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학광산동굴, 깊어가는 가을 다채로운 문화예술행사 러쉬

광명시 지난 9일 가학광산동굴 광장에서 광부석상 제막식 및 광산광부들을 위한 위령제를 열었다. 이어 동굴내부 갱도 전시관에서는 가학광산동굴의 역사와 가치가 담긴 전시회, 동굴문명전 2탄 신비한 동굴 탐험 여행, 황금가면 파라오를 만나다를 동굴예술의전당에서는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등을 개최했다. 가을비가 내리는 가운데 개최된 위령제는 1912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가학광산동굴 100년의 역사와 가치를 알리고 과거 산업화 역군으로 우리나라 경제개발의 주인공이었던 광부들의 땀과 애환이 서린 뜻을 기리고자 개최, 광산시절 근무했던 생존 광부 5명이 참석, 눈길을 끌었다. 40여년 만에 가학광산동굴을 찾았다는 이홍재(78ㆍ당시 착암기 기사로 재직)옹은 광산이 문을 닫은 후 폐허가 되어 있을 줄 알았는데, 이렇게 멋진 곳으로 바뀌어서 놀랐다. 앞으로도 이곳 가학광산동굴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30대에 광부로 일했다는 박영희(81)옹은 가학광산동굴이 계속해서 무한한 발전을 기원한다고 소감을 나타냈다. 한편 동굴내부 갱도 전시관에서는 가학광산동굴에서 나온 수정, 석영, 황동석, 방연석 등 각종 암석 20여점과 광부들이 써놓은 돈이 최고냐, 고향무정등의 각종 글씨 및 지하암반수, 호수 사진 50여점, 광산에서 사용하던 간드레, 여과기, 정 등 25점의 물품 등 동굴의 역사와 가치가 담긴 전시회와 지난 6월 29일 동굴문명전 황금을 찾아서에 이은 동굴문명전 2탄 신비한 동굴 탐험 여행, 황금가면 파라오를 만나다를 개최했다. 이는 이집트 투탕카멘왕의 무덤에서 발굴된 유물과 고왕조 시대의 황금의자, 보석상자인 체스트박스 등을 전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인천에서 온 최대원(15)군은 교과서에서 보던 광물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더 많은 광물을 전시했으면 좋겠어요라며 즐거워 했다. 남양주시에서 왔다는 김선동(67)씨는 광부들이 갱도에 써 놓은 글을 보니 옛날 생각이 많이 난다. 나도 예전엔 정말 못 먹고, 못 살았다. 하지만 광부로 살아갈 생각은 하지도 못했는데, 이 분들은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다라며 옛 생각에 잠기기도 했다. 이와 함께 동굴예술의전당에서는 뽀로로 극장판슈퍼썰매대모험을 70분간 상영, 큰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광명=김병화 기자bhkim@kyeonggi.com

감동의 무대 선사한 ‘희망의 하모니’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조성갑) 소속 다소니예술단(단장 박종덕)은 지난 4일 가평군 남이섬 내 유니세프 에코스테이지(Unicef Eco Stage)에서 경기도교육청과 함께하는 장애인식개선 음악회를 가졌다. 이날 음악회는 경기도교육청이 주최하고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 주관으로 열렸다. 100분간 진행된 음악회는 광문고등학교 얼라이브밴드의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다소니 쳄버 오케스트라단의 연주와 다소니 뮤지컬단의 뮤지컬 요셉의 꿈, 다소니 합창단의 합창과 함께 다양한 장르에서 예술적 능력을 마음껏 펼쳤다. 특히 2013 평창스페셜 뮤직페스티벌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주미강과의 협연으로 많은 사람에게 박수를 받은 박가은 단원의 플루트 독주와 음악 전공생으로 구성된 앙상블 연주 및 클라리넷 독주도 이어져 공연장을 가득 메운 관객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박종덕 다소니예술단장은 음악회가 있기까지 수많은 공연, 부모님들의 사랑과 많은 분의 관심으로 이 자리에 서게 됐다며 여러분의 가슴속에 아름다운 예술의 감동이 넘쳐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다소니예술단은 장애인의 문화예술적 욕구를 개발하고 사회참여 통로를 마련한 공을 인정받아 오는 8일 열리는 제8회 대한민국장애인문화예술상 시상식에서 특별상을 수상할 예정이다. 광명=김병화 기자 bhkim@kyeonggi.com

“기부활동 통해… 장애 학생들과 함께 꿈 키워요”

고인이 되신 전임 회장님의 유지를 받들어 장애인 장학사업에 모든 것을 다 바치겠습니다. 서정옥 ㈔한국장애인장학회 광명시지회장은 지난 3일 고인이 된 김병삼 전 회장의 사업장인 일직동 용천원두막에서 장애인장학기금마련을 위한 일일찻집을 열었다. 장애인 장학사업에 뜻을 함께한 지역 유지와 후원자 500여 명이 동참했다. 장애인 장학회는 광명지역에서 평소 나누는 일을 아끼지 않았으나 안타깝게도 지난해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난 고(故) 김 전 회장이 창립, 지역의 장애인 가족들의 장학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서 회장은 전임 회장이 일궈놓은 유지를 이어받아 지역 곳곳에서 농수산물 등을 판매해 얻어진 수익금을 모아 지난해부터 4가정에 50만 원씩 모두 3회에 걸쳐 광명희망나기운동본부를 통해 김병삼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서 회장은 일회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기부활동을 통해 장애 학생들이 꿈을 키우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장애가족들에게 현실적인 지원과 함께 자녀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지속적인 후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어릴 적 배우지 못한 한을 장애인 장학사업에 인생을 걸겠다는 서 회장은 하루도 쉴 날이 없다. 지역의 후원자와 후원할 곳을 찾아 이리저리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기 때문. 그녀는 적은 돈이라도 기부를 많이 하고 열심히 봉사활동에 나서는 분들이 진정한 애국자입니다. 이런 분들이 존경과 대접을 받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한다. 나눔 전도사로 널리 알려진 그는 변변한 옷가지와 차와 집도 없다. 하지만, 여유가 있어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가진 것이 없어도 나보다 못한 이웃을 위해 내가 가진 모든 것을 지역을 위해 쓰겠다는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광명=김병화 기자 bhkim@kyeonggi.com

광명시 밤일마을 음식문화거리 상가번영회 경로잔치 열어

광명시 밤일마을 음식문화거리상가번영회(이세군)는 경기도 음식문화개선 특화거리 지정 기념으로 지난 29일 하안1동 마을 어르신 300여 명을 모시고 밤일마을 공영주차장 부지에서 경로잔치를 열었다. 행사는 밤일마을 음식문화거리 상가번영회 회원 40여 명이 십시일반 회비를 모아 지역에 봉사하고 회원 간 단합을 위해 마련됐다. 각설이타령 공연이 이어지면서 어르신들의 웃음을 자아냈고, 정성껏 마련한 점심을 대접했다. 이어 상가번영회 회원들의 노래자랑은 어르신께 또 하나의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날 회원들은 하안1동 단독필지와 하안5단지, 현대, 두산, 이편한세상아파트 노인정 어르신들을 위해 관광버스를 임대, 행사장까지 모시고 귀가시켜 드려 어르신들이 편안하게 경로잔치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세군 상가번영회장은 해마다 즐거운 경로잔치를 열어 지역봉사를 하고 회원 단합을 할 예정이며,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음식문화거리를 조성하여 지역 경제와 문화적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밤일마을 음식문화거리는 지난 3월 26일 광명시 최초로 경기도 음식문화개선 특화거리로 지정됐다. 광명=김병화 기자 bh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