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갯벌세계유산추진시민협력단(이하 협력단)이 정부와 인천시에 인천 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을 촉구했다. 협력단은 26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 갯벌은 체계적인 법적 보호 체계와 지속가능한 관리 전략을 기반으로 생태적 완전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세계자연유산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 충분한 가치를 지녔고, 국제적 보전이 필요한 생태적으로 중요한 유산”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인천 갯벌이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EAAF)의 핵심적인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해당하는 국제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철새 서식지라고 부연했다. 특히, 법적 보호를 받는 해양 무척추동물·저서생물이 풍부하게 분포하는 지역이라 세계자연유산에 등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21년 7월 유네스코는 신안, 순천, 고창, 서천, 보성 등 한국의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며 인천 갯벌도 추가할 것을 대한민국 정부에 권고했다. 하지만 갯벌이 있는 강화군, 옹진군, 연수구 등 기초자치단체들이 지역 주민 수용성 확보에 실패, 개발 행위 제약 우려 등을 이유로 나서지 않으면서 인천시는 세계자연유산 등재 신청을 하지 않았고, 정부 역시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협력단은 인천 갯벌이 유네스코에 등재될 수 있도록 카드 뉴스 홍보, 주민간담회, 민관협력토론회, 유정복 인천시장 면담 등 적극적으로 활동을 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초 국가유산청이 세계자연유산 추가 등재를 위해 유네스코에 제출한 신청서에는 무안, 고흥, 여수, 서산만 포함했다. 협력단 관계자는 “인천은 충청, 전라 지역보다 투기·개발 요구가 많은 지역이다 보니 지역적 저항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인천 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가 후순위로 밀렸는데, 유네스코가 지속적으로 추가 등재를 권고하고 있기 때문에 9회말 역전 홈런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사회
박상후 기자
2025-05-26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