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일~11일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관계 회의 G20 정상회의 계기 인도네시아, 인도 순방 기간 14개 양자회담 일정을 갖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4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순방계기 두 도시에서 열릴 소·다자회의 양자회담 일정은 현재까지 14개"라면서 "이 외에 현재 6개 국가와 추가 회담을 조율 중에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아세안 정상회의 계기에는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캄보디아, 쿡 제도, 캐나다, 라오스 양자회담이, G20 정상회의 계기에는 인도, 스페인, 아르헨티나, 모리셔스, 믹타(MIKTA, 멕시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터키, 오스트레일리아 국가연합체), 방글라데시, 코모도 회담이 확정됐다. 중국과의 양자 회담은 개최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관계자는 "한중 간 회담을 계획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면서 "추가 양자회담을 조율 중인 나라에 중국은 없다고 보면 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또 육군사관학교의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이전 관련해 대통령실이 논란을 정리해야 한다는 문재인 전 대통령 발언을 두고 “대통령실이 나서지 않는게 문제가 아니라 전직 대통령이 지나치게 나선 게 문제”라고 했다. 이와함께 윤 대통령은 아세안과 G20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AP 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한반도 평화는 물론 세계 평화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라며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세안과 G20 정상회의 무대에서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 위협에 맞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핵·미사일 개발의 자금원이 되는 가상자산 탈취와 해외 노동자 파견 등 북한의 불법 행위를 적극 차단해야 한다"며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의 충실한 이행을 강조했다.
정부
강해인 기자
2023-09-04 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