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인공기 장외게양’ 금지… 시민단체 “남북 화합AG 찬물”

경기장ㆍ시상식장ㆍ선수촌 제한 대회기간 국민들 소지도 불허 北 선수ㆍ임원진 응원땐 허용 부산AG 거리 게양과 대조적 국제적 관례 외면한 처사 논란 인천 아시안게임 기간 중 인공기 게양을 두고 검찰 및 유관단체와 남북공동응원단 간 논란을 빚고 있다. 인천지검 공안부(박용기 부장검사)는 최근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국정원, 경찰 등과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아시안게임 기간 북한의 인공기 사용과 관련한 허용 범위를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대회기간 중 국민의 인공기 소지는 전면 금지했으며, 북한 선수와 임원진이 경기장 내에서 응원을 위해 인공기를 소지하거나 흔드는 행위는 허용했다. 또 인공기를 게양할 수 있는 장소는 경기장, 시상식장, 선수촌으로 제한했으며 경기장 외부 도로 등에서는 인공기를 달 수 없도록 했다. 인천지검 관계자는 우리 국민이 아시안게임 기간 인공기를 소지하거나 흔들다가 적발돼 국가보안법상 이적성이 인정되면 엄정하게 처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평화의 숨결, 아시아의 미래라는 대회 타이틀을 왜곡한 정치적 해석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 규정 58조에는 경기장 및 그 부근 등에 OCA기와 해당 올림픽위원회(NOC) 회원의 국기 게양을 명시하고 있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지난 10일 고양시에서도 인공기와 함께 게양했던 45개 참가국 국기를 철거했다며 참가국 국기 미게양은 국제적인 촌극이라고 비난했다. 앞서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및 2003년 대구 유니버시아드대회 등에서도 국제관례에 따라 경기장 부근 거리 등에 인공기를 비롯한 참가국의 국기를 게양한 바 있다. 곽경전 남북공동응원단 공동집행위원장은 북한을 찬양하는 정치적 행위가 아니라 스포츠 대회 규정에 따라 다른 국기와 함께 게양할 뿐이라며 평화와 화합을 내세운 대회 취지를 무색케 하는 정치적인 결정을 내려 아쉽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아파트 이권 개입 조폭 무더기 검거

인천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인천서울경기 등 수도권 일대 아파트 단지에 대한 관리비리 수사를 벌여 서울지역 모 폭력조직 두목 A씨(42) 등 9명을 구속하고, 폭력조직원과 아파트 입주자 대표, 브로커, 건설사 현장소장, 어린이집 원장 등 116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5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 폭력조직원들은 지난 2012년부터 최근까지 폭력을 쓰거나 금품 로비를 벌여 29개 아파트 단지 위탁관리 계약을 맺게 해주고 위탁관리업체로부터 경비청소 이권을 일부 건네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폭력조직원들은 이권을 건네받고서 하도급을 주는 방법 등으로 위탁관리업체와 함께 120억 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또 아파트 단지 내 시설운영 낙찰 과정에 개입해 입찰 채점표를 조작하도록 심사위원에게 청탁하고, 낙찰받은 피트니스센터어린이집 19곳의 운영자 등으로부터 5억 원가량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은 폭력조직과 위탁관리업체의 부당이익에 대해 국세청에 통보하고, 폭력조직이 차린 법인과 어린이집에 대해 각각 강제 폐업조치와 운영허가 취소를 요청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다른 아파트 단지에도 비슷한 유형의 피해가 더 있거나, 관리비 과다 청구 등 서민 피해 부분도 계속 수사 중이다고 밝혔다. 이민우기자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인천AG 북한 선수단 체류중에 열려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한 가운데 국방부가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를 개최했다. 국방부는 15일 인천 중구 북성동 월미도 앞바다 일대에서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유정복 인천시장 등 내빈과 참전용사 등 2천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4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맥아더 장군 동상 헌화 및 해상 헌화 등에 이어 인천상륙작전이 재연됐다. 상륙작전에는 우리 측 이지스 구축함과 미국 소해함 등 함정 10여 척과 항공기 20여 대, 상륙장갑차 20여 대 등이 동원돼 대잠전, 지상 상륙작전, 해안 공격 시범 훈련 등을 선보였다. 한편, 행사를 주관한 인천시는 지난달 평화와 화합을 추구하는 AG을 앞두고 선수단을 파견한 북측을 자극할 수 있는 상륙작전 재연행사를 생략해 달라고 국방부에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앞서 북한 측도 용납 못할 도전이고 우리에 대한 또 하나의 참을 수 없는 도발이라며 행사 개최를 비난했다. 이와 관련,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는 매년 연례적으로 해온 행사다. 따라서 인천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신동민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