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 어린이집 가해교사 피의자 신분 경찰 출석

주먹 등으로 원생들을 여러 차례 폭행한 혐의를 받는 인천 부평 어린이집 보육교사 A(25여)씨가 21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에 출석했다. 검은 모자를 눌러 쓰고 인천 삼산경찰서에 도착한 A씨는 "상습 폭행을 인정하느냐", "때리면서 폭행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고개 숙인 채 "죄송합니다"는 말만 반복했다. 경찰은 피해 진술과 학대 의심 정황이 담긴 영상 등을 토대로 A씨를 상대로 상습 학대 여부와 범행 동기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경찰은 A씨의 상습학대 혐의가 확인되면 아동복지법상 학대 혐의로 구속 영장을 신청할지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 분석을 통해 총 63건의 학대 의심 정황을 추가로 확보했다. 경찰은 지난 14일 신고 접수 이후 피해 아동 6명, 부모 14명에 대한 진술 조사를 마쳤다. A씨는 원아 910명의 머리와 얼굴 등을 주먹 등으로 때리고 밀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2013년 2월부터 해당 어린이집에서 근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지난 14일 신고를 받고 어린이집으로 출동한 경찰에 "한글공부나 선 긋기를 제대로 못 해 훈계 차원으로 그랬다"며 폭행 사실을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흠모한 여성 데려와 술먹이고 감금·가혹행위한 40대 구속

인천 남부경찰서는 술에 취해 40대 여성을 감금하고 병원에서 알게 된 지인을 협박해 돈을 받아 챙긴 혐의(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등으로 A(38)씨를 구속했다고 21일 밝혔다. A씨는 지난 4일 술에 취한 B(41여)씨를 인천시 부평구 자신의 집으로 강제로 데려와 술을 먹이고 감금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B씨를 미행하다가 혼자 술을 먹고 취한 틈을 타 강제로 자신의 집에 감금한 뒤 플라스틱병에 물을 담아 30여 차례에 걸쳐 뿌리는 등 가혹행위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B씨는 A씨가 담배를 사러 간 틈을 타 감금 42시간 만에 탈출했다. 이들은 우연히 술 좌석에서 서로 알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A씨는 지난해 10월 21일 알코올 중독 치료를 받다가 알게 된 C(52)씨 등 지인 5명을 협박해 77만5천원을 받아 챙기거나 빼앗은 혐의도 받고 있다. A씨는 술에 취해 평소 좋아하던 B씨와 지인 C씨 등을 대상으로 감금, 상해, 협박 등 여러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강도미수 혐의로 구속된 A씨의 여죄를 추궁하다가 이 같은 범행을 추가로 파악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A씨는 알코올 중독으로 수차례 병원을 오가며 술에 취한 상태에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며 "알코올 중독 치료를 먼저하고 여죄 추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가정형 어린이집 10곳중 9곳 CCTV 없다… 아동학대 ‘사각지대’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막기 위해 폐쇄회로(CC)TV 설치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현재 인천의 어린이집 중 비중이 가장 큰 가정형 어린이집은 10곳 중 겨우 1곳만 CCTV가 설치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인천지역 어린이집 CCTV 설치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어린이집 2천300여 곳 가운데 36.1%만 CCTV가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국공립 어린이집은 132곳 중 120곳(85.7%), 공공형 어린이집은 79곳 중 44곳(55.6%), 민간형 어린이집은 816곳 중 482곳(59.1%)이 CCTV가 설치되는 등 설치율이 50%를 넘었지만, 가정형 어린이집은 1천274곳 중 175곳(13.8%)만 CCTV가 설치된 것으로 집계됐다. 가정형 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의 55.3%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형 어린이집은 대체적으로 자체 재원이 없어 CCTV 설치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CCTV를 설치하려면 1곳당 최소 200만 원에서 500만 원이 필요하다. 현행법상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공공형 어린이집은 예산지원이 가능하지만, 민간형이나 가정형 어린이집은 예산지원이 불가능하다. 지자체가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최소 2천900억 원에서 최대 7천4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해 재정부담이 크다. 이 때문에 전국 17개 시도 국장단은 지난 19일 회의를 열고 중앙정부가 예산지원을 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아 보건복지부에 건의했다. 인천시는 국공립과 공공형 어린이집에 CCTV를 100% 설치하고, 민간형이나 가정형에는 자체적으로 CCTV 설치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또 오는 21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아동학대 의심사례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하고, 시군구 18개 반 37명으로 특별 점검반을 편성해 인천지방경찰청과 합동점검을 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가정형 어린이집은 자체적으로 CCTV를 설치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보건복지부는 국회에서 여야합의로 관련 법을 개정하기로 했으니 정부의 예산 지원도 포함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법이 개정하면 중앙정부가 재원을 부담하고 지자체가 일부 분담하는 형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민우 김미경기자

서구 유치원생 “자주 꼬집고 걷어찼다”

인천시 서구의 한 유치원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피해 원생과 부모를 상대로 조사를 벌이는 등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20일 인천 서부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처음 경찰에 아동 학대 의심을 신고한 A양(5)의 부모 B씨를 상대로 구체적인 피해 사실을 조사했다. 경찰 조사에서 A양 등은 C 교사(27여)가 자주 몸을 꼬집고 걷어찼다. 도깨비 집으로 데려간다고 했다며 학대를 받았다는 내용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아동전문보호기관의 도움을 받아 21일까지 A양 이외에 다른 원생과 부모의 구체적인 피해 내용을 조사할 방침이다. 경찰은 원생과 부모로부터 아동 학대 의혹을 받고 있는 C 교사에 대한 추가 학대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피해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C 교사를 소환해 정확한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또 부평의 한 어린이집 폭행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해당 어린이집에 설치된 5개 폐쇄회로(CCTV)에서 확보한 녹화 영상 분석작업을 통해 가해교사 K씨(25여)의 학대 의심장면 63개를 확보하고, 보육교사에게 폭행을 당한 피해 아동에 대한 조사를 끝마쳤다. 경찰은 K씨를 21일 오전 10시에 소환해 폭행 동기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며, 혐의가 확인되면 구속영장 신청 등 신병처리를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인천지방경찰청 성폭력특별수사대는 지난해 말 부평구 갈산동의 한 사립유치원 D 교사(32여)가 여아(5)의 얼굴과 배 등을 여러차례 때렸다는 부모의 신고가 접수돼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유치원 CCTV를 확보해 분석에 들어갔으며, 오는 21일 D씨와 원생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김준구 양광범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