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창전동 分洞 추진

이천시 최대의 도심지역인 창전동이 인구 유입에다 늘어나는 행정수요로 조만간 분동될 것으로 보인다. 이천시 관계자는 6일 “지난 96년 3월 시 승격과 더불어 급격하게 늘어나는 창전동 주민들에 대한 원할한 대민행정을 위해 기존 동을 분리하는 방안을 추진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방안이 확정될 경우, 현재 1만6천501세대 5만2천411명(이천시 전체 대비 27.7%)중 창전1동 7천123세대 2만1천713명, 창전2동 9천378세대 3만698명 등으로 각각 구분돼 대민행정이 이뤄지게 된다. 그동안 이 지역은 급속한 인구 증가에다 도시행정(창전동)과 농업행정(안흥동 등 외곽지역)이 병존하는 도·농복합형태의 동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효율적 행정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특히 공무원 1명당 주민수가 2천758명으로 늘어나는 행정수요와 주민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데다 대민 행정수행의 기본인 친절행정을 구현하는데도 인력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내왔다. 이천 도심을 관할하는 창전동(행정동)은 창전동, 안흥동, 갈산동, 증포동, 송정동 등 5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돼 의료시설은 물론 금융기관과 학교 등 주요 시설 및 기관 등이 집중돼 있다. 또 외곽지역인 안흥동을 비롯 갈산동, 증포등, 송정동 등은 대단위 아파트와 이마트 등 대규모 쇼핑센터와 더불어 일부 농경지로 구성된 인구과밀지역 및 농촌지역 등이 혼합된 도·농복합형태를 보이며 개발 등 발전잠재력이 풍부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분동안이 확정될 경우, 창전동은 명실상부 이천의 중심지역으로 주민들의 복리증진은 물론 행정발전을 앞당길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gib.co.kr

수도권패트롤/안양 코아상가 분양상인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안양코아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들이 3년여에 걸친 공사 중단과 토지 소유권 이전 등으로 모두 350억원대의 재산피해를 입게 됐다며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이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들에 따르면 하운산업과 현대건설 등은 지난 96년 안양역 건너편에 대지면적 2천741㎡ 연면적 3만8천400㎡ 지하 8층 지상 12층 규모의 상가를 신축하기로 하고 분양에 들어갔다.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들은 모두 350명으로 이들은 5천만∼2억원씩 모두 350억원을 계약금과 중도금 등으로 납입했다. 그러나 IMF한파를 계기로 시행사인 하운산업이 자금난을 겪으면서 시공사인 현대건설에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하자 지난 97년 12월 67%의 공정이 진행된 가운데 공사가 전면 중단됐다. 더구나 지난해 2월 상가건물이 신축되던 토지마저 경매를 통해 제3자에게 넘어간데 이어 낙찰자는 지난 1월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들과 현대건설을 상대로 건물철거 및 대지 인도 소송을 제기했다. 토지를 매입하고 상가를 분양했던 시행사가 토지의 소유권 이전문제를 제대로 매듭짓지 않은 가운데 공사가 중단됐고 이후 각종 소송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들은 자칫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이미 지급한 분양금 350억원은 물론 건물 철거비용까지 물어야 할 위기에 처하게 됐다.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들은 낙찰자를 상대로 토지를 매매하도록 촉구하고 있으나 낙찰자는 소송을 통해 사태를 해결하자는 입장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피땀 흘려 번 돈으로 상가를 분양받았으나 수년째 공사가 중단된데다 건물의 토지 소유권마저 제3자에게 넘어가는 바람에 막대한 손해를 입게 됐다”고 말했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광주/용량 포화...무단방류 의혹

광주시내 대부분의 하수종말처리장 시설용량이 유입되는 하수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만큼 부족, 무단 방류 의혹이 짙은데도 시가 실태조사를 제대로 실시하지 않아 물의를 빚고 있다. 특히 일부 종말처리장의 경우, 시설용량 증설이 시급한데도 시는 오염총량제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어 팔당상수원 보호에 난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5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현재 12곳의 하수종말처리장이 설치돼 농공업용 폐수와 생활하수 등 각종 오수를 90% 이상 정화 처리해 경안천 등 팔당상수원으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오포, 삼성, 광동리, 만선리, 매산리, 광주하수처리시설 등 6곳은 각종 하수 유입량이 시설용량을 초과하고 있다. 특히 오포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시설용량은 하루 7천t인 반면 유입량은 하루 7천793t(9월 1개월 평균)으로 10% 이상 유입량이 넘치고 있으며 광주 하수처리시설도 시설용량이 2만5천t인 반면 유입량은 2만6천850t에 이르고 있어 오수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한 채 무단 방류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사정은 이런데도 시는 현장조사 한번 제대로 한적이 없는데다 환경부 등 중앙부처의 증설반대를 이유로 대책조차 수립하지 못하고 있어 상수원 보호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무단방류는 보고받은 적이 없으므로 그런 일은 없을것”이라며 “증설은 시급하지만 오염총량제가 확정되지 않아 증설 자체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광주시의 오염배출량을 현재보다 줄여 상수원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오염원이 증가할 수 있는 하수처리시설 증설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이진행·박흥찬기자 parkhc@kgib.co.kr

용인/시민단체 수지시민연대 ’광교산살리기’ 나선다

용인 수지지역 대표적 온-라인(www.sujicity.net) 시민단체인 수지시민연대가 오프-라인 연대를 선언하고 처음으로 오는 10일 오전 광교산 자락 토월약수터∼수지1지구 토월공원 2㎞구간을 행진하며 ‘광교산 살리기 및 교통문제 해결 촉구를 위한 수지시민 걷기대회’를 연다. 수지시민연대는 걷기대회에서 ‘광교산이 죽어간다, 난개발을 중단하라’, ‘출퇴근하다 병든 몸, 지하철로 치료하라’, ‘영덕∼양재 도로, 유료화가 웬말이냐’등의 문귀가 적힌 홍보용 전단을 아파트단지 게시판에 부착하며 주민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수지시민연대 관계자는 “개발이 임박한 토월약수터 보존을 위해 수지주민 1만2천여명이 서명, 민원을 냈으나 용인시는 건설허가가 나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영덕∼양재 도로 유료화를 철회하라는 주민 6천여명의 요구에도 건설교통부는 딴전을 부리고 있다”며 “옥외집회를 통해 난개발 피해 주민들의 단결력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홈페이지를 개설, 온-라인 시민단체로 출발한 수지시민연대는 지난 9월말 홈페이지 관리자 김종택씨(36·회사원) 등 6명을 운영위원으로 선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으며 회원이 1천300여명에 이른다. /용인=허찬회기자 hurch@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