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 ‘123프로젝트’ 추진 2014년 목표 첨단자족도시 건설

의왕시가 첨단자족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123프로젝트를 추진해 눈길을 끌고 있다.11일 시에 따르면 미래 첨단지식산업 및 나노기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업체 1천개 유치, 일자리 2만개 확보, 세수증대 300억원을 목표로 하는 123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이를 위해 시는 포일동 포일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내 도시지원시설용지 8만3천684㎡에 민자 7천380억원을 들여 벤처소프트웨어 진흥디자인 등 430개 업체가 입주할 수 있는 10층 규모의 포일인텔리전트타운을 오는 2014년까지 조성해 1만5천개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특히 오전동 265 일대 전 삼아제약 부지 1만9천926㎡에 연구개발 및 첨단산업단지를 조성, 100여개 기업체와 1천여명의 일자리를 확보키로 했다.또 해태제과 부지인 오전동 150의 24 등 5필지 1만3천365㎡에 지하 2층, 지상 20층, 건축 연면적 8만5천751㎡ 규모의 첨단지식산업센터를 유치해 170개 기업체와 2천40명의 일자리를 조성할 계획이다.시는 내년 이전계획인 한국농어촌공사와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공공기관 이전부지에 첨단산업단지와 연구시설을 유치해 기업체와 일자리를 확보키로 했다.포일동 487 일대 9만7천926㎡의 한국농어촌공사 부지에는 100여개 기업체와 1천여명의 일자리를 확보하는 연구개발 및 첨단산업단지를, 내손동 665의 1 일대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지 8천264㎡에는 10여개 기업체와 200여명의 일자리를 만들 연구시설을 각각 유치하기로 했다.이와함께 의왕ICD(컨테이너기지) 주변인 이동 263의 2 일대 18만6천㎡에 1천713억원을 들여 오는 2014년까지 첨단산업 500여개 업체와 4천860개의 일자리를 확보할 계획이다.시 관계자는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부흥을 위해 추진중인 123프로젝트가 완성되면 미래 첨단지식산업과 나노기술산업이 육성돼 첨단자족도시가 건설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ekgib.com

개통 직전 용인경전철 ‘스톱’

용인경전철㈜가 용인시에 경전철(에버라인) 건설 사업해지를 통보키로 해 경전철이 개통직전에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용인경전철㈜는 10일 주무관청인 용인시가 준공확인을 거부해 실시협약상 의무불이행 조항을 근거로 11일까지 시에 사업해지를 내용증명으로 통보하겠다고 밝혔다.용인경전철㈜측은 적법하게 공사를 끝내고 개통만 남겨 두고 있는데 시가 개통을 위한 준공확인을 거부해 사업시행자로서 적자운영(하루 이자 1억2천만원, 월 운영비 20억~30억원)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입장이다.이에 앞서 지난달 16일 용인경전철㈜은 기자회견을 통해 용인시가 다음 달 10일까지 준공확인을 거부하면 사업해지 절차를 밟겠다고 밝힌 뒤 다음 날인 17일 시를 상대로 경전철 준공확인 거부취소 가처분신청을 제기했다.가처분신청 사건은 한차례 심리를 거쳤으며 오는 19일 현장검증이 이뤄질 예정이다.사업해지 절차는 책임소재 규명, 지급금(책임소재에 따라 5천500억~7천500억원 추산) 산정, 시설물 인수인계 등에 합의하지 않으면 중재 절차를 거쳐야 한다.외국자본이 투입된 용인경전철 사업의 경우 국제상업회의소(ICC)와 같은 국제중재기구의 중재절차를 거쳐야 한다.실시협약상 중재기간은 3개월이지만 통상적인 국제중재는 1년 이상이 소요된다.이런 가운데 시는 지난달 30일 사업시행자 의무불이행을 들어 사업해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용인경전철㈜에 통보했다.경전철은 안전운행이 가장 중요하기에 모든 공사가 끝난 다음 준공을 내주겠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이에 따라 정부기관의 중재나 당사자 간 극적 합의가 없는 한 개통 지연 장기화는 물론 기존에 도입된 차량과 시설물이 고철이나 흉물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기흥구 구갈동에서 포곡읍 전대리 에버랜드까지 15개역 18.1㎞ 구간을 무인 운행하는 시스템으로 건설된 용인경전철은 당초 지난해 7월 개통될 예정이었다.시 관계자는 용인경전철㈜가 해지통보를 해오면 모든 시설물에 대해 인수절차를 거쳐 국제중재기구의 중재에 따라 해지지급금을 1년 이내에 지급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용인=강한수기자 hskang@ekgib.com

장애인콜택시 안전 우려목소리

안산시가 장애인 콜택시 운영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차량의 경사로가 높아 사고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10일 시와 장애인협회 등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14년까지 71억9천여만원을 들여 장애인 콜택시 33대를 구입하기로 했다.시는 우선 지난해 10월1일 2회 추경 예산에 5억원의 예산을 편성, 장애인 콜택시 3대와 시각장애인협회 차량 3대 등 모두 6대의 차량을 구입했다.또 지난해 10월 시설관리공단과 위수탁계약을 맺고 단원구 고잔동 올림픽기념관 1층에 사무실과 콜센터 관제시스템을 구축, 이달 중 시범운영을 거쳐 다음 달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그러나 장애인단체는 시가 구입한 슬로프형 콜택시의 경우 경사로가 높아 휠체어나 스쿠터 등이 뒤로 내려올 때 사고 위험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특히 손이 불편한 장애인이 스쿠터 등을 잘못 조작했을 경우 뒤로 튀어나가 도우미 등이 다칠 위험이 크다며 슬로프형보다는 리프트형 차량이 안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제기된 문제를 생산업체에서 보완해 승하차 시 안전 확보는 물론 불안함도 함께 제거했다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장애인 차량에 대한 경사도 규제가 마련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