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22(1인당 담당인원)’ 부천시 복지사 불균형

부천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가 지역동별로 1인당 담당 인원이 최고 322명에서 최저 22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복지수요에 맞게 동별 통폐합 등 조정작업이 시급한 실정이다.6일 시와 행정복지위원회에 따르면 오정구 성곡동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644명인데 반해 사회복지사는 2명에 불과, 복지사 1명당 322명을 담당하는 최다 담당 지역으로 확인됐다.이에 반해 원미구 상1동은 수급자가 22명에 불과해 복지사 1명이 담당하고 있으며, 상2동과 상3동의 경우 수급자가 각각 73명과 33명으로 각각 사회복지사 1명이 담당하고 있다. 신시가지의 경우 중1동(53명), 중2동(63명) 등은 각각 1명의 사회복지사가 각 동에 배치돼 있다. 그러나 구시가지인 심곡1동(252명, 이하 괄호는 담당 인원), 심곡2동(247명), 심곡3동(254명), 원미1동(241명), 원미2동(215명), 원미2동(215명), 소사동(197명), 역곡1동(101명), 역곡2동 98명), 도당동(294명), 약대동(101명), 소사본1동(279명), 소사본2동(173명), 범박동(111명), 괴안동(196명), 역곡3동(267명), 송내1동(171명), 원종1동(222명), 고강1동(163명), 오정동(189명), 신흥동(159명) 등은 복지사 1명이 배치돼 있다.특히 동별로 수급자 300명이 넘는 곳은 모두 구도심인 심곡본1동(308명), 심곡본2동(306명), 고강본동(305명)으로 각각 1명의 사회복지사가 담당하는 등 신도심과 구도심의 복지수요가 심한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이에 대해 행정복지위원회 서강진 시의원은 사회복지사 불균형은 수급인원에 따라 배치한 것이 아니며 동별로 무작위로 배치됐기 때문이라며 동별 통폐합을 통해 이 부분을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천=김성훈기자 magsai@ekgib.com

의정부 민락中 연수회 개최

일선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학생 생활지도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지난 10월 학생인권조례 선포 이후, 도내 학교에서의 효율적 학생 생활지도가 교사들 사이 화두인 가운데 지난 1일 의정부 민락중학교에서 효율적인 생활지도 연수가 열려 눈길을 끌고 있다.이날 의정부 민락중학교 시청각실에서는 열린 연수에는 효자고등학교 심우근 교사가 강사로 나서 학생인권 존중 시대에 바람직한 생활지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연수에서 교사들은 자신의 인권감수성을 점검해 보는 것부터 시작해 학생들의 입장에서 학교생활이 어떠할 지 생각하면서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된 배경을 살펴보았다.교사들은 학생들의 인권이 존중돼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했지만 문제 행동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학생들의 자유를 어디까지 허용해줘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워 했다.이에 대해 심 강사는 갈등 당사자 간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3의 교사와의 상담을 통한 생활지도, 상습적인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의 가족상담 치료 요청, 독서를 활용한 생활 지도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또한 심 교사는 자신이 근무 중인 학교의 학교생활인권규정 개정심의위원회 합의 결과를 소개하며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기 위해 허용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의견과 화장이나 염색 등 나이에 맞지 않는 행동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의견 등을 개진했다.의정부=김동수기자 dskim@ekgib.com

한국보육진흥원 ‘보육교사 전문성 향상’ 세미나

(재)한국보육진흥원이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시행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 교육사업이 실제 교육현장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사업시행에 필요한 교구교재 등을 전적으로 국가에서 책임지고 보급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6일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 3층 소강당에서 열린 표준보육과정 교육사업의 성과 및 향후 발전방안 세미나에서 민경환 경기도법인분과위원장(김포 고촌어린이집 원장)은 보육시설 종사자들이 공감하는 표준보육과정의 보급확산을 위해 지자체 뿐 아니라 국가차원의 예산확보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또 이날 토론자로 나선 김상수 도보육시설연합회 용인지회장은 표준보육과정 교육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보육인들의 공감대 확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에대해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김의향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인력개발국장은 보육종사자들은 이미 표준보육과정의 시행에 대해 80% 이상 만족감을 느끼며 교육의 중요성과 성과 등을 인정하고 있다며 아이사랑포털 등에 이 사업을 노출시켜 홍보효과를 노리고 강사 인력풀 구축, 연령별경력별 전문 교육시스템 등을 체계적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재)한국보육진흥원이 주최하고 ㈔한국보육시설연합회경기도보육시설연합회 주관, 보건복지부 후원으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는 진용복 도보육시설연합회장, 천영미 도의원을 비롯해 도내 보육시설장, 교사, 일반인 등이 참여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권소영기자 ksy@ekgib.com

오산대 예비경찰들 “미리 현장 경험해요”

민중의 지팡이, 경찰이 진정 주민들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또 범죄 발생시 경찰 부서간의 공조는 어떻게 진행되나요.지난 3일 오산대학 경찰행정학과 학생 50여명은 화성동부경찰서를 방문, 그동안 받아 온 이론교육을 실무행정에 접목시키는 뜻깊은 현장교육을 받았다.화성동부경찰서(총경 이희성)의 초청으로 이뤄진 이날 현장방문 교육에서는 경찰의 공직가치, 활동사안 설명, 과학수사 전개과장 및 실습, 상황실수사지원팀 등 각 부서별 업무 설명 등으로 이어졌다.특히 실무자들의 자세한 설명으로 경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경찰을 준비하는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공감대도 형성했다.특강에 나선 이 서장은 경찰업무에 뛰어드는 사람은 경찰 뿐만이 아니라 공직자로서의 가치확립이 중요하다며 미래에 경찰관이 되기 위해서는 공부 뿐만 아니라 가치관을 정확히 세워야만 우수한 경찰관이 될 수 있는 만큼 더욱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론만 배우다 이렇게 현장에서 교육을 받아보니 경찰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 더욱 와 닿는다며 경찰이 되기 위해 더욱 정진하겠다고 다짐했다.오산=정일형기자 ihjung@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