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사각지대 싹싹~… 이천 미화원들 아름다운 봉사

하루동안 거리 청소 일을 하다 보면 힘들때도 많고 짜증이 날 때도 있지만 일과 시간이 끝난 후 짬을 내 참여하고 있는 정화활동은 항상 즐겁기만 합니다. 자신들의 본업을 십분 발휘해 지난 4년 동안 드러나지 않게 선행을 펼쳐 온 단체가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바로 이천지역 환경미화원들. 이천시 청소대행업체 대일환경 등 4개 사와 이천시 소속 환경미화원 등 60여명은 지난 4년 동안 하루 일이 끝난 매월 첫째주 목요일마다 이천지역 곳곳을 누비며 환경 정화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아 쓰레기가 넘쳐나는 터미널 주변은 물론, 청소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는 산과 계곡, 등산로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미화 활동은 수년 동안 이들의 몫이었다. 이대재 환경미화원 노조위원장(59)는 처음에는 친목 성격으로 정화활동을 시작했으나 이제는 너 나 할 것 없이 많은 동료들이 피곤한 몸을 이끌고 시간을 내가며 즐겁게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인지 도심지역을 담당구역으로 맡고 있는 미화원 중심으로 주 단위로 횟수를 늘려 정화활동에 나선 회원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생활상은 아직 녹록치 않다. 각계의 관심은 날로 늘어 가지만 환경미화원들의 하루 일과는 여전히 고되기 때문이다. 도심지역 담당 미화원들의 경우 새벽 5시부터 오후 3시까지, 읍면지역 농촌지역 미화원들은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구분해 근무하고 있다. 이대재 위원장은 모든 동료들은 손과 발, 그리고 빗자루로 거리가 깨끗하게 탈바꿈 할 수 있다는 자긍심 하나로 매일 새벽녘 일터로 향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환경정화 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어려운 이웃과 아픔을 함께하는 나눔 봉사 활동에도 적극 앞장 서겠다며 환한 웃음을 지어 보였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성남 쓰레기매립장 부실정비”

매립이 끝난 성남시 쓰레기 매립장 정비공사가 부실공사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김기태씨(48분당구 정자동)는 성남시 쓰레기 매립장 정비공사가 부실 시공됐고 예산낭비 의혹이 있다며 감사원, 국민권익위원회, 성남시 등에 부패행위로 신고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김씨와 성남시 등에 따르면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409 일대 사용이 종료된 쓰레기 매립장 1만3천400㎡에 대해 A업체가 4억8천200만원에 제한경쟁 입찰을 통해 낙찰받아 정비공사에 들어가 지난해 12월 준공했으며 시는 이곳을 캠핑장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김씨는 책임감리도 없이 전문성이 부족한 공무원들이 감독을 했다며 행정정보를 공개 청구한 결과 시방서 조차없이 발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가스배제층, 차단층, 배수층, 식생대층 등이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42조 관리기준을 어기고 부실하게 시공됐다며 부실공사와 예산낭비 의혹의 근거로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씨는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일반 공사업체가 아닌 전문 공사업체를 선정한 것과 시방서 없이 입찰 및 시공한 부문 등을 문제점으로 업체 선정과정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성남시는 설계도에 따라 경계 배수로 준설, 매립층 정지, 가스배제층차단층사질토식생대층 작업을 진행했다며 오히려 현장에서 발생한 사토를 사용해 5천400만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반박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파주시, 추진위 구성 ‘아파트 관리비’ 거품 뺀다

파주시는 15일 지역 내 보수공사 등 아파트 관리비 책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아파트 관리비 인하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세무사회계사건축 및 건설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아파트 관리비 인하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 역할에 필요한 조례도 제정키로 했다. 이번 대책은 아파트 관리 관계자와 주민대표가 담합해 특정업체를 밀어주거나 총 공사비의 일정 부분을 뇌물로 받는 관행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추진위는 아파트별 보수공사의 타당성과 적정 보수공사 금액도 산출해 주는 역할을 맡게 된다. 특히, 대책에는 감사(監査)와 조사 등 사후 대응방안도 포함, 아파트 단지별 입주자 대표와 감사를 선출할 때 전문성을 갖춘 추진위에서 감사 역할을 대행해 주도록 했다. 단, 입주민들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 일정 규모(입주민 1/10) 이상의 주민신청이나 입주자대표의 요청이 있을 경우로 제한했다. 위원회 구성은 3050명 규모로 하고 위촉된 민간위원들은 모두 무급제명예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같은 시의 대책은 이인재 파주시장이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읍면동별 주민과의 대화를 통해 아파트 입주민들의 건의를 반영해 마련됐다. 이인재 시장은 아파트 관리비 문제는 입주민들에게는 세금과 같은 개념으로 입주민 보호차원에서 시가 나서 대책을 마련하게 됐다며 관리비의 투명성을 높이고 입주민들의 관리비 부담 해소를 위해 정책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하반기 중으로 조례제정과 위원회 구성 등을 마무리한 뒤 본격적으로 업무를 가동시킬 계획이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한전 ‘어설픈 행보’… 오히려 ‘이천 민심’만 자극

한국전력이 수도권 동남부권 전력 공급을 위해 이천과 양평 등 인근 4개 지역을 대상으로 765㎸ 초고압 변전소 설치를 위한 후보지 물색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향후 적잖은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단계부터 사업 진행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둘러싸고 불협화음을 내면서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한전과 이천시의회, 주민들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 8일 이천시에 765㎸ 신경기 변전소 및 관련 송전선로 건설사업에 따른 향후 입지 선정을 위한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협조 공문을 보냈다. 새로 지어지는 신경기 변전소는 현재 증설 중인 신울진 원전의 발전전력을 수송해 수도권 이천과 양평, 여주, 광주지역을 비롯한 수도권 동남부지역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한 것으로 오는 2019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변전소 규모는 8만8천㎡여 부지에 765㎸ 주 변압기(2천MVA3Bank)며 이에 따른 송전선로는 765㎸ 96㎞로 강원도 경계선을 지나 이천 등 인근 시군(여주양평광주)을 경유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한전은 해당 지역의회 의원과 관계자, 전문가 등으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한 뒤 후보지 물색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한전 측이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위해 이천시에 공문을 발송하기 전에 이미 일부 지역 관계자와 접촉하고 이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져 초반부터 투명성 논란을 빚고 있다. 이천시의회 A의원은 입지선정위 구성 협조 공문은 지난 8일 발송됐지만 한전은 그 전에 지역 관계자 3명과 접촉한 것으로 안다면서 이는 자신들의 입맛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천ㆍ양평 등 인근 4곳 대상 초고압 변전소 후보지 물색 사업진행 투명성 의문 증폭 이어 A 의원은 송전탑에서 나오는 유해 전파가 암은 물론 어린이 백혈병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많고 산림파괴 및 자연환경 훼손 등 논란이 많다면서 공론화를 통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투명한 방향으로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모든 사업 절차가 투명하게 진행될 것이라며 다만 사전 접촉은 공문을 보내기 전에 미리 관계자들에게 설명을 드린 것 뿐이지 다른 뜻은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입지선정위원회는 이천과 양평 등 4개 지역 의원과 공무원, 전문가 등 24명 선에서 구성될 예정이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