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교육지원청, 경기도무형문화재 ‘이천 거북놀이’ 공헌형 공유학교 개강

이천교육지원청(교육장 김은정)은 25일 경기도무형문화재 이천거북놀이보존회와 협력을 통해 공헌형 공유학교 ‘이천 거북놀이’ 프로그램을 개강했다. 공헌형 공유학교란 지역사회 기관(단체)이 기부한 교육자원을 활용하거나 기부한 프로그램을 재구성해 운영하는 형태의 공유학교를 말한다. 이번 공유학교는 경기도무형문화재 이천거북놀이보존회의 ‘이천 거북놀이 청소년예술아카데미 사업’ 프로그램 공헌으로 이천교육지원청 공유학교팀과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을 재구성해 개설됐다. 이천 거북놀이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된 이천의 대표 민속놀이로 마을공동체가 함께 어울려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던 전통 예술 문화다. 이날 개강하는 공헌형 공유학교 통해 관내 초3~중3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봉공원 내에 위치한 이천무형유산전수교육관에서 방과후 시간을 이용해 매주 화요일 3차시씩 30주간에 걸쳐 배우고 체험하게 된다. 또한 학생들은 전문예술인으로부터 이천 거북놀이의 다양한 풍물 가락과 징·장구·북·꽹과리 등 다양한 전통 악기 연주, 이천 거북놀이 내 전통 가무 등 다양한 전통 종합 예술을 배울 예정이다. 김은정 교육장은 “이천 거북놀이는 우리 지역의 정체성과 공동체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이천시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공헌형 공유학교를 확산하고 학교와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교육 생태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제26회 이천 백사 산수유 꽃축제 개최…도립리 등지서 28일 ‘팡파레’

제26회 이천백사 산수유꽃축제가 28~30일 ‘봄의 전령사, 모두에게 희망을’을 주제로 경사리, 도립리, 송말리 일원에서 상춘객을 기다린다. 이천백사산수유꽃축제추진위(위원장 김재갑)는 백사면 경사리, 도립리, 송말리 일대의 아름다운 산수유 군락지를 배경으로 지역 주민들과 함께 개최하는 이천백사산수유꽃축제가 올해도 어김없이 이른 봄의 시작을 알린다. 첫날인 28일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봄꽃 놀이와 함께 각종 체험, 공연 및 전시 등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올해는 잦은 강설로 예년보다 개화시기가 일주일 정도 늦어진 점을 감안해 축제를 기획했으며 축제기간에는 만개한 산수유꽃과 따뜻한 봄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도록 준비했다. 또한 탄소중립 실천에 동참하는 의미로 업사이클링 체험 프로그램과 산수유 둘레길 플로깅(쓰레기 줍기) 이벤트 등을 마련해 관광객들과 환경보호의 의미를 함께 나눌 예정이다. 김재갑 위원장은 “상춘객들이 시골 마을을 감싸안고 있는 산수유나무와 자연을 벗삼아 함께 즐길수 있는 축제와 안전하고 쾌적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축제 준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불편하시더라도 방문객들께서 임시주차장과 셔틀버스를 적극 이용해 달라”고 말했다.

이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다산고와 청소년 서포터즈 ‘B.T.S’ 발대식 및 협약

이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김화중)은 최근 다산고등학교(교장 최우성)와 지역사회 청소년과 장애인의 권익옹호를 위한 청소년 서포터즈 지원사업 ‘B.T.S’의 발대식 및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청소년 서포터즈 지원사업 B.T.S(Barrier-free Teenager Supporters)는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통해 더욱 다채롭고 체계적인 활동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2023년부터 다산고(한알봉사 동아리)와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으로 지역사회 청소년들이 장애인 권리에 대해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다산고 학생들은 발대식 이후 권익옹호 교육 및 활동·캠페인, 워크샵, 청소년 장애인 권익옹호 대회 등에 참여해 지역사회 내 장애인과 청소년의 권리 증진을 촉진하고 장애인 권익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청소년들의 정책 제안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최우성 교장은 “학생들이 올바른 장애 인식을 갖고 지역사회 청소년과 장애인의 권익을 증진시키는 데 앞장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김화중 관장은 “지역사회 유관기관들과 협력해 이천시 청소년 및 장애인 권익을 위한 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