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술세미나 또는 정책토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는 아마도 ‘제4차 산업혁명’일 것이다.2016년 알파고(AlphaGo)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도 보편화되고, 이에 편승해 인공지능과 로봇,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과 관련하여 일자리, 실업, 심지어는 인류의 미래(불안)에 이르기까지 각계각처에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주제를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인재상과 새로운 역량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미래사회에 적합한 교육의 본질과 이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에 관한 많은 논의가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4차 산업시대에 필요한 인재상으로 전문적 지식의 종합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타인과 협업할 수 있는 공감능력을 갖춘 사람을 꼽는다. 생각해보자. 이런 인재상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만 필요한가. 사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이와 같은 역량은 이전의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필요로 되었던 역량이며, 이를 계발하는 것은 시대를 초월하여 교육이 지향해왔던 목표이다. OK! 현대사회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지식사회, 정보화사회를 넘어 인간의 지능까지 대체, 아니 아예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시대에 도래했다고 치자. 인공지능이 노동을 대체하고, 로봇이 상용화된다고 하자. 그러나 그럴수록 교육의 방향은 본질에 더 충실해야만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인 융합(디지털과 아날로그, 가상과 현실 등)은 프로그램에 의해 설계된 것 이상이며 기계적으로 구조화된 것 그 이상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4차산업 혁명시대에 사라지게 될 일자리를 정형화된 지식과 계량화된 기술을 토대로 한 직업들이라고 예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설계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천, 수만 가지 경우의 수를 가지고 운용되는 로봇, AI, 알파고와 경쟁에서 인간이 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간은 그들처럼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 인간만이 지닌 소위 ‘사고의 불확정성’이라는 자산이야말로 바로 4차 산업시대에 요구되는 가장 핵심적인 역량인 것이다. 그러나 최근 교육 영역에서의 논의를 보면 피상적이고 근시안적이라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제4차 산업혁명을 강조하면서 교육의 가치는 그대로 효율성, 효과성, 성과지향성이라는 3차 산업시대에 기반하고 있다. 일률적인 교육을 지향하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가 그러하고 대학에서 인문학 영역을 줄이고 산업연계 교육을 강화하고자 하는 프라임사업이 그러하다. 4차 산업시대에서는 단편적이고 파편화된 지식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역량을 요구한다. 또한 정형화된 지식의 단순한 습득이 아니라 지식과 정보를 스스로 구상해나갈 수 있는 소위 ‘인식의 구상능력’이 강조된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성을 초월하는 초지성을 만들어 내는, 지식정보화사회를 넘어 지능정보화사회인 4차 산업시대의 교육은 오히려 ‘1차 산업혁명시대’에 충실해야 한다. 최순종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오피니언
최순종
2017-06-04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