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ow did you do in the job interview? B: Eat your heart out, buddy. Youre looking at the new managing director. A: 너 취업면접 어떻게 되었니? B: 부러워 죽겠지?! 너가 지금 보고 있는 사람은 바로 새로운 상무이사야. eat ones heart out : 누군가 / 어떤 것을 부러워하다. 이 표현은 놀림을 당한 사람이 질투, 욕망, 아픔으로 속상하라고 놀릴 때 쓰이는 표현이다. meal ticket :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필요한 돈을 얻기 위해서 쓰다. 즉, 생계/밥줄을 의미한다. 이것은 미국 slang으로 일꾼들이 공짜 식사를 얻었던 것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자료제공=
A: John has everything handed to him on a silver platter, but he still screws up. B: Sorry, but I cant help you this time. Ive got a lot on my plate right now. A: John은 늘 모든 것을 노력없이 쉽게 얻지만 늘 항상 엉망이야. B: 미안해, 하지만 이번엔 너를 도울 수가 없어. 지금 내 코가 석자야. hand (something) to (someone) on a silver platter : 이 표현은 유복하게 태어나다라는 뜻과 비슷하다. 아무런 노력 없이 거저 얻게 되다라는 것으로 부잣집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은접시에 모두 가져다 준 것에서 유래한 말이다. have a lot on ones plate : 접시위에 많은 것들이 좋여져 있다. 즉, 할 일이 아주 많다라는 뜻이다. 자료제공=
A: John was trying to milk me for information on the new account. B: He likes to have his finger in the pie, even when its not his job. A: John이 나에게 신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자꾸 빼내려고 했어. B: 그는 모든 일에 참견하기를 좋아해, 심지어는 그게 그의 일이 아닐 때도 말이지. milk (someone) for (something) : 어떤 사람을 압박해서 정보나 돈을 달라고 하다이 표현은 farmer가 소에게 우유를 짜낼 때 쓰인 표현에서 유래했다. have ones finger in the pie : 모든 파이에 손가락을 넣다 즉, 어떤 일에 개입/관여하다, 모종의 역할을 하다. 이것은 딴 사람의 파이 속에 손가락으로 찔러서 맛이 어떤가를 보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행동에서 유래했다. 자료제공=
A: Im so hungry that I could eat a horse. B: You always say that, but when the food comes, you eat like a bird. A: 난 너무 배가 고파서 말 한마리를 통째로 먹을 수 있을 것 같아. B: 너는 항상 말은 그렇게 하지만, 음식이 있으면 진짜 조금만 먹잖아. I could eat a horse 말 한마리를 다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배가 고파라는 다소 과장된 표현이다. 말들은 아름다움과 힘의 상징으로 여겨져 말을 먹는 것은 사회적으로 금기사항이었다. 그래서 옛날부터 말을 먹는다는 것은 이상하고 배가 너무나 고픈 상황에서 아주 마지막으로 남은 먹거리이고 아주 극단적인 조치였다. eat like a bird 새처럼 먹는다는 것은 작은 체구의 새처럼 매우 조금씩 먹는 사람 즉, 소식하다라는 표현이다. eat like a pig를 쓰면 매너 없이 지저분하게 먹는다는 뜻으로 헷갈려선 안 된다. 자료제공=
A: You all are the cream of the crop. Thank you for all of your hard work. Bottoms up! B: Come on everyone, down the hatch! A: 여러분들 모두가 최고입니다. 여러분의 노고에 정말 감사 드립니다. 원샷! B: 여러분! 모두 건배(마십시다)!! The cream of the crop : 어떤 그룹의 최고의 사람이나 최고의 선택이라는 표현. Bottoms up : 모든 사람들이 잔을 바로 비워야하는 원샷이란 표현. 당신은 천장을 향해 잔을 치켜들고 바닥이 보일 때 까지 마셔야 한다. Down the hatch : (뭔가를) 마시다 보통은 술을 마시거나 약을 복용할 때 쓰인다. 자료제공=
A: The boss is going to take everyone out for dinner tonight. B: Thats his carrot and stick approach. A: 보스가 우리 모두에게 오늘 밤 저녁을 쏠 예정이래. B: 그것이 그의 당근과 채찍 접근방법이야. Take someone out to dinner : 손님을 데리고 나가서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대접하다라는 idiom으로 여기서 take는 데리고 나가서 대접하다라는 뜻으로 쓰여졌다. - to take someone as ones guest to a meal at a restaurant. carrot and stick : 당신이 원하는 것을 누군가에게 시켜 해내도록 주는 보상과 원하는 것을 안 하면 주는 벌이다. 짐을 운반하는 사람이 노새 앞에 당근을 매달아 앞으로 움직이게 하고 노새가 움직이지 않으면 뒤에서 stick으로 때린 것에서 유래되었다. 자료제공=
A: I just heard that John got canned. B: He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is mouth. I think this was his first real job. A: 방금 John이 해고되었다고 들었어. B: 그는 태생이 부유하잖아. 이번 직업이 그가 가진 첫 번째 job이었다고 생각해. Get canned : can은 쓰레기통에 버리다라는 뜻이다. get canned는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쓸로없어진 사람, 즉 get fired의 slang으로 회사에서 짤리다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 : 입에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다는 말 그대로 개인의 노력에 의해서가 아닌 가족의 힘으로 기회를 얻고 사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다 라는 뜻이다. 은으로 만들어진 식탁용 식기류는 비싸서 상류층 가족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자료제공=
A: The bosss new secretary is really hot. I wonder how she keeps her figure. B: I heard that shes so obsessed with staying thin that she binges and purges. A: 보스의 새 비서 정말 섹시해. 그녀가 어떻게 몸매 유지를 하는지 궁금해. B: 그녀가 늘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는데 너무 집착을 하다보니깐 많이 먹고 토한다고 들었어. binge and purge : 폭식하고 제거하다라는 것은 너무 많이 먹고 나서 토하다라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항진증이나 거식증과 같은 식이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Binge eating은 많은 양의 고칼로리 음식을 짧은 시간에 빨리 섭취하는 것이고, Purging는 토하게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자료제공=
A: John got caught with his hand in the cookie jar again. B: I told him last time not to bite the hand that feeds him. A: John이 현장에서 또 돈을 훔치다가 붙들렸어. B: 내가 저번에 그에게 은혜를 원수로 갚지 말라고 말했었어. Get caught with ones hand in the cookie jar : 어떤 사람이 부도덕적인 일, 즉 회사에서 돈을 횡령 같은 것을 하는 동안에 잡히다 라는 표현이다. 이것은 아이가 쿠키를 엄마 몰래 꺼내다가 쿠키 단지에 손이 걸렸다는 것에 비유해서 쓰이는 표현이다. 범행 현장을 들키다현장에서 붙들리다는 표현으로 쓰인다. 자료제공=
A: Even if he is the apple of the bosss eye, I think he is as nutty as a fruitcake. B: I agree. He is a little off the wall. A: 그가 보스에게 아무리 귀한 존재라고 해도, 내 생각에는 그가 약간 미친 것 같아. B: 맞아. 나도 그가 좀 괴상한 것 같아. apple of (someone`s) eye : 미국은 세계 최대의 사과 생산국답게 apple이 들어가는 표현이 많다. 그래서 어떤 사람의 눈의 사과라는 표현은 그만큼 귀하다는 것으로 다른 사람들이나 사물들 보다 누군가를 더 좋아할 때 쓰인다. 아주 귀한(애지중지하는) 사람/물건을 표현할 때 쓰고 이 표현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성경에도 나온다. 자료제공=
A: This morning, the fog was as thick as pea soup and I hit a cat with my car. B: Oh my God! Did it survive? A: 오늘 아침, 안개가 너무나 자욱해서 내 차로 고양이를 쳤어. B: 어머나! 그 고양이 살아남았니? as thick as pea soup : pea soup은 농도나 색깔이 진하다, 그래서 이 표현은 매우 진하다. 매우 두껍다라는 뜻이다. 현대 사회에서 먼지와 안개는 인체에 매우 해롭다. 20세기 초에는 런던은 매우 오염된 도시로서 안개로 유명했고, 그때 이런 표현이 나온 것이다. 자료제공=
A: Did you hear that John is having trouble in his new position. B: I knew that he couldnt cut the mustard. A: John이 그의 새로운 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들었니? B: 그가 일을 해낼 능력이 없는 것을 알고 있었어. cut the mustard : 성공하다, 기대에 부응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샐러드드레싱에 주로 사용하는 머스터드(mustard)는 아주 조그만 겨자에서 추출해 내야 한다. 예전에는 겨자 식물을 재배할 때 그것을 자르는 일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서 겨자를 칼로 다 잘랐다는 cut the mustard라는 표현은 어려운 일을 성공적으로 마치다라는 의미가 되었다. 자료제공=
A: Lets have a beer after work and talk. B: As much as Id like to chew the fat with you, Ive got a lot of work to do. A: 일 끝나고 맥주한잔 하면서 얘기나 나누자. B: 나도 너랑 엄청나게 수다 떨고 싶지만, 오늘 해야 할 일이 많아. chew the fat with (someone) : 이 표현은 고기 지방 조각을 씹는 동안 입의 움직임을 보고 빗대어 나온 표현으로 ~와 수다를 떨다 라는 의미를 가진 IDIOM이다. 자료제공=
A: I swear. Sometimes the boss cant see the forest for the trees. B: Hey, dont let it get you down. Hes just one of those garden variety bureaucrats that detest change. A: 아 진짜 간혹, 우리 보스는 너무 세세한 것에 신경을 쓰고 큰 그림은 못 보는 겻 같아. B: 이봐, 너무 실망하지는 마. 그는 변화를 싫어하는 그냥 그저 평범한 관료일뿐이야. Cant see the forest for the trees : 너무 작은 것에 연연하다가 전체를 못 보는 사람을 두고 쓰는 표현이다. 어떤 일을 계획하거나 실행해 나갈 때 큰 그림을 그릴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16세기 때부터 쓰여진 표현이다. 자료제공=
A: Alright, Jack, dont beat around the bush. Tell me whats on your mind. B: Im not sure that you should run for governor. Youre a late bloomer when it comes to politics and its a jungle out there. A: 그래, 잭, 빙빙 돌려서 얘기하지 마세요. 당신의 마음에 있는 말을 해보세요. B: 저는 당신이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는 하시는 것이 옳은 일인지 잘 모르겠어요. 당신은 늦게 정치를 시작했고, 정치세계라는 것은 정말 험난한 세상이잖아요. beat around the bush : 대화를 할 때 상대방에게 자신이 없거나 숨기고 싶은 말이 있을 때 정곡을 찌르지 못하고 빙빙 돌려서 이야기 하다라는 표현이다. 자료제공=
A: I cant believe that Tim took off with all the money for charity. B: I should have nipped it in the bud when I first suspected him. A: 나는 Tim이 자선기금을 위해서 돈을 가지고 도망갔다는 것을 믿을 수가 없어. B: 내가 처음에 그를 의심했을 때 문제가 심각해 지기 전에 싹을 잘라야 했어. nip it in the bud : 꽃봉오리나 싹을 잘라버려서 더 이상 꽃이 피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 보통 어떤 일이 더 나빠지기 전에 예방차원에서 미연에 방지한다는 것을 뜻한다. out of the woods : 숲 속에서 벗어난 상태 즉, 과거 개척자들이 먼 길을 떠났을 때 그들의 목적지를 바로 가기는 힘들었다. 그래서 간혹 추운 겨울에 숲에 갇히기도 했는데, 숲은 위기나 어려운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떤 안 좋은 상황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자료제공=
A: John has a tendency to gild the lily when talking to investors. B: Worry about that. Hes leading them up the garden path A: John은 투자자들에게 과하게 대하는 경향이 있어. B: 나도 그게 걱정이 되더라고. 그는 그들을 속이고 있는 것 같아. gild the lily 백합에 금을 입히다라는 표현으로 여기서 gild은 금을 얇게 입히는 것이고, lily는 이미 그 자체로 아름다워서 금을 입힐 필요가 없는데 금을 입혔다는 것. 그래서 이미 벌써 좋은 것에 더 좋게 위장하려다가 오히려 망치는 것을 의미한다. lead ~ up the garden path 누군가를 정원으로 가이드 한다는 것은 예전에 결혼 할 때 못생긴 여자를 면사포로 가리고 정원에 들어가서 결혼식을 치르도록 신랑을 속여 결혼 시키고 난 후에 알고 보면 신랑이 속았음을 나중에 알게 된 상황에서 유래된 말이다. 어떤 사람을 속여서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믿게 만들다라는 표현이다. 자료제공=
A: I dont think she is ready to settle down. Shes a free spirit. B: Yes, but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A: 그녀는 정착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 같아. 그녀는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잖아. B: 맞아. 하지만 하지만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 정착할 수가 없어.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 여기서 moss/이끼는 재물을 뜻하는 좋은 의미이다. 너무 자주 옮겨 다니면 재물이 모이지 않는다는 표현으로 어떤 일이든지 끈기 있게 안하고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 돈이 생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속담으로 치면 한 우물을 파야 좋다는 것과 비슷한 표현이다. 사는 곳직장 등을 자주 옮기는 방랑자 같은 사람은 돈재산친구 등을 모으기 힘들지만 책임 같은 것에는 얽매이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낼 때도 쓰이는 표현이다. 자료제공=
A: Its a beautiful day. It will be summer in no time. B: Remember,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pring. A: 날씨가 정말 좋다. 곧 여름이 오겠지. B: 제비 한 마리가 왔다고 여름이 온 것은 아니란 것을 기억하렴. 제비 한 마리가 왔다고 여름이 온 것은 아니다라는 표현은 어떤 일을 하나만 보고서 성급하게 속단하지 말라는 은유적인 표현으로 쓰인다.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pring 제비 한 마리가 왔다고 여름이 온 것은 아니다-Swallows are migratory birds that leave in the winter and return in the spring. However, just seeing one swallow does not mean it is spring. hay fever 꽃가루 알레르기 -This is a kind of allergy that affects the eyes and the respiratory tract, caused by the pollen or ragweed and other plants. 자료제공=
A: I think the weather is finally starting to get warmer. B: You know what they say, March comes in like a lion and out like a lamb. A: 날씨가 점점 따뜻해 지는 것 같아. B: 흔히들 3월은 날씨가 3월 초에 사자처럼 강하게 들어왔다가 3월 말에 양처럼 순하게 지나간다는 말을 하잖아. like a lion and out like a lamb : lion과 lamb는 3월 초 날씨 상태가 동물의 왕 사자처럼 강한 꽃샘추위가 오고 3월 말에는 온순한 양처럼 따뜻해짐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idiom이다. 자료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