화가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금융은 오는 11월 이사회 결의를 거쳐 내년 1월부터는 개편된 IT 거버넌스 체제로 출범할 계획이다.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사고, CEO가 책임져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7일 “(금융사고는) 금융사의 최고경영자(CEO)가 어느 정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현장 국감에서 금융사고 및 금감원의 내부통제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현재 금융사고는 2010년 이전의 규모나 행태에 비해 훨씬 더 금액이 커지고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며 “이는 오랜 기간 과유동성 상황이 지속되면서 흐트러진 윤리의식이나 이익 추구의 극대화 현상이 표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내부통제 혁신방안과 지배구조법 개정안 등을 발표했다며 “제 임기 동안에는 적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책임자를 엄중하게 문책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금융회사의 내부 KPI가 이익 추구 경향을 과도하게 극대화하는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며 “반복적이고 중대하고 국민들이 수용할 수 없는 형태의 실패에 대해서는 금융회사 CEO나 최고위층이 어느 정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최근 발생한 ′BNK경남은행 횡령사고에 금감원의 책임도 있다′는 지적에 “저희가 경남은행의 모든 담당자를 확인할 수 없을뿐더러 동일한 직원을 한 분야에 오랫동안 두지 말자고 여러 번 이야기했고, 확인 요청까지 했다”며 “금융사를 너무 신뢰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금융사들과의 신뢰를 유지하면서도 날카로운 시각으로 감독·검사에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금감원 출신 직원들이 금융사나 대형 로펌에 대거 취직한 데 대해서는 “금감원 출신 직원들이 취직한 금융사에 대한 감독·검사는 더 철저하게 하도록 지시했다”며 “대형 로펌의 경우 사적 접촉을 아예 차단하는 등 공식적인 만남만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어길 시 처벌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