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젠이텍스, 유전체 분석으로 소아뇌종양 재발 치료 새 길 열어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는 유전체 분석 기법을 활용해 소아 뇌종양의 재발 원인을 규명, 관련 질환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고 18일 밝혔다. 테라젠이텍스는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신경외과 김승기, 피지훈 교수팀 및 순천대 약학과 박애경 교수팀과 공동으로 소아 악성 뇌종양의 일종인 수모세포종 수술 후 재발한 환아 17명의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재발한 조직에서의 DNA 변이 빈도가 증가했고, 암과 연관된 PTEN, MTOR 등의 유전자 변이가 새로 일어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에서 특이할 만한 점은 수모세포종이 재발한 것이라고 알고 있던 종양들 일부에서 악성 신경교종의 특징적인 유전자 발현 패턴이 발견됐다는 점이다. 수모세포종은 재발 시 적절한 치료법이 없으나, 악성 신경교종은 최근 치료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치료 확률이 높지는 않아도 치료 시도에 나설 수는 있다. 따라서 유전체 분석을 통해 수모세포종이 재발한 것인지 2차 암인 악성 신경교종이 발병한 것인지를 정확히 감별하는 것은 치료 여부와 방법 등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의료계에서는 재발한 종양의 진단 과정에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이용한 유전체 분석 기법’이 높은 활용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 이번 유전체 분석을 통한 표적치료 가능성 제시가 앞으로 소아 뇌종양 진단과 치료에 ‘정밀의학’을 도입할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병리 연구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신경병리학회지(Acta Neuropathologica)’ 최근 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테라젠이텍스는 유전체 기반의 진단 및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09년 국내 최초로 인간 게놈지도를 규명하는 등 유전체 분석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권혁준기자

대신협, “정부, 지역언론정책 자치분권시대 역행…TF팀 구성 대응”

전국 지역언론사들이 18일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정부의 지역언론정책이 자치분권시대에 역행하고 있다’며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강력히 대응해 나가기로 결의했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회장 김중석 강원도민일보 사장)는 이날 국회의원 회관에서 회장단과 운영위원, 회원사 청와대 및 국회 출입기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기관 및 공공법인 등의 광고법 제정, 지역신문발전지원기금의 대폭적인 삭감 등 지역신문 현안과 관련한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했다.   대신협은 이 자리에서 오는 12월13일 시행 예정인 정부기관 및 공공법인 등의 광고시행에 관한 법률이 과거 언론통제 및 중앙집권시대의 광고 집행 및 매체 선정권을 정당화하는 것은 물론, 자치단체의 광고매체 선정권을 중앙정부 통제하에 두기 때문에 자치분권 정책에 역행하는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청와대와 정부, 국회 등에 개선책 마련을 요청하기로 했다.   또한 관련법에 ‘지방자치단체 및 특별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의 광고는 해당 기관의 의견을 고려해 홍보매체를 선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강제규정이 아니어서 부익부 빈익빈을 더욱 심화시키고 지방거버넌스 구축에 심대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중앙정부가 자치단체 광고를 대행하도록 한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일뿐만 아니라 홍보업무마저 중앙집권체제하에 놓아두겠다는 신중앙집권적 행태라고 비판했다. 대신협은 또 지역신문발전지원기금의 대폭적인 삭감으로 당초 입법 취지가 크게 후퇴하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하기로 했다. 대신협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신문 정책 테스크포스팀’을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김중석 회장은 “지역신문들은 새정부가 출범하면 자치분권이 강하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언론정책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며 “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시행하는 등의 자율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회원사들의 힘을 모아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신협 공동취재단

언론 3단체, 청와대에 프레스센터 환수 서명지 전달

한국신문협회(회장 이병규)ㆍ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회장 이하경)ㆍ한국기자협회(회장 정규성) 등 언론3단체 회장들은 16일 오후 4시 청와대를 방문, 연풍문 2층 대회의실에서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을 만나 ‘프레스센터 언론계 반환 언론인 서명서’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이병규 한국신문협회장은 “언론계 공적 자산인 프레스센터를 언론계 품으로 돌려달라는 당연한 요구가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다”며 “언론인들의 의지를 확인하는 서명 전달이 정책 당국의 이성적 결단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하경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은 “프레스센터 반환 문제는 언론인의 자부심을 지키기 위한 문제로 앞선 정부에서도 계속 제기해 왔던 것”이라면서 “정의와 원칙을 지키는 현 정부가 프레스센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규성 한국기자협회장 또한 “프레스센터와 관련된 문제는 상업적 가치가 아닌 공익적 가치로 판단해야 한다”며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반환과 자율적 운영 보장을 위한 언론단체 서명 요청에 언론사 대표, 편집인, 기자 등 4천200명이 넘는 언론인이 동참했다. 이에 정부도 많은 관심을 갖고 해결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서명 용지를 접수한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소송까지 진행되고 있어 유감”이라며 “문제를 간단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음을 알아달라. 정부차원에서 지혜를 모아보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한국신문협회와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는 지난달 6일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운동을 개시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어 같은 달 18일 오전 11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언론인 서명운동’ 출범식을 시작으로 전국 언론인 서명운동을 시작해 4천247명의 서명을 받아 이날 청와대에 전달했다.박준상기자

네이버 클라우드, 건국대병원 의료정보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이하 NBP, 대표 박원기)이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건국대병원에 의료 정보화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NBP에 따르면 건국대병원은 최근 랜섬웨어 등 특히 보안 위협에 취약한 의료 정보를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한, ISMS 보안 인증 및 국내 최초의 CSA STAR Gold 등급을 받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최종 서비스로 선정했다.이번에 제공하는 서비스는 진료 예약이 이뤄지는 건국대병원의 홈페이지에 우선 적용될 방침이며 향후 다양한 병원 내 시스템에 도입이 검토된다.건국대병원 측은 “의료산업은 매일 많은 양으로 새롭게 쌓이는 각종 의료 관련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전문 보안 인력이 다른 산업에 비교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이 보안과 안전성으로 보안 사고도 발생하지 않은 네이버 클라우드에 큰 신뢰가 갔다”라고 설명했다.NBP 류재준 부장은 “AI 플랫폼과 머신 러닝 기반의 챗봇 등이 도입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병원 관계자의 관심이 뜨겁다”라며 “이번 건국대병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을 계기로 향후 많은 헬스케어 분야에 지속적인 도입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3.5㎓ 대역서 최고 5G장비 공급"…실물 첫 공개

삼성전자[005930]가 3.5㎓ 대역 5G 통신장비 실물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5G 상용화 일정에 맞춰 국내 이통사에 적기에 공급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김영기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은 13일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직접 3.5㎓ 대역 5G 기지국 장비를 소개하며 "3.5㎓ 대역에서도 최고의 기술과 최고의 제품으로 우리 시장에 적기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800㎒의 광대역을 10Gbps 이상으로 처리할 수 있는 28㎓ 고주파 기술이 진정한 5G"라며 "대역폭이 800㎒에서 100㎒로 줄고, 안테나 수도 1천24개에서 64개로 줄어드는 3.5㎓ 대역에서도 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부연했다. 5G 주파수 대역은 크게 3.5㎓와 28㎓로 나뉜다. 저주파수 대역인 3.5㎓는 고주파수보다 데이터 전송량이 적지만, 전파 도달거리가 길고 전송 속도도 빠르다. 반면 고주파 대역인 28㎓는 도달거리가 비교적 짧지만, 대역폭이 넓어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경쟁사인 화웨이는 3.5㎓에 집중했지만 삼성전자는 28㎓ 대역을 중심으로 장비를 구축해왔기 때문에 그동안 삼성전자가 적기에 3.5㎓ 장비를 내놓을 수 있을지가 업계 관심사였다. 화웨이 장비의 기술력은 삼성전자 등 경쟁사보다 1분기 이상 앞서고, 가격은 20∼30%가량 저렴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김 사장은 이처럼 삼성과 화웨이의 기술 차가 난다는 지적에 대해 "삼성전자는 (화웨이보다 늦은 게 아니라) 어느 회사보다 더 빠르다고 생각한다"며 "국내 시장에서 가장 좋은 5G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홈 시큐리티 회사를 고를 때도 가장 먼저 기준이 되는 것이 신뢰도"라며 "한국 산업계에서 가장 믿을 수 있고 안정적인 회사가 되는 것이 우리 회사의 경영 철학"이라고 덧붙였다. 보안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에서 삼성전자가 가장 앞선다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이날 처음으로 실물을 공개한 5G 장비는 지난달 완료된 3GPP(세계이동통신표준화기구) 국제표준 기반 제품 중 가장 작은 크기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12월 1일 5G 주파수 송출 시작과 내년 3월 상용화 계획에 맞게 공급할 수 있도록 완성단계에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과 최적화가 완료되는 대로 양산해 이동통신 사업자에 공급된다. 삼성전자는 이와 함께 5G 기술을 활용한 고정형 초고속 인터넷(FWA) 서비스 통신장비와 단말, 표준 기반 2.5㎓ 주파수 대역의 5G 기지국 장비(Massive MIMO)도 선보였다. 5G FWA 서비스는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즌과 함께 올해 내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며 5월 미국 스프린트와 상용 공급 계약을 체결한 2.5㎓ 대역의 5G 기지국 장비는 내년 미국에서 상용화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수원 디지털시티 캠퍼스 곳곳에 5G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해 대량 다중입출력안테나를 활용한 '5G 스타디움', 초고속 대용량 콘텐츠 전송이 가능한 '5G 키오스크' 등을 시연했다. 수원 디지털시티 캠퍼스 축구장에 수십 대의 단말을 설치하고 대량 다중입출력안테나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한 결과, 적용 전 96Mbps에서 적용 후 174Mbps로 두 배 가까이 빠르게 나타났다. 또 다수의 5G용 태블릿에서 UHD 동영상을 스트리밍하고 고성능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도시 인프라와 연계 가능한 '5G 커넥티비티 노드'도 선보였다. 5G뿐 아니라 지그비, 저전력 블루투스, 와이파이, 기가바이트 이더넷 등 다양한 통신기술로 가로등·신호등과 같은 도시 인프라, CCTV·사이니지 등을 무선으로 연결해 교통안전·치안 등의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김영기 사장은 "네트워크사업부는 매년 두 자리 숫자의 성장률을 내고 있고 2020년까지 글로벌 점유율 20%를 달성할 것"이라며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5G 전국망을 갖게 될 것이라는 측면에서 5G 생태계 리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방심위, 성체훼손 논란 워마드 중점 모니터링 한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온라인 커뮤니티 워마드를 중점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최근 ‘성체(聖體) 훼손 사진’ 및 ‘성당방화 예고글’이 올라간 온라인 커뮤니티 워마드(WOMAD)에 대해 중점모니터링이 시행된다.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강상현, 이하 방심위)는 “워마드에서 유통되는 차별·비하, 모욕, 반인류적·패륜적 정보 등에 대한 중점모니터링을 할 것”이라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 상의 불법·유해정보에 해당하는 게시물에 대해서는 엄중히 처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앞서 방심위는 ▲‘한국 남성은 신체적인 장애를 가졌다’, ▲‘지나가는 노인을 죽이고 싶다’, ▲‘50대 이상은 고려장을 해야한다’ 등 워마드에서 유통되는 차별·비하성 게시글 등 총 122건에 대해 시정요구를 내린 바 있다.방심위는 “통신심의의 경우 ‘최소규제의 원칙’하에 누리꾼들의 표현의 자유를 두텁게 보장하고 있다”라면서도 “온라인상의 차별·비하 표현의 경우 혐오풍토의 조장을 넘어 자칫 현실범죄로 이어질 우려도 크므로 심의 및 시정요구가 불가피하다”라고 밝혔다.아울러 방심위 측은 불법·유해정보 발견 시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신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경기콘텐츠진흥원 2017년 G-시네마 지원작 '밤의 문이 열린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본선 경쟁 진출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한 다양성영화 ‘밤의 문이 열린다’(감독 유은정)가 12일 개막하는 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부천 초이스’ 부문에 진출했다. ‘부천 초이스’는 국제 경쟁부문으로, 총 11개 국가 12편의 장편이 선정됐다. ‘밤의 문이 열린다’는 유령이 돼 스스로 죽음의 이유를 찾고자 시간을 되돌아가는 여성의 이야기를 그린 판타지 영화로, 부천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다. ‘밤의 문이 열린다’는 오는 13일 CGV소풍에서 첫 상영을 시작으로 15, 19일까지 총 3번 관객과 만난다. 상영이 끝난 후엔 유은정 감독과 한해인 등 주연 배우가 참석하는 관객과의 대화도 진행된다. 경기콘텐츠진흥원은 지난해 ‘밤의 문이 열린다’를 포함한 9편의 다양성영화를 선정해 제작 투자 지원한 데 이어 올해는 10편의 작품에 총 5억 5천만 원을 차등 지원했다. 또 다양성영화 시나리오 기획개발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등 한국 다양성영화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경기콘텐츠진흥원은 시나리오 기획개발지원 사업의 하나로 시나리오 작가들의 쇼케이스 참가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대행사인 코리아나우 ‘BIFAN 시나리오 쇼케이스’에는 김준, 이주헌, 최신춘 등 3명의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BIFAN 시나리오 쇼케이스’는 16일 고려호텔 크리스탈룸에서 개최되고, 작가가 시나리오에 대해 직접 피칭하며 영화 투자관계자들에 작품을 공개한다. 코리아나우 ‘BIFAN 시나리오 쇼케이스’ 행사 세부정보는 영화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현호기자

네이버 문자 인식 기술, 국제 경진 대회에서 점수 가장 높아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네이버의 문자 인식 기술(OCR)이 국제 경진 대회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네이버는 10일 자사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Clova)와 인공지능 통번역 서비스 파파고(Papago)의 공동 OCR 연구팀이 국제 경진 대회인 ‘ICDAR Robust Reading Competition’을 통해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ICDAR Robust Reading Competition’은 디지털 이미지와 비디오 상에서 텍스트를 감지/인식하는 기술인 Robust Reading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경진 대회다.네이버에 따르면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은 크게 이미지에서 ▲문자의 위치를 찾는 ‘검출 기술’과 ▲문자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인식 기술’로 나뉜다. 이중 네이버의 문자 검출 기술이 알리바바, 텐센트, 센스타임 등 글로벌 업계와의 경쟁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이날 Robust Reading Competition 사이트에 따르면 2017년에 공개된 다국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문자 영역 검출에 대한 과제 ‘Multi-Lingual scene Text(MLT) Localization’에서 네이버가 73.68%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해당 기술은 영어를 포함한 라틴 계열의 문자뿐만 아니라,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벵골어, 특수 기호 등 총 7개의 문자 영역을 검출하는 기술로, 단일 언어를 검출하는 것보다 훨씬 고도화된 기술력이 요구된다고 네이버 측은 설명했다.지난 6월에는 2013년에 공개된 근접 촬영 데이터에 대한 문자 영역 검출 과제 ‘Focused Scene Text Localization’에서도 네이버의 문자 검출 기술이 타 글로벌 AI 기업 대비 가장 높은 점수인 94.02%를 기록한 바 있다.네이버 클로바 VISION팀의 이활석 연구자는 “OCR 분야의 공신력 있는 세계 경진 대회에서 네이버가 좋은 성과를 기록하며 세계적 업체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다”라며 “OCR 기술을 지속해서 고도화해, 네이버의 컴퓨터 비전 기술이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향후 OCR 기술을 파파고 등 실제 서비스에도 적용하며 AI 기술을 실제 사용자들이 쉽게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