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리딩방’ 따라 했다가…돈 잃고 범죄자 될 수도

최근 주식 거래가 늘면서 근거 없는 실적과 정보로 투자자를 유인하는 주식리딩방이 활개치고 있다. 리딩방은 비상식적인 수익률을 내세우며 회원에 가입을 종용하고 가입비 명목으로 돈을 받은 후 운영자가 잠적하기도 해 주의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주식리딩방에 대한 소비자경고(주의)를 22일 발령했다. 리딩방은 카카오톡, 텔레그램 등의 단체 대화방을 통해 리더(leader)나 애널리스트 등으로 불리는 자칭 주식투자 전문가들이 실시간으로 특정 종목의 주식을 매매하도록 추천한다. 이들은 최소 OO% 수익률 보장, 종목적중률 OO% 등 객관적인 근거 없이 허위과장된 내용을 광고해 소비자를 유혹한다. A투자자는 유료인터넷 게시판에서 주식 리딩방에 가입하면 최소 50~200%의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광고를 보고 회원으로 가입했다. 하지만 방장은 말을 바꿔 추가 금액을 내고 VIP관리방에 가입해야 수익을 볼 수 있다며 VIP관리방 가입을 유도했고 이후 방장은 잠적했다. 고급 투자정보를 미끼로 유료회원 계약 체결을 유도하고 이용료 환급을 거부지연하거나 위약금을 과다 청구하기도 했다. B투자자는 리딩방에 1년 계약 체결후 3개월만에 중도해지를 요구했다. 운영자는 1년 중 1개월만 유료기간이고 나머지 11개월은 무료기간이기 때문에 환급할 금액이 없다며 환급을 거부했다. 이들은 주가조작까지 관여했다. 한 운영자는 추천 예정인 종목을 먼저 사들인 후 회원들에게 매수를 권유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가를 올려 이득을 얻었다. 이는 자본시장법을 어긴 범죄로 1년 이상 처벌 대상이 된다. 투자자가 리딩방 운영자의 매매지시를 단순히 따라 했다가, 주가조작 범죄에 엮여 검찰 수사나 형사재판을 받을 수도 있다. 자칭 주식전문가가 일대일 투자상담 등으로 개별적으로 특정종목 주식의 매매를 추천하는 행위는 무등록 투자자문 행위다. 자본시장법상 미등록 영업행위의 금지를 위반하는 것이다. 투자자에게 개별 투자자문을 제공하는 행위는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투자자문업자(금융회사)에게만 허용된다. 리딩방 운영자는 전문적인 투자상담 자격을 검증받지 않아 투자손실이 발생할 위험이 크고, 손실발생 시 손해배상 청구도 어렵다. 주식 리딩방의 불법행위와 피해 신고 등은 금감원, 수사기관에 하면 된다. 계약해지 피해구제 신청은 한국소비자원에서 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식 리딩방 운영자는 인가받은 금융사가 아니어서 전문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각종 불법행위에 노출돼 있다라면서 그러나,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허위과장광고에 현혹된 투자자들이 유료회원으로 가입한 후 투자 손실이나 환불 거부 등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밝혔다. 민현배기자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은행·건설주 약세…“영향 제한적”

617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은행주와 건설주가 소폭 약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관련 기업의 실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18일 한국거래소 시장 동향을 보면 KRX은행주는 대책 발표가 있던 17일에 전일보다 10.32p(1.86%) 544.45로 마감했다. 18일엔 1.28p(0.24%) 하락한 543.17로 마쳤다. KB금융, BNK금융지주는 올랐지만 기업은행,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는 일제히 내렸다. 이 같은 약세는 작년 1216부동산대책 발표 이후에도 나타난 바 있다. 지난해 12월 16일 KRX은행지수는 15.32p(2.02%) 하락한 742.51로 장을 마감했다. 이후 은행주는 잠시 회복세를 보이다 올초 680대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이번 규제안은 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구경회 SK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안은 은행주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고 대출 증가율이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다만, 은행 실적에 미치는 악영향은 매우 미미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어 구 연구원은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은행주는 저금리 부담 때문에 시장수익률을 밑돌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도세 때문에 은행주는 약세 지속 중이다라면서 금융주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개선되기 전에는 은행주가 시장을 이기기는 어려워 보인다라고 말했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가계 주택담보대출은 그동안 계속된 규제 때문에 이미 성장률 자체가 큰 폭 둔화해 이번 정책의 영향은 미미할 것이다라면서 하지만 기업대출 증가로 말미암아 이미 높은 대출성장률을 기록 중이기 때문에 총대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부동산과 밀접한 건설주도 하락했다. 18일 KRX건설주는 전일보다 0.39p(-0.09%) 내린 456.98로 장을 마쳤다. 발표당일인 17일에는 0.77p(0.17%) 457.37로 마감했다. 건설주는 6거래일 연속 약세를 보였고 대책 발표 전날인 16일 반짝 상승하다 다시 약세로 돌아섰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대책이 건설주 투자심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는 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 규제 스탠스에 따른 우려는 건설업종 멀티플 상방을 제한하는 요소이지만 이번 규제 내용이 상당한 부분 언론보도를 통해 예상돼 대책이 건설업종 투자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라고 판단했다. 이어 주택 규제 정책 발표 후 반복적으로 나타났던 주택 매매거래량 증가가 3분기에 다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라면서 향후 경기인천, 지방 분양 비중이 높고 강점이 있는 건설사의 분양물량이 그렇지 않은 건설사 대비 차별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케이프증권 리서치센터는 이번 대책의 기대 효과는 규제 지역이 확대되고, 법인사업자 투기 수요 억제되면서 과열 진정될 전망이다라면서 다만, 장기적으로 주택 가격은 소득에 연동하므로 상승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민현배기자

갭투자·주린이…쏠리는 청년 투자에 우려 목소리

2030 청년층의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투자 쏠림현상에 정부가 우려를 드러냈다. 특히 주식시장에서 저성장과 풍부한 유동성 상황에서 빠른 투자 판단을 하는 젊은 층이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17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주택시장 안정 관리방안을 발표하면서 방안의 목적이 갭투자 차단과 실수요자 보호에 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이 언급한 갭투자는 올해 들어 4월까지 전년 동기보다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9천368명에서 2만1천96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2030대의 비중이 35%로 커졌다. 김 장관이 젊은 층을 직접 콕 집어 말하지 않았지만 갭투자 비중에서 청년층이 확대되는 만큼 이들의 갭투자에 대한 우려로 풀이된다. 앞선, 기획재정부 차관도 젊은 층의 투자과열 현상을 언급했다. 김용범 기재부 차관은 지난 16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금융회의에서 저금리, 풍부한 유동성, 비대면 온라인 거래의 활성화하면서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 대거 참여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차관은 온라인을 통한 정보 검색과 주식 거래에 능숙하고 투자 결정이 빨라 단기 투자를 선호하는 성향을 가졌다라고 젊은 신규 개인투자자의 특성을 설명했다. 김 차관은 이들의 등장은 증시 저변을 넓히고 시장에 유동성과 활력을 더해 주지만 앞으로 증시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 역시 개인투자자에 대한 우회적인 경고로 해석된다. 이 같은 투자과열은 미국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로빈후드 앱으로 거래한다고 해서 로빈후드라고 불리는 젊은 개인투자자들은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과 행동주의 투자자 칼 아이칸이 던진 주식을 사들여 화제가 됐다. 하지만 이들은 스포츠 도박하듯 주식 투자를 한다(뉴욕타임스)는 비판을 듣고 있다. 투자 열풍을 이용한 일명 주식리딩(leading)도 극성을 부리고 있다. 카카오톡 등을 통해 불법 투자자문을 하고 수수료를 받는데 오픈채팅방만 500여개에 이른다. 문제는 운영자들 상당수가 유사투자자문업자라는 점이다. 이들은 금융당국에 신고만 하면 업체들로 제도권 업체들이 아니다. 일대일 자문이나 투자금을 직접 받는 것은 모두 불법에 해당한다. 조만간 금융당국이 집중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젊은층이 자기주도적 투자판단에 꼭 필요한 투자경험과 관련정보로 무장해 스스로 투자방향을 정할 수 있는 투자자로 성장하길 기대한다라고 당부했다. 민현배기자

늘어나는 ‘빚투’…주식 사러 12조원 빌려

얼마 전 11조원을 넘었던 주식시장의 신용공여잔고가 약 9일만에 12조원을 넘었다. 16일 금융투자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5일 신용공여잔고는 12조597억원으로 최근 6개월 동안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공여잔고는 투자자가 주식을 사기 위해 증권사에 신용으로 빌린 자금이다. 지난달 18일 10조원을 넘었던 잔고는 약 11거래일 만에 11조원을 넘었다. 지난 3일 11조원을 넘은 이후 9일 만에 1조130억원 증가했다. 약 20일 동안 1조9천815억원, 19.6%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상승세는 최근 6개월간 수치와 비교하면 가파른 모습이다. 지난 6개월간 하루 평균 약 0.23% 상승했다. 3월11일부터 25일까지 11일 동안 잔고는 줄었다. 증시 급락 상황에서 증권사가 반대매매(주식을 강제로 팔아 자금 회수)에 나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26일부터 증가세로 돌아선 신용공여는 일평균 1.17% 증가하며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지난 6개월간 일평균 약 234억원씩 늘었다. 3월11일~25일까지는 3천400억원 감소하다 3월말부터 하루 평균 1천29억원씩 증가한 것이다. 신용공여잔고가 늘어난 시기는 증시가 회복되던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3월 중순 1,400대까지 떨어졌던 코스피지수는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10일 2,220대 직전까지 갔지만 이후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하락 시기에도 신용공여잔고는 줄지 않고 계속 늘어났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증시가 확대되면 신용공여잔고가 함께 커지는 특성이 있다라면서 하락일의 잔고 증가는 향후 증시에 기대감을 드러낸 것이라고 보인다라고 말했다. 황 위원은 전체 시가총액과 비교하면 신용공여잔고는 아직까지 우려스러운 상황은 아니지만 신용을 통한 투자는 위험성이 높은 투자 방식이다라면서 시장에 언제라도 조정이 와도 이상하지 않기에 투자자들께서 보수적인 투자 관점에서 신용거래를 바라보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민현배기자

증권사, 수수료수익 커졌는데…순익 반 토막이라니

증권사들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식펀드파생관련 수익이 줄면서 순익이 반토막 났다. 금리하락으로 채권평가이익이 늘고 주식거래가 증가하면서 수수료수익이 증가했는데도 순익이 절반으로 하락한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1분기 증권사(56사) 당기순이익은 전분기보다 5천303억원 감소(△50.1%)한 5천274억원이라고 16일 밝혔다. 순익 감소는 자기매매손익과 기타자산손익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자기매매손익은 852억원 감소(7.3%)한 1조788억원이다. 주식관련이익은 1천85억원으로 1천362억원 감소(55.7%)했고, 파생관련손익은 △6천714억원으로 1조1천100억원 축소(△253.1%)했다. 이와 달리 채권관련손익은 1조6천417억원으로 1조1천611억원 증가했다. 금리 하락으로 채권평가이익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주식, 파생에서 손해가 났지만 채권이 선방해 전체 손익이 덜 감소한 것이다. 기타자산손익 역시 줄었다. 1분기 △8천82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7천662억원 감소(△199.9%)했다. 외환(+256.5%), 대출관련이익(+6.7%)은 증가했지만, 펀드관련이익이 급격히 감소(△457.5%)한 영향이 컸다.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많아지면서 수수료수익은 늘었다. 1분기 수수료수익은 2조9천753억원으로 4천229억원 증가(+16.6%)했다. 거래대금 증가로 수탁수수료가 1조3천798억원으로 5천233억원 증가(+61.1%)하자 수수료수익이 증가한 것이다. 이와 달리 IB부문 수수료는 9천4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천107억원 감소(△10.9%)했다. 전체 증권사의 자산총액은 578조2천억원이며 95조3천억원 증가(+19.7%)했다. 부채총액은 516조6천억원으로 증가했고, 자본총액은 61조6천억원으로 감소했다. 투자자 예수금을 포함한 예수부채와 초대형IB 발행어음이 늘면서 부채가 증가한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라면서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비해 PF대출, 채무보증 등 부동산 그림자 금융을 상시로 관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민현배기자

K-OTC, 스포라이브 신규지정…18일부터 거래

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는 스포라이브가 K-OTC시장에 지정동의서를 제출하면서 16일자로 신규 지정하고, 오는 18일부터 거래가 시작된다고 밝혔다. 동의지정제도는 모집매출실적요건을 제외한 모든 지정기업 요건을 충족한 기업이 K-OTC시장 지정동의서를 제출하면 거래가능기업으로 지정하는 제도다. 스포라이브는 스포츠 데이터 및 승부 예측 게임 제공을 통해 승무패 적중게임과 확률형 캐주얼 게임을 개발운영하는 스포츠시뮬레이션게임 개발 기업이다. 주력게임인 스포라이브의 성장, 차기 라인업 판타지게임의 시장 진입 및 스포츠 적중 게임매출의 성장을 기반으로 지난해 약 14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스포라이브 관계자는 제도화된 시장을 통해 주주에게 투명하고 원활한 거래의 인프라를 마련하겠다라면서 기업 인지도를 높여 시장에서 적정가치 평가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스포라이브는 오는 18일부터 증권사 HTS 등을 통해 거래할 수 있다. 첫 거래일에는 주당 순자산가치의 30%500% 범위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이후 가격제한폭은 전일 가중평균주가의 30%이다. 스포라이브의 신규 지정으로 올해 7사가 K-OTC시장에 진입했으며, 총 기업 수는 134사로 증가했다. 민현배기자

금융당국, 개인정보 도난 사건 수사 공조하기로

금융당국이 최근 보도된 개인정보 도난 사건의 경찰수사에 인력을 파견할 의향을 내비쳤다. 또, 알려진 것보다 도난 규모가 작으며 포스 단말기가 IC방식으로 교체돼 정보유출은 계속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15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경찰청은 가맹점 포스 단말기 해킹을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된 보도에 대해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수사 공조 회의를 열고 의견 조율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사건이 지난해 보도된 카드번호 도난사건의 연장선에 있는 건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지난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사건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혐의자로부터 외장하드를 추가 압수하고, 현재 압수물 분석과 유출 경위 등을 수사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경찰청의 압수물 분석에 금감원 인력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아직 카드정보 도난 경위와 도난 건수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서 보도한 개인정보 유출규모(1.5TB)는 압수된 외장하드의 전체 용량을 말하는 것이다라면서 실제 외장하드에 저장된 개인정보 등의 용량은 그보다 훨씬 작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관계자는 포스 단말기의 방식이 마그네틱에서 정보보안 기능이 강화된 IC방식으로 교체가 끝나 현재 정보유출이 계속 발생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카드정보 유출 등에 따른 부정사용이 확인되면 법령에 따라 금융사가 전액 보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금융사와 협력해 부정방지사용시스템(FDS) 가동을 강화하는 등 긴급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민현배기자

“신용카드 현금화, 휴대폰 소액결제” 불법광고 조심해야

불법금융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대출자도 처벌될 수 있는 작업대출 광고 적발건수는 감소했지만, 소액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휴대폰 소액결제와 신용카드 현금화는 크게 늘어 소비자 주의가 더 필요해지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인터넷상 불법금융광고 적발현황과 함께 소비자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지난해 금감원이 총 5만5천274건의 신고제보 접수건 중 적발한 인터넷상 불법금융광고는 1만6천356건이다. 이는 전년 1만1천900건 대비 4천456건(37.4%) 증가한 수치다. 세부적으로는 신용카드 현금화(654.1%), 휴대폰 소액결제 현금화(463.6%), 미등록 대부(75.6%) 적발건수가 전년 대비 매우 증가했다. 통장매매(△65.5%), 작업대출(△26.4%) 적발건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적발된 인터넷상 불법금융광고에 대해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조치를 의뢰해, 사이트를 폐쇄하거나 게시글을 삭제한다. 불법금융광고는 정부공공기관으로 가장하거나 제도권 금융사로 속이는 경우가 빈번하다. 광고에 기재된 업체의 상호, 등록번호, 인터넷 주소 등이 해당 금융사와 같은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SNS 광고로 현혹하는 신용카드 현금화, 휴대폰 소액결제, 대리입금은 실질적으로 소액 고금리 대출이다. 미등록 대부업체를 이용해 피해가 발생하면 구제받기 어려워 대부업체 거래 전에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금감원은 인터넷, SNS 등에서 불법 금융광고를 발견하면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1332)에 연락하거나 금감원 홈페이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민현배기자

사회책임투자채권, 정보 수집 한곳에서 가능해져

착한 채권으로 불리는 사회책임투자채권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오픈했다. 한국거래소(이사장 정지원)는 사회책임투자(SRI)채권의 정보를 한데 모은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http://sribond.krx.co.kr)를 15일 오픈했다고 밝혔다. 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채권은 발행자금이 친환경 또는 사회적 이득을 창출하는 사업에 사용되는 채권으로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을 말한다. ESG채권, Thematic채권, 사회공헌채권이라는 용어로도 불린다. 그동안 발행기관별로 SRI채권 정보를 공시해 투자자 입장에서 정보를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렵고, 종목정보나 통계를 제공하는 공신력 있는 기관도 없는 상황이었다. SRI채권에 대한 공신력과 투명성이 확보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거래소가 공적 종합 정보포털인 SRI채권 전용 세그먼트를 개설한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를 위해 영문(http://sribond.krx.co.kr/en) 포털도 함께 오픈했다. 한국거래소는 이번 SRI채권 전용 세그먼트 오픈을 통해 국내 SRI채권시장의 활성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했다. 발행자는 전용 세그먼트 등록으로 적격 SRI채권임을 공식 인정받아 국내 채권시장을 통한 안정적인 자금 조달을 수행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SRI채권에 대한 표준화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정보탐색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지난 2일 기준 SRI채권은 총 356종목(55조6천억원)이 상장됐고, 산업은행수출입은행주택금융공사현대캐피탈SK에너지 등 18개 기관이 발행했다. 이날 한국거래소는 SRI채권 발행기관이 원활하게 외부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 및 한국신용평가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SRI채권 발행기관은 국제 민간기구[(국제자본시장협회(ICMA), 국제기후채권기구(CBI) 등]에서 정하는 원칙에 들어맞는지를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평가를 받아야 한다. 한국거래소는 SRI채권 발행기관이 자금조달 비용을 아끼도록 앞으로 3년간 신규상장수수료와 연부과금 면제할 예정이다. 민현배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