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불황에 현대판 장발장 판쳐

수원시 장안구에 위치한 한 상가건물(4층) 관리인은 요즘 들어 골머리가 아플 지경이다. 화장실에 비치해 놓은 휴지가 하루가 멀다하고 없어지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별 생각없이 지나쳤지만 건물을 찾는 손님들의 불평이 잇따르자 결국 입점가게들과 함께 수시로 화장실을 순찰하기 시작했다. 관리인 P씨(51)는 요즘들어 화장실 안에 휴지나 비누 등이 자주 없어진다며 이번 주 들어 벌써 3번째라고 푸념했다. 이와 함께 성남시 분당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S씨(45)도 손님들의 항의에 정신이 없다. 손님들이 몰리는 시간 대에 종종 신발장에 벗어논 신발들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먹고살기 힘들다지만 좀도둑 들끓어 상가들 비상 음식점 신발도 분실 늘고 파출소 인근 복권방도 털려 바빠진 경찰 가난이 罪 S씨는 예전 IMF때나 많이 발생했던 일이 재현되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경찰서 역시 이러한 좀도둑들의 등장에 눈코 뜰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달 24일에는 안성 공도읍 과일가게 앞을 지나던 L씨(40)가 가게 앞에 진열된 포도송이를 절취하던 중 경찰에 덜미를 잡혔다. 경찰조사 결과 L씨는 지난 2월 초부터 해당 일까지 총 5회에 걸쳐 3만원 상당의 포도 6송이를 훔친 혐의가 추가로 드러났다. 이에 앞선 지난달 22일 수원 지동시장 내 슈퍼마켓에서 7천원 상당의 커피를 훔친 P씨(46)가 경찰에 붙잡혔으며 하루 전인 21일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의류매장 앞을 지나가던 C씨(59)가 노상에 진열된 19만원 상당의 점포를 훔치다 적발됐다. 이처럼 최근 경기지역 일대에서 장기 불황여파에 따라 생활고에 시달리는 시민들이 늘어나며 생필품을 대상으로 절도행각을 벌이는 이른바 좀도둑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심지어는 파출소 바로 옆에서도 좀도둑의 기승은 꺾이지 않았다. 지난달 26일 수원시 팔달구 고등동 고등파출소에서 불과 50m도 떨어져 있지 않은 복권방에서 괴한이 유리창을 깨고 침입, 담배와 현금 등 64만원을 절취하고 도주했다. 경찰 관계자는 불황이 지속된 탓인지 생필품과 관련된 좀도둑들이 판을 치고 있는 상황이라며 순찰강화 등을 통해 범죄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양휘모기자 return778@kyeonggi.com

용인 부동산업자 청부살인사건 공범 2명 7개월째 ‘오리무중’

지난해 용인에서 발생한 50대 부동산업자 청부살인사건이 발생한 지 7개월이 지나도록 공범 2명이 검거되지 않는 등 오리무중에 빠졌다. 31일 경찰 등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해 8월21일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의 한 전원주택에서 발생한 부동산업자 Y씨(57)에 대한 피살사건과 관련, 범행을 지시한 P씨(51)와 S씨(46)는 검거했으나 Y씨를 살해한 공범 2명은 현재까지 붙잡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경찰은 달아난 공범 2명의 신원을 특정하고 출국금지 조치하는 한편 전국에 수배령을 내렸음에도 불구, 행적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공범자의 도피를 돕는 배후세력이 있는 게 아니냐는 추측마저 낳고 있다. 실제 유족 일부는 살인교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P씨가 지인들을 시켜 공범 2명의 도피를 돕고 있다는 내용의 탄원서를 수차례에 걸쳐 검찰에 냈다. 탄원서에는 누군가 달아난 공범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면서 대포통장과 대포폰, 대포차 등을 이용해 몸을 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 내용이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Y씨의 누나 A씨는 동생이 괴한에게 피습당했을 당시부터 가족들은 P씨를 범인으로 지목했었다며 달아난 공범 2명도 P씨가 숨겨주는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경찰 관계자는 달아난 공범 2명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수사를 벌이고 있지만 아직 행적이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P씨와 S씨는 구속만기가 임박해 다음달 18일 1심 선고를 앞두고 있으며 검찰은 P씨에게 무기징역, S씨에게 징역 20년을 구형했다. 용인=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