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동탄 1지구내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및 용도변경 일시 제한

화성시가 동탄 1지구에 급증하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과 관련, 중심상업용지에 대한 도시기반시설 용량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 상업건물의 도시형생활주택 용도변경을 제한키로 했다.시는 오는 6월 30일까지 동탄 1지구 중심상업요지 내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및 용도변경 허가를 일시적으로 제한한다고 26일 밝혔다.화성시의 도시형생활주택 허가는 지난 2010년 53세대에서 2011년 844세대로 급증했으며, 세대별 주거 전용면적은 평균 25㎡로 세대수는 897세대지만 주차면수는 267면 밖에 되지 않는다.특히 동탄 1지구 중심상업용지 내 도시형 생활주택은 404세대의 주차면적이 71대로, 평균 5.7세대당 1대 꼴이다. 더구나 시는 향후 용도변경이 가능한 필지 및 세대수를 35필지 8천400세대로 예상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이에 따라 시는 도시형 생활주택 입지에 따른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오는 6월 30일까지 동탄1지구 도시기반시설 용량 검토 용역을 실시해 조례 개정 등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이 기간동안 도시형 생활주택으로의 용도변경 및 건축을 일시적으로 허가하지 않기로 했다.시 관계자는 도시형 생활주택이 서민주거안정에 도움을 주는 순기능이 있으나, 자칫 주차난과 생활편의시설 감소로 심각한 도시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이번 조치는 정확한 도시기반시설 용량을 검토해 정책취지를 살리고, 우리시의 현실에 맞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화성=강인묵기자 imkang@kyeonggi.com

화성·오산·수원 행정구역 통합 해법모색 토론회 “주민들의 참여·합의가 중요”

찬반 갈등을 겪고 있는 화성오산수원 행정구역 통합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토론회가 21일 화성 유앤아이센터 화성아트홀에서 열렸다.협성대학교 화성지역연구소가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올바른 이해 토론회라는 주제로 개최한 이번 토론회에는 찬반 측 시민 500여명이 참석해 통합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대변했다.토론회 좌장은 윤원근 협성대 교수가, 발제는 조석주 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이 각각 맡았다.조석주 위원은 시군통합의 성과와 문제점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자치단체와 자치단체를 통합하는 행정구역개편은 통합을 해야하는 당위성과 이에 따른 주민들의 참여, 합의된 의견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자치단체간 통합은 지역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지역주민간 갈등과 기득권층의 통합반대, 시 명칭 결정과정에서의 지역 간 대립, 시청사 유치를 위한 갈등, 통합청사 접근성의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통합 찬성 패널로 참여한 유효근 통합추진위원회 화성시위원장은 역사적, 지리적으로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화성, 오산, 수원의 통합을 통해 우리나라 5대 광역도시로 발돋음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통합 반대 패널로 참여한 고순철 협성대 교수는 인구와 면적, 재정자립도 등을 볼 때 화성시는 통합 대상이 아니다라며 통합보다는 지방분권이 먼저 선행되야 한다고 강조했다.화성=강인묵기자 imkang@kyeonggi.com

화성 동탄 U-City 정보센터를 배우자!

대한민국 1호 U-City 정보센터인 화성시 동탄 U-City 정보센터에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대학은 물론 해외 기관에서까지 벤치마킹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19일 화성시에 따르면 동탄 U-City 정보센터를 찾은 해외 기관 관계자는 2009년 417명, 2010년 281명, 2011년 262명, 2012년 75명 등으로 이미 1천명을 넘어섰으며, 이달 중 일본과 중국, 베트남 등에서 동탄 U-City 정보센터를 방문할 계획이다.여기에 국내기관을 포함하면 2009년부터 6천명 이상이 벤치마킹을 위해 화성시 동탄U-City 정보센터를 찾은 셈이다.지난 15일에는 아랍권 최대 통신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 STC(사우디 텔레콤 컴퍼니) 관계자들이 화성 동탄U-City 정보센터를 방문, 약 2시간 동안 선진 도시기술과 U-City 운영사례 등을 벤치마킹했다.이날 동탄U-City 정보센터를 방문한 STC 관계자들은 안전과 교통, 환경, 미디어 등 다양한 공공정보서비스를 한 곳에서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에 놀라움을 표시했다.이들은 24시간 정보수집을 통해 상황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통합관제플랫폼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부탁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김진승 화성시 정보통신과장은 화성 동탄 U-City 정보센터는 벤치마킹을 위해 매년 국내외에서 1천여 명 이상이 다녀갈 정도로 U-City의 메카로 자리매김했다며 대한민국의 U-City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편리하고 쾌적한 도시운영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화성=강인묵기자 imkang@kyeonggi.com

경기도, 조상 땅 찾기 서비스로 여의도 면적 2배 찾아

화성시에 거주하고 있는 A씨는 주위 친지들로부터 돌아가신 조부 명의로 된 땅이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 경기도 토지정보과를 찾았다.A씨는 조상 땅 찾기 열람신청을 한 결과 증조부 명의로 된 총 11필지 4천566㎡, 개별공시지가로는 약 4억5천만원의 가치가 있는 조상 땅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 현재 상속 절차를 진행 중이다.경기도의 조상 땅 찾기 서비스를 통해 지난 한 해 동안 567명이 여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토지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조상 땅 찾기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은 모두 3천522명으로, 이 중 567명이 여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8천157필지 573만1천994㎡의 토지를 찾은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지난 4년 동안 모두 2만1천996명의 신청을 받아 6천490명에게 3만1천80필지 2천957만4천331㎡의 토지 정보를 제공한 바 있다. 조상 땅 찾기서비스는 재산 관리 소홀히나 불의의 사고 등으로 인해 조상 소유 혹은 자신의 토지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 경기도 국토정보시스템을 통해 조상 또는 본인 명의의 토지를 알려주는 제도다. 조상 땅 찾기는 토지소유자 본인이거나 사망자의 재산상속자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시 본인의 신분증과 제적등본 및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를 첨부해 도청 또는 가까운 시군구의 조상 땅 찾기 담당자에게 신청하면 된다.도 관계자는 조상 땅 찾기 대리 신청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와 재산권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전국 최초로 지난 2010년부터 조상 땅 찾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며 언제 어디서나 토지소유현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상 땅 찾기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화성소방서 남향향교 대상 소방훈련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