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의 계절이다. 2022년 3월9일 20대 대통령선거에 이어 6월1일에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기다리고 있다. 대선 승자의 축제 분위기는 5월10일 대통령 취임으로 이어지고, 그 흐름은 20일 뒤에 치러지는 지방선거, 특히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광역단체장 선거 판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인천지역 3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한 인천시민정책네트워크는 여야 대통령선거 후보에게 전달할 5개분야 11개의 인천 공약을 내놨다. 수도권매립지 2025년 사용 종료, 인천공항 항공정비단지와 공항경제권 조성, 인천고등법원 설치, 2030년 영흥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등이 담겨있다. 이중 시민 삶의 질과 직결한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 인천고등법원 설치와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조성 등은 이번 대선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반드시 풀어야 한다. 물론 그 역할은 인천 정치권의 몫이다. 인천 정치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수장인 송영길 대표와 윤관석 사무총장을 비롯해, 이재명 대선 후보의 수석대변인인 박찬대 의원 등 여권 내 주요직책에 포진하고 있다. 야당인 국민의힘에서도 유정복 전 인천시장과 이학재 전 인천시당위원장 등이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의 공동선거대책위원장과 상근정무특보로 각각 합류 했으며, 안상수 전 인천시장은 홍준표 의원 대선캠프의 공동선대위장 겸 인천총괄본부장을 맡았다. 이들의 역할에 인천의 미래가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인천 정치권의 역할과 존재감은 미미했고, 당연히 정치권에 대한 인천시민의 불신은 높기만 하다.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 등 큰 선거때마다 인천 현안이 공약으로 내 걸렸지만 속시원히 풀리는 것 하나 없다. 중앙정부나 타 지자체와 이해관계가 얽힌 공약의 실현은 더더욱 어렵다. 정치력 부재다. 혹시라도 인천 정치인들이 이번에도 지역 현안을 뒤로한 채, 대선 캠프에 눈도장 찍고 눈치만 살피다 지방선거 공천권을 챙기겠다는 속셈이라면 큰 오판이다. 물론 지역 정치인이 당의 집권을 위해 기여하는 것은 당연지사이고, 집권을 통해 지역 현안도 함께 풀어 낸다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집권 기여라는 명분 뒤에 숨어 개인의 정치적 속셈만 챙긴다면 어느 하나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인천시민이 그 얄팍한 정치수법 정도는 훤히 꿰뚫어 볼 수준을 넘어선지 이미 오래니 말이다. 언제부터인지 선거란, 좋은 후보는 없으니, 덜 나쁜 후보를 뽑는 일이 됐다. 인천시민이 좋은 후보를 만들어 낼 수는 없겠지만, 덜 나쁜 후보를 가려낼 정치적 혜안은 충분하다. 인천시민은 대선과 지방선거에 임하는 지역 정치권의 행보를 똑똑히 지켜보고 있다. 정치권이 염불보다 잿밥에 눈이 멀먼 그들도, 인천도 선거의 계절에서 모두 망할 뿐이다.
사설(인천)
경기일보
2021-10-27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