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라한 ‘인천 新교통요충지’… 버스·택시·불법 주정차 ‘아수라장’

6일 오후 5시 20분께 공항철도 검암역 앞. 퇴근길이 시작되면서 한꺼번에 몰려나온 시민을 태우기 위해 택시가 승강장부터 교차로까지 200m가량을 꼬리를 물고 정차해 있다. 택시 승강장 앞쪽으로 4~5m 떨어진 버스 승강장에는 불법 주정차된 승용차가 길게 늘어서 있다. 이들 불법 주정차 차량은 단속용 카메라가 눈에 띄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시동을 켠 채 가족이나 지인을 기다리는 모습이다. 잠시 후 도착한 버스는 불법 주정차 차량들로 점령당한 버스 승강장에서 서지 못하고 1차로와 2차로 경계 위에 멈춰 섰다. 시민들은 2차로를 걸어서 버스에 오르는 등 위험한 상황이 연출됐다. 특히 길게 늘어선 택시와 불법 주정차 차량, 1차로와 2차로 경계에 멈춰선 버스 등이 엉키면서 버스 뒤를 따르던 차량들이 중앙선을 침범해 추월하거나 경적만 울려대는 등 한마디로 무법천지로 변했다. 공항철도 검암역은 지난 2007년 조성돼 운행 초기만 해도 1일 평균 1천~2천 명이 이용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2010년 공항철도 서울역 연장 이후 이용객이 크게 늘었으며, 지난해 KTX 연결 이후에는 1일 이용객이 2만여 명에 달한다. 게다가 이곳은 내년 인천지하철 2호선 환승역이 되고, 서울지하철 9호선 연장까지 추진되면서 이용객이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검암역 진입도로(4차선)는 이미 포화상태다. 6개 노선의 버스 정류장과 수십 대가 상시 대기하는 택시 정류장이 별도 진출입로가 없어 도로 하나와 겹치기 때문이다. 또 불법 주정차 차량이 기승을 부리면서 가뜩이나 좁은 도로에 이중삼중 주차를 일삼고 있다. 주민들은 조성 초기에 비해 이용객이 10배 이상 늘어난 만큼 진입도로를 확충하거나 주차장을 추가 개설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주민 A씨(38)는 예전에는 한가한 역이었는지 몰라도 지금은 역세권도 이런 역세권이 없다며 당연히 6차로 이상으로 진입도로를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구 관계자는 주차단속을 매일 하고 있지만, 워낙 차량이 많이 늘어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아직 진입도로 확충 계획은 세워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세월호 참사로 유류예산 170억원 부족… 해경수당 지급 지연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가 경비함정 유류비 예산 부족을 이유로 연말에 경찰관 수당을 지급하지 않았다가 내부 반발이 거세지자 뒤늦게 지급했다. 6일 해경안전본부에 따르면 해경은 작년 경비함정 306척의 유류비 예산으로 987억원을 집행했지만 예산이 부족해 이 중 170억원의 유류 구매대금 결제를 올해로 미뤘다. 유류비 예산 부족 현상은 작년 세월호 침몰 현장에 동원된 경비함의 수색 구조활동이 장기화하면서 유류 사용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해경본부는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경비함 유류비 지출액만 23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유류비 예산 부족은 엉뚱하게 해양경찰관 수당에까지 불똥이 튀었다. 해경본부는 유류비 때문에 연말 재정 운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자 해양경찰관의 12월 시간 외 수당 중 일부를 지급하지 않았다. 일선 해양경찰관들은 함정 유류비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직원 수당을 깎는 것은 부당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한 해양경찰관은 "함정 기름값이 부족하다고 직원 주머니를 터는 조직에서 어떻게 사명감을 갖고 일할 수 있겠느냐"며 "조직 해체에도 일선에서 묵묵히 일하는 경찰관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원망했다. 수당 미지급 사태는 최근 해경본부가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의 불용 예산 120억원을 지원받아 수당을 정상 지급하며 일단락됐다. 그러나 해경의 유류비 부족 현상은 매년 되풀이되는 사안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해경이 경비함 유류비 부족 때문에 유류를 외상 구매하고 이듬해 갚은 액수는 2011년 이후 매년 200억400억원에 이른다. 해경본부는 긴급한 상황이 아닌 경비활동이나 근무 교대 때 과속을 자제하고 경제속력으로 순항하며 유류비를 아끼라고 일선에 지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불법조업 어선 단속 현장이나 배타적경제수역(EEZ) 경비 해역에서 목숨을 걸고 사투를 벌이는 해양경찰관이 경비함 기름값 걱정부터 해야 하는 실정이다. 해경본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는 유류비 예산이 늘어나 1천16억원이 편성됐고 유가도 인하되는 상황이어서 작년처럼 유류비 부족 현상이 재발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학교 사격부 코치 ‘잿밥에 눈독’ ‘실탄환불금 횡령’ 무더기 적발

인천지역 일부 학교의 사격부 코치들이 실탄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환율 차액(실탄환불금)을 반납하지 않는 수법으로 수백만 원을 챙겨온 것으로 드러났다. 5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역 내 사격부를 운영 중인 12개 학교(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6개교) 중 4개 학교에서 사격 코치 6명(퇴직자 포함)이 지난 3년 동안 실탄환불금 414만 3천600원을 학교회계에 반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화약 실탄은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에 따라 개별 수입이 금지돼 있어 대한사격연맹이 연간 2회 구매대행업체를 통해 독일과 중국 등지에서 일괄 구매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금지급 시기와 구매 시기의 차이로 환율 차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격 코치는 구매 예상 금액에 10%를 더해 대금을 선지급한 뒤 정산에서 남은 환율 차액을 되돌려받는다. 그러나 이들 학교의 사격 코치는 되돌려받은 환율 차액을 학교에 돌려주지 않고, 자신들의 주머니 속으로 챙겼다. A 중학교의 B 사격 코치는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33만 3천980원을, C 고교의 D 사격 코치와 E 사격 코치(퇴직)는 36만 830원을, F 중학교 G 사격 코치(퇴직)는 84만 9천100원을, H 고교의 I 사격 코치(퇴직)와 J 사격 코치(퇴직)는 159만 9천690원을 실탄환불금으로 받은 뒤 반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시교육청은 지난해 11~12월 자체 감사를 통해 이 같은 비리를 적발하고, 반납하지 않은 실탄환불금 전액을 회수조치하는 한편, 현재 재직 중인 B 사격 코치와 D 사격 코치에 대해 징계를 요구하기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들 사격 코치는 관행적으로 실탄환불금을 챙겨오다가 자체 감사에 적발됐다며 이번 감사가 운동부 내의 관행적 비리를 뿌리 뽑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보다 관리감독에 신경 쓰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총경 승진 ‘2명’… 인천경찰 ‘홀대’

인천경찰청장 치안정감 시대를 맞은 인천경찰이 정작 경찰의 꽃이라 불리는 총경 승진 인원 확대에 실패하면서 사기 저하를 넘어 인천 홀대론까지 불러오고 있다. 5일 경찰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총경 승진 예정자 86명 중 인천경찰은 김민호 인천청 수사2계장과 이삼호 부평서 경무과장 2명만 포함됐다. 공공연하게 떠돌던 총경 4명 승진설은 물론 지난해 총경 승진자 수 3명에도 못 미치는 초라한 결과다. 인천경찰은 지난해 인천청장 치안정감 격상, 사상 첫 경무관 승진 배출 등 연이은 경사에 힘입어 총경 승진 인원까지 기대했지만, 끝내 허사로 돌아갔다. 일선 경찰은 실망감을 넘어 다른 지역에 비해 인천청이 홀대받고 있다는 인천 홀대론까지 제기하고 있다. 이번 승진 예정자 86명 중 본청 소속이 16명, 서울청 소속이 29명으로 절반이 넘어 본청과 서울청 우대가 지나치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인천청 승진인원(2명)이 같은 치안정감급인 경기청(7명), 부산청(6명)은 물론, 한 단계 낮은 대구청(4명)보다도 적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인천경찰의 능력이 여타 지역에 비해 결코 뒤처지지 않는데도 매번 지역별 안배에서 후순위로 밀리며 인사적체만 심해지고 있다. 다른 지역은 이번 승진인사에 2008년 경정 승진자가 대거 포함됐지만, 인천은 20062007년 승진자가 포함되면서 2003년 경정 승진자 2명은 이번에도 분루를 삼켜야만 했다. 일선 경찰서의 한 경사는 300만 도시라는 인천이 86명 중 2명만 포함되는 게 말이 되느냐며 한 단계 낮은 대구보다도 적은 건 인천경찰을 홀대를 넘어 무시한 꼴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청 관계자는 4명은 안 돼도 3명은 기대했는데 솔직히 당혹스럽다며 치안정감으로 격상된 만큼 다음 인사에는 반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