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동해안에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 발사

최근 동해안에 4발의 미사일을 쏴 긴장감을 조성한 북한이 3일 오전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재차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고위 소식통은 3일 북한이 오늘 오전 6시19분부터 10여분간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과 원산 일대에서 동북 방향 공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며 이 미사일은 500㎞ 이상 날아간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군과 정보당국은 미사일의 비행거리로 볼 때 스커드-C로 추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달 27일에도 같은 장소에서 스커드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해 고도 6070㎞까지 치솟아 220㎞를 날아갔다. 군은 북한의 연이은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를 놓고 한미 연합 키리졸브 연습에 대응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추정하는 한편 추가 도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미사일 발사 각도를 깃대령에서 원산 앞바다 쪽으로 조정한 것으로 미뤄 일단 저강도 도발로 보인다면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계기로 모처럼 긴장완화 국면으로 들어갈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남북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사거리 300㎞ 이상의 스커드-B와 500㎞ 이상의 스커드-C 미사일 700여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700㎞ 이상의 스커드-D 개량형인 스커드-ER을 실전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훈기자pshoon@kyeonggi.com

'올림픽 끝나기 기다렸나' … 푸틴, '군사력 사용 요청', 러 상원 '승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내 군사력 사용 신청을 러시아 상원이 만장일치로 받아들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운이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내몰리고 있는 셈. 여기에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직접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내 무력 사용 중단을 강력하게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칫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으로까지 비화될 모양세다. 지난 1일(현지시각)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요청한 우크라이나 내 군사력 사용 신청을 1일(현지시각) 러시아 상원이 만장일치로 통과 시켰다. 상원은 이날 비상회의를 개최해 푸틴 대통령이 제출한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력 사용 요청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고 이타르타스 통신이 전했다. 상원의 승인을 확보한 만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곧바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공격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됐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조성된 비상상황과 러시아 주민 및 교포, 크림 자치공화국에 주둔 중인 러시아 군인들의 생명에 대한 위협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군사력 사용 승인 요청은 러시아가 이미 크림반도로 대규모 병력을 이동시켰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이뤄졌다. AFP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은 이날 러시아가 6천 명의 병력을 우크라이나 동남부 크림 자치공화국으로 이동시켰다고 밝혔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美, 北미사일 의도 주시…일단 ‘무력시위’로 인식

미국은 북한이 27일 오후 단거리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한 의도에 촉각을 세우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과 같이 대남 유화기조를 이어가던 북한이 느닷없이 도발로 해석될 수 있는 미사일 발사에 나선 배경을 주목하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27일(현지시간) 오전 현재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나 북한의 동향에 예민하게 촉수를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젠 사키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매일, 매시간 단위로 북한 동향을 감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 외교가는 일단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도발성이라기 보다는 경고성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한다.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연합훈련을 겨냥한 무력시위로 본다는 얘기다.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으로서는 남쪽에서 한미 양국이 대규모 군사훈련을 전개하는 상황에서 그냥 수수방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한 것 아닌가 싶다며 최근 북한 경비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내려온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식통들은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이 끝나는 4월까지 북한이 군사적 긴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 정부도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해 강경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과거에도 장거리 미사일과 달리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는 대체로 의도적 무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는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이산가족 상봉 이후의 남북관계 개선 흐름에 부정적 여파를 줄 수 있다는 우려까지 반영될 것이라는 평가다. 외교소식통들은 그러면서도 이번 미사일 발사가 추가도발의 전조가 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한 소식통은 북한 김정은 정권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가 없다며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朴대통령, 북한 미사일 발사 즉각 보고 받아

북한 미사일 발사로 청와대 역시 긴박하게 돌아갔다.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오후 발사 소식을 즉각 보고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대통령에게 즉각 보고했으며, 북한군의 동향을 점검하고 우리의 대응태세를 점검했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이날 방한해 박 대통령을 예방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 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왕세제를 위한 공식 만찬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취소 하고 곧바로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김 실장은 위기관리센터에서 김규현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 정보융합비서관 등 위기조치 요원들과 함께 상황 보고를 받고 사태를 평가했으며, 감시 태세를 중심으로 점검 작업을 펼쳤다고 민 대변인은 전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오후 5시42분부터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 일대에서 북동방향 해상으로 스커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4발을 발사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국방부는 미사일 발사 배경에 지난 24일 부터 진행된 한미군사훈련인 키 리졸브 훈련에 따른 북한의 무력 대응으로 분석하고 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북한 경비정 NLL 침범, 그들의 의도는 무엇인가?

남북 이산가족 상봉 마지막 날을 앞두고 북한 경비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3차례 침범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교롭게도 이번 침범이 이산가족 상봉과 한미연합훈련(키리졸브연습독수리훈련) 일정과 겹쳐 그 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5일 정례브리핑에서 어제(24일) 밤 10시56분부터 연평도 서방 23.4㎞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 1척(450t급)이 NLL을 3차례, 최대 4㎞가량 침범했다며 우리 군의 즉각적이고 강력한 경고통신 등의 대응 조치로 경비정이 오늘 새벽 2시25분경 NLL을 넘어 북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침범은 지난해 8월 16일 이후 6개월여 만으로, 군 당국은 북측이 지난달 16일 서해 5도 등 최전방 지역에서 군사적대적 행위를 중지하자는 중대제안을 스스로 어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침범 시기가 이산가족 상봉 마지막 날이자 한미연합훈련이 시작된 날에 맞춰진 만큼, 북측이 군사적 긴장을 조성하려 의도적으로 침범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합의 전 한미연합훈련을 강력히 비난했고, 이산가족 상봉 일정을 논의하는 회담에서도 상봉 이후로 훈련을 늦춰 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또 이날 우리 군의 강력한 조치를 경고하는 통신을 듣고도 지그재그식으로 2시간에 걸쳐 서서히 퇴각한 모습도 의도성이 짙다는 분석이다. 통상 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은 남측의 경고통신을 받으면 직선 방식으로 빠르게 퇴각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김 대변인은 북한 경비정의 행태를 작전적으로, 정보적으로 분석한 결과 의도적인 침범인 것으로 평가했다며 훈련이나 검열을 빙자한 NLL 무력화 책동으로 우리 군의 대응을 시험할 목적이 아닌가 분석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 군은 절차에 따라 NLL 침범에 대응하고 있다. 당시 강력한 경고는 물론, 북측보다 우세한 군사적 수단도 현장에 배치돼 있었다며 차후 유사한 도발 상황이 발생하면 절차에 따라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침범 당시 일대에 조업 중인 어선은 없었으며, 해무가 짙어 레이더 외에는 북한 경비정을 포착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