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산하기관이 사용하는 공공용 드론 제품 중 92%가 중국산 제품으로 국내 제품은 단 2대만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이학재 의원(인천 서갑)은 2일 “국토교통부 산하기관이 보유한 드론의 92%가 중국산이며, 국산 드론은 단 2대뿐(저가 교육용 드론 제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우리나라 드론 산업은 정부 주도의 기술개발과 실증사업 중심으로 육성되고 있으며, 상업용 드론 신고 대수가 2014년 165대에서 2015년 570대, 올해 8월 말 787대로 급증하는 등 드론 사용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드론 산업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에 이르는 융복합이 급격하게 이뤄지는 산업 분야로 앞으로의 발전이 더 기대되고 있어 국토부도 7대 신산업(드론, 자율주행차, 공간정보, 해수담수화, 스마트시티, 제로에너지빌딩, 리츠) 중 하나로 드론산업을 선정하고 적극적인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막상 국내 제품의 사용은 외면하고 있었다. 국토부 산하기관은 교육용 드론을 제외하고 산업용으로 총 51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산 드론은 92%에 달하지만 국산 드론은 단 2대에 불과했다. 산림청 역시 보유 드론 총 32대 중 28대(87.5%)가 중국산인 반면 국산은 3대뿐이었다. 소방본부도 보유한 드론 13대 가운데 10대(77%)가 중국산이고 국산은 단 2대에 그쳤다. 이 의원은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은 국내 드론 제조업체의 기술력 배양과 상업용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국산 상업용 드론을 우선 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진욱기자
정치일반
정진욱 기자
2016-10-02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