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범종(梵鐘)은 한국종이라고 불릴 만큼 독자적인 양식을 갖고 있다. 상당수의 한국종이 일본으로 반출돼 일본 국보로 지정된 것만도 20여구가 된다. 종은 법고(法鼓), 운판(雲板), 목어(木魚)와 더불어 불교 사물(四物) 중 하나로 지옥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도구이다. 이 동종은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범종으로 화성 용주사에 있다. 높이는 1.44m, 입지름 0.87m, 무게 1.5t이다. 종 맨 위에는 우리나라 종에서만 유일하게 만들어지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고,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두발로 힘차게 몸을 들어 올리는 형상이다. 비천상과 삼존불은 모두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으로 옷자락이 가볍게 날리는 모습으로 조각하였다. 종 입구 부분의 넓은 띠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어깨띠와는 다르게 덩굴무늬를 조각하였다. 종 몸체에 문성왕 16년(854년)에 조성된 것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상대에 반원형 문양이 장식된 점, 당좌가 아래쪽으로 내려와 구연부에 가깝게 배치된 점, 종의 형태와 문양 등으로 보아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종의 몸체에는 비천상과 삼존상을 두고 있는데 성덕대왕 신종과 비슷한 조각 양식으로 신라 종의 양식을 매우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다. 종의 모양새나 새겨진 문양의 예술성이 뛰어나고 보존상태가 아주 양호하다. 고려시대 범종으로는 드물게 보이는 이 거종(巨鐘)은 한국종의 양식을 가장 충실히 갖추고 있어 오대산 상원사종, 성덕대왕 신종과 더불어 한국의 3대 범종으로 일컬어지는 고려 종의 걸작 중 하나이다. 장덕호 경기도박물관 학예실장
올 연말 완공을 앞두고 있는 과천 추사박물관이 단순 전시 공간이 아니라 시민들이 친숙하게 찾을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회(회장 최종수)는 지난 21일 오후 2시30분 과천시청 대강당에서 유홍준 명지대 교수(전 문화재청장)를 비롯해 김영복 KBS 진품명품 감정위원 등 각계 전문가와 강창희 국회의원(추사김정희선생 동상건립위원회 위원장), 박철원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회 이사장, 오후석 과천부시장 등 내외빈 및 시민 300여명을 초청한 가운데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전보삼 한국박물관협회장(만해기념관장)은 추사박물관은 과천시민의 문화향유와 교육, 과천의 정체성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시민들의 오감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설립 및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한 뒤 과거의 추사에 머물지 않은 미래의 추사를 창조하기 위해 공연, 결혼, 학술세미나 등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살아 움직이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포지엄의 기조발제는 20여 년 간 추사 연구에 몰두해 오면서 김정희의 전기 완당평전을 집필한 유홍준 교수가 맡았다. 유 교수는 추사는 청나라 고증학금석학의 성과를 모두 아우른 국제적인 학자였고 한국인으로서는 자기 분야에서 세계 최정상을 차지한 위인이었다며 우리는 사명감을 가지고 추사 김정희 선생을 기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진행된 각계 전문가 주제발표에서는 김영복 KBS 진품명품 감정위원이 추사 김정희의 삶과 예술에 다가가기-고미술 현장에서 본 추사 김정희에 대해, 이흥재 추계대 교수가 과천의 문화 정체성과 추사 김정희를 주제로, 김흥식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추사 김정희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OSMU 적용방안을, 전보삼 한국박물관협회장이 공립박물관 운영사례와 활성화방안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발표자들은 ▲위작을 가려내기 위한 추사 운필법 연구의 중요성 ▲추사를 통한 과천 문화정체성 확립의 필요성 ▲추사와 관련된 문화콘텐츠 발굴의 중요성 등에 대한 주장을 내놓았다. 이날 종합토론자로는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 큐레이터를 비롯해 정정숙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박정임 경기일보 문화부장, 문미옥 서울여대 교수가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문미옥 서울여대 교수는 추사박물관 운영위원회 구성을 제안했으며, 이어 박정임 경기일보 문화부장은 추사를 활용한 OSMU 마케팅전략 수행에 있어 과천시의 대폭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최종수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회장은 과천시는 2007년도 과지초당을 복원한 이래 올 연말에 추사박물관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이외에도 추사작품전시회, 학술대회, 추사강독회 및 논문발표회 등 과천시의 지속적인 추사 재조명사업이 진행돼 왔다며 오늘 각계 분야의 권위자들의 조언을 토대로 한 단계 전진해 과천만의 추사를 기리기 위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사업을 진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현숙기자 mom1209@kyeonggi.com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회(회장 최종수)는 오는 21일 오후 2시 과천시청 대강당에서 추사기념사업 현양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현대에 걸맞게 추사의 삶과 예술을 기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비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명지대 교수)의 추사 김정희 선생 기념사업,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4개 주제로 나눠 각계 전문가들의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김영복 KBS 진품명품 감정위원은 추사 김정희의 삶과 예술에 다가가기-고미술 현장에서 본 추사 김정희에 대해 발표하며, 이흥재 추계대 교수는 과천의 문화 정체성과 추사 김정희, 김흥식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추사 김정희의 문화콘텐츠를 위한 OSMU 적용방안, 전보삼 한국박물관협의회장은 우리나라의 박물관 현황과 추사박물관 비전을 각각 발표한다. 종합토론자로는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 큐레이터를 비롯해 정정숙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박정임 경기일보 문화부장, 문미옥 서울여대 교수가 참여한다. 최종수 추사 김정희선생 기념사업회장은 추사 김정희는 과천의 문화인물로 당대에 중국학자들로부터 해동제일통유(海東第一通儒)라는 최고의 찬사를 받았던 민족문화의 거성이라며 추사를 선양하는 사업은 문화가 삶의 질과 풍요를 가늠하는 현 시대에 과천시를 한국의 문화예술이 꽃피는 거점도시로 발돋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한편 과천시는 추사박물관 건립을 추진중이다. 문의 (02)504-6513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
실학박물관(관장 김시업)이 오는 7월14일부터 3박4일간 다산 사상과 21세기라는 주제로 대학생 여름방학 실학캠프를 연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탄신 25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열리는 이번 캠프는 딱딱한 강의에서 벗어나 생생한 현장에서 실학자들 삶의 자취를 찾아보고 느껴보는 답사 프로그램이다. 캠프 참가자들은 실학박물관과 다산 유적지를 시작으로 안산 성호 기념관, 경남 안의 연암(박지원) 유적지, 전남 강진 다산 유적지, 전북 부안 반계(유형원) 유적지 등을 둘러보게 된다. 또 실학 연구자들과의 토론, 발표, 다산 관련 강연, 문화공연, 친목ㆍ단합 프로그램 등이 마련된다. 전국의 35세 이하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을 대상으로 오는 18~22일까지 참가신청을 받는다. 참가비 5만원. 문의 (031)579-6008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
숙종이 인조 때의 명재상이던 이경석(李景奭, 1595~1671)의 문집인 백헌집(白軒集)을 살펴본 뒤 이경석 후손에게 내려준 어제어필의 칠언시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숙종어필 가운데 가장 신빙할 만한 자료로서 채색꽃무늬를 찍은 어찰지(御札紙:임금이 사용하던 편지지)를 사용한 이 어제어필은 숙종어제(肅宗御製)에도 실려 있어 어필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전서(篆書)로 쓰여진 숙종성제보묵(肅宗聖製寶墨)이라고 음각한 갑(匣)에 보관하고 있으며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하다. 시의 내용은 어렵게 입수한 백헌집을 피곤한 줄도 모르고 종일토록 보았으며 이경석의 충성심을 칭송하며 선대왕들도 이경석을 총애하여 예우였으며 송나라의 명재상 문정공과 비교할 수 있는 인물이었음을 시로 표현한 것이다. 이경석은 조선 제2대 정종의 후손으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병자호란 후 청의 요구에 의해 세워진 삼전도비문을 지었으며, 소현세자의 스승으로서 볼모로 심양에까지 가는 등 국난을 당해 위태로운 국가와 왕실을 위해 정치적으로 많은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숙종은 이러한 이경석의 충성심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의 문집을 보면서 그 느낌을 시로 지어 후손에게 내려준 것이다. 이경석은 1668년 11월에 현종(顯宗)으로부터 하사받은 궤장(?杖) 및 그것을 받았을 때의 잔치 장면을 묘사한 사궤장연회도첩(賜?杖宴會圖帖)(보물 제930호)이 전하고 있어 더불어 의미 있는 문화재이다. 숙종어필 칠언시는 선생의 후손이 경기도박물관에 위탁하였으며 현재 경기도박물관 기증유물실에 공개 전시되고 있다. 장덕호 경기도박물관 학예실장
실학박물관(관장 김시업)이 다산 탄신 250주년을 기념해 다산사상의 대중화를 위한 지역 순회강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다산의 경기 투어(Tour)-다산과의 만남이란 제목으로 올 연말까지 총 30회에 걸쳐 진행된다. 강좌는 매회 2시간(강의 1시간 + 맞춤프로그램(옵션) 1시간)으로 진행되며 도내 시군의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복지시설, 초중고등학교 등 20인 이상 단체(기관)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김시업 실학박물관장을 비롯해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조성을 아주대 교수 등 저명한 실학연구자들이 강사로 나서며, 내용은 주로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그의 실학정신, 실학적인 인성 함양, 실학자들의 자녀 교육 및 공부법 등 다산 정약용과 실학 전반에 관한 강의를 중심으로 하되 신청기관과의 사전 협의를 통해 실학속의 다양한 강의주제를 선정해 진행한다. 문의 (031)579-6006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
학교폭력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2012년 학교폭력 예방 어떻게 할 것인가? 학교폭력 대책 국제학술세미나가 8일 오후 1시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광교홀에서 열린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대학교가 주관하는 이번 세미나는 이수정 경기대학교 양성평등문화원장의 사회로 학교폭력의 원인과 치료 심포지움과 토론 형식으로 진행된다. 심포지움에서는 학교폭력 청소년들을 위한 교화프로그램을 운영한 Nancy Guerra 델타웨어대학교 심리학과 교수가 청소년 폭력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James Blair 정신보건국 박사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정신병리 증세와 치료법, 김란희 일본 동경도 학교임상심리사 청소년 문제 행동에 대한 동경도 지방자치 단체의 실천 예 발표가 이어진다. 또 이들 박사들이 발표한 외국 사례를 토대로 이상범 교육과학기술부 학교폭력근절과 이상범 사무관, 박재진 경찰청 여성청소년과장, 최현 안산청소년비행예방센터 연구개발과장이 참여해 학교폭력에 대학 다각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이수정 경기대 양성평등문화원장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가 학교푹력 문제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도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031)249-8905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광릉은 세조와 부인 정희왕후의 능침이다. 조선 왕릉은 모두 44기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모두 40기가 있으며, 2009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세조는 백성의 고통을 줄이고 국가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능 조성을 간소화하도록 유언을 남겨 돌방대신 석회다짐으로 무덤방을 만들고, 무덤 둘레에 병풍석 대신 난간석을 설치하도록 했다. 난간석의 기둥에는 십이지신상을 새겼는데 이러한 예는 광릉밖에 없으며, 글자로 난간석에 표시하거나 나중에는 24방위까지 새겨 넣게 된다. 무덤배치는 최초의 동원이강(同原異岡)의 형식으로 정자각에서 바라볼 때 Y자 형태로서 왼쪽이 세조, 오른쪽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광릉조성 이전에는 왕과 왕비의 무덤을 나란히 두고자 할 때는 고려 현릉정릉(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의 능)식의 쌍릉이나 세종과 소헌왕후 능인 영릉의 형식으로 왕과 왕비를 함께 묻는 방법이었으나, 광릉은 두 언덕을 한 정자각으로 묶는 새로운 배치로 후세의 무덤제도에 영향을 끼쳤다. 세종의 영릉이 조선 전기 왕릉 제도를 총정리한 것이라 한다면, 광릉은 조선전기 왕릉 제도의 일대변화를 이룬 중요한 문화재이다. 광릉자리는 원래 다른 이의 묘자리였으나 풍수상 길지라 하여 묘자리의 주인이 세조에게 바쳤다고 전해지며 일부 풍수가들은 광릉 자리가 길지라 조선 500여년을 세조의 후손들이 통치할 수 있었다고 전하기도 한다. 광릉은 세조의 능 조성이후 500여년 이상 국가의 보호를 받는 지역으로서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국립수목원으로 지정돼 자연환경 생태공원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경기도박물관 학예실장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유완식)은 시민들의 역사문화체험 기회를 높이기 위해 6월부터 9월까지 화성행궁을 오후 9시까지 연장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연무대 국궁체험장도 기존의 체험시간을 2회 더 늘려 오후 7시까지 운영된다. 또한, 팔달산연무대 구간을 운행하는 화성열차도 1회 연장해 관람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7월부터 9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8시 행궁광장에서는 야한(夜寒ㆍ閑) 음악회가 열린다. 풍물과 민요, 무용 등 전통공연은 물론 관현악과 합창단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수원 화성은 시간대별로 관람이 가능하며, 화성행궁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설을 희망하는 개인 및 단체는 수원문화재단 홈페이지(http://www.swcf.or.kr)에서 문화유산해설을 신청하면 전문 해설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수원문화재단 관계자는 달빛과 인공조명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수원화성의 절경을 감상하며 멋진 추억을 쌓을 수 있는 기회라며 화성행궁 연장개장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031)290-3622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
초석만 남아 있던 남한산성 행궁을 복원하는 10년 공사가 마무리됐다. 하궐의 단청공사와 주변 공원화 사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24일 낙성연(落成宴)을 열고 전면 개방된다. 행궁은 조선시대 임금이 도성 밖으로 행차했을 때 머물던 곳이다. 조선의 행궁은 모두 23곳이 있었는데, 남한산성 행궁은 그중 유일하게 역대 왕들의 신주를 모신 종묘와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사직을 갖춘 곳이다. 종묘와 사직은 곧 나라를 뜻하니, 왕이 이 곳에 오는 것은 나라 전체가 옮겨오는 것과 같다. 남한산성 행궁을 지은 인조는 병자호란 때 여기서 47일간 버티다가 항복하는 치욕을 겪었다. 왕의 처소이자 집무실로서 300년 넘게 내려오던 남한산성 행궁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의병들의 거점이 되자 일제에 의해 철저히 파괴돼 폐허가 됐다. 경기도가 남한산성 행궁 복원에 나선 것은 10여년 전. 주변에 어지럽게 들어서 있던 음식점과 호텔 등을 철거하고 1999년과 2000년 발굴 조사를 거쳐 공사를 시작했다. 2002년 상궐에 이어 2004년 종묘인 좌전, 2010년 하궐을 복원하고 지난해 단청을 했다. 총 215억원을 들여 여러 전각과 정자 등 건물 252.5칸을 복원완료 했다. 경기도는 남한산성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려고 추진해왔다. 이를 위해 산성을 정비하고 행궁을 복원했다. 등재 여부는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남한산성 행궁 낙성연은 24일 오후 2시 행궁 앞 마당에서 열린다. 수원화성성역의궤에 실린 낙성연 그림대로 자리를 배치하고 무고ㆍ선유락ㆍ사자탈놀이 등 거기에 나오는 음악과 춤으로 잔치를 벌인다. 낙성을 축하해 28일까지는 행궁을 무료로 개방하고, 26일은 풍류음악회, 27일은 광지원 농악, 전통무예 시연 등이 펼쳐진다. 행궁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관람료는 성인이 2천원, 청소년이 1천원이다. 문의 (031)777-7526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