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부모 묘소 훼손...사방에 구멍, 한자 적힌 돌 묻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부모 산소가 훼손당한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경북 봉화군에 있는 부모 묘소 현장 사진을 공개하며 이런 사실을 알렸다.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땅속에 파묻힌 돌에 생(生), 명(明) 등의 한자가 적혀 있다. '生' '明' 뒤의 흐릿한 한자는 하나 있는데 민주당측은 '殺'(살)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의 한자 이름에도 '明'이 들어간다. 이 대표는 사진과 함께 "후손들도 모르게 누군가가 무덤 봉분과 사방에 구멍을 내고 이런 글이 쓰인 돌을 묻는 것은 무슨 의미냐"며 "봉분이 낮아질 만큼 봉분을 꼭꼭 누르는 것은 무슨 의미냐"고 적었다. 또 이 대표는 봉분 위에서 몇몇 사람이 봉분을 다지듯 뛴 것처럼 누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현장 확인 결과, 묘소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구멍이 나 있었고 한자로 적혀 있는 돌이 2개 꼽혀 있었다고 한다. 이 대표는 1986년 12월 부친의 묘를 이곳으로 옮겼으며 2020년 3월 모친을 합장했다. 이 대표는 부모 묘소의 주위에 구멍을 뚫고 돌을 박아넣는 등의 훼손 행위를 지난 9일 오후 숨진 전형수 전 비서실장의 빈소를 찾기 전에 전해들었다. 이 대표의 모친 기일은 지난 10일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추가 글을 올리고 "의견을 들어보니 일종의 흑주술로 무덤 사방 혈자리에 구멍을 파고 흉물 등을 묻는 의식으로 무덤의 혈을 막고 후손의 절멸과 패가망신을 저주하는 흉매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흉매이지만 함부로 치워서는 안된다는 어르신들 말씀에 따라 간단한 의식을 치르고 수일내 제거하기로 했다"면서 "저로 인해 저승의 부모님까지 능욕당하시니 죄송할 따름"이라고 했다. 한편 민주당 임오경 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재명 대표 부모 묘소에 대한 테러,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제1야당 대표를 공격하기 위해 돌아가신 분들의 묘소마저 공격하는 패륜적 행태에 분노한다"면서 "테러에 주술적 수단까지 동원되었다는 점이 경악스럽고 대한민국이 다시 무속인들이 횡행하는 전근대 시대로 회귀한 것이냐"고 반문했다. 또 "야당 대표를 비판할 수는 있지만 금도가 있다"면서 "고인이 되신 부모의 묘소를 테러한 것은 사자에 대한 살인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구독자 많은 계정 줄게"...아동 유인 성 착취물 제작한 20대 구속

아동을 대상으로 유튜브 계정을 무료 나눔을 한다며 유인해 신체를 불법 촬영하고 성 착취물을 제작한 20대 남성이 미국에서 붙잡혀 강제 송환된 뒤 검찰에 넘겨졌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성 착취물 제작·배포·소지) 등 혐의로 20대 남성 A씨를 구속, 검찰에 송치했다고 8일 밝혔다.  A씨는 2020년 8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유튜브에서 아동에게 인기 있는 영상에 ‘구독자 00명 있는 계정 나눔’ 등의 댓글로 10세 전후의 아동 4명을 유인한 뒤 아동에게 신체를 촬영하도록 유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앱(애플리케이션) 테스트를 도와주면 계정을 주겠다”며 아동의 스마트폰에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한 뒤 앱 테스트를 하기 위해 옷을 벗어야 한다고 속여 피해자들의 스마트폰을 조작해 신체를 불법 촬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한 아동의 부모에게 영상을 보내며 1억원을 요구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아동 4명을 상대로는 포인트 환전을 도와주면 계정을 주겠다고 하면서 휴대전화 소액결제를 시키는 등 135만원가량을 편취한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은 부모의 신고를 받고 수사에 착수해 피의자 신원을 특정한 뒤 미국 국토안보수사국과 공조 수사를 벌여 미국에 머물고 있던 A씨의 주거지를 파악했다.  미 당국이 A 씨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체포한 뒤 이민국에 구금했으며  지난달 말 국내로 송환 절차를 밟았고 신병을 인계받은 경찰은 송환된 A씨에게 체포영장을 집행했다. 경찰 관계자는 “미국 수사기관과의 상호 공조를 통해 A씨의 휴대전화를 확보, 혐의 사실과 관련한 핵심 증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며 “해외에서 저지른 범죄일지라도 국가 기관과의 국제 공조를 통해 피의자를 끝까지 추적해 엄단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