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미군범죄의 ‘성역’?

최근 3년간 발생한 주한미군 범죄 중 검찰 기소 후 정식재판에 회부된 것은 5%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시민단체인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대검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주한미군 사건 발생 및 처리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올 2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미군범죄는 1천66건이다. 주한미군범죄는 2010년 380건, 2011년 341건, 지난해 294건, 올 2월까지 51건으로 매년 300건 가량씩 발생하고 있지만 전체 범죄는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대마,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등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은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1천66건 발생 단 57건 5.3%만 재판 회부 기소율도 28%에 그쳐 시민단체 소파 개정해 막아야 범죄 유형별로는 교통사고와 음주운전 등 교통관련이 536건(50.3%)으로 가장 많았고 폭력사건이 211건(19.8%), 강ㆍ절도 115건(10.8%), 성범죄 50건(4.7%) 순이다. 1천66건의 주한미군 범죄 중 검찰에서 처분한 범죄는 1천27건이고, 이 중 기소 후 재판에 회부된 사례는 단 57건으로 전체의 5.6%에 불과했다. 약식기소까지 포함한 전체 기소건수도 288건으로 기소율은 28%에 그쳤다. 2011년 검찰이 처분한 전체사건 190만7천641건의 기소율 42.8%와 비교해 보면, 현저히 떨어지는 수치다. 불기소 처분된 주한미군 범죄 739건에 대한 분석 결과, 공소권 없음이 525건(71%)으로 가장 많았고, 기소유예 83건(11.2%), 혐의없음 36건(4.9%), 각하 1건(0.1%), 기타 94건(12.7%) 등이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한미주둔군 지위협정 때문에 주한미군 범죄가 발생해도 한국의 검경이 제대로 된 수사를 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불평등한 한미관계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한국이 주한미군의 성역이라는 오명을 얻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