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까지 삼켜버린 폭우… 여주의 저주

산사태로 중국교포 사망 토사에 떠밀린 차량은 찌그러진 채 나뒹굴고 제방 붕괴 농경지 침수도 하룻사이에 240~300mm의 물폭탄을 맞은 여주군 일대는 그야말로 폭탄을 맞은 전쟁터와 다름없었다. 산사태로 목숨을 잃은 것은 물론이고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마다 물에 잠기고 토사가 유실되는 등 곳곳이 상처투성이었다. 흙탕물에 잠긴 농경지에는 농부의 한해 꿈도 잠겨있는 듯 그 실체를 가늠하기 어려웠다. 22일 오전 2시께 찾은 여주군 북내면 S숯가마 주변은 이날 오전까지 퍼부은 기습 폭우의 처참한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야산 초입에 위치한 숯가마 뒤편으로 10여m를 훌쩍 넘는 나무 수십 그루가 부러지고 뿌리째 뽑혀나간 채 마구잡이로 누워 있었고, 정상에서부터 흘러온 흙탕물이 거세게 몰아치면서 흙 바닥이 계단처럼 군데군데 깎여 있었다. 여러 동으로 이뤄진 숯가마 건물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쓸려 내려온 토사와 나무가 건물 내부까지 들이닥치면서 떨어져 나간 문짝 안으로 나무 기둥이 꽂혀 있는가 하면 숯 굽는 시설은 천정까지 흙탕물에 잠겨 접근조차 할 수 없었다. 숯가마 진입로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7m여 폭의 다리가 절반 가까이 떨어져 나간 채 무너져 내리면서 부서진 콘크리트 덩어리가 개울에 잠겨 있었고, 토사에 떠밀려온 1t 트럭과 승용차량이 범퍼가 떨어져 나가고 문짝이 찌그러진 채 길 한복판에 나뒹굴고 있었다. 이 곳 S숯가마의 참상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낮 12시 기준 242㎜의 기습폭우가 내리면서 발생한 산사태는 끝내 안타까운 목숨까지 앗아갔다. 이 곳에서 일하던 중국교포 L씨(75)가 밀려온 토사를 제거하다 재차 밀려온 흙더미에 매몰돼 숨졌다. 비슷한 시각 북내면 현암리 42번 국도 주변은 도로 70여m 구간이 침수돼 트럭과 승용차량이 오도 가도 못한 채 흙탕물에 잠겨 있었다. 반쯤 깎아낸 인근 야산에서 흙탕물이 흘러들어 도로를 점령했기 때문이다. 인근 전원주택단지 예정부지도 깎아낸 산에서 붉은 흙탕물이 무서운 기세로 흘러내리면서 토사로 뒤덮혔다. 주민 박종은씨(67)는 밤새 내린 비는 무서울 정도였다며 적지 않은 피해를 보겠구나 생각했지만 이정도 일 줄은 몰랐다며 아연실색해 했다. 대신면에서는 옥촌저수지의 제방이 붕괴해 농경지 10㏊가 침수됐고, 국도 37호 도로변에서는 산사태로 차량 1대가 파손, 양방향 차선이 통제됐다. 아울러 금사면의 국지도 88호 전북교 교각이 유실돼 차량이 통제되기도 했다. 여주에는 이날 하루 동안 오후 5시 현재 기준 240㎜의 비가 내리고 흥천ㆍ금사ㆍ대신면 등 일부 지역은 300㎜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군내에서는 산사태 30곳, 건물침수 68개소, 도로 유실 39곳, 하천 및 저수지 피해 2건 등 총 163건의 피해가 접수됐다. 류진동ㆍ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경기지역 새벽 기습폭우 ‘처참’ 4명 사망… 산사태·주택침수 속출

22일 새벽부터 경기지역에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4명이 사망하는 등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산사태, 도로통제, 주택침수 등 비 피해가 잇따랐다. 광주시 곤지암 일대는 오전 7시50분부터 시간당 81.5㎜의 폭우가 내려 최다 시우량을 기록한 가운데 곤지암천이 범람위기를 맞으면서 재난경계ㆍ위험경보가 발령, 인근 초ㆍ중ㆍ고교가 휴교하거나 수업을 중단했다. 곤지암천 일대 곤지암 도시계획도로, 퇴촌 지방도 325호선 등 광주지역 도로 5개 구간이 통제됐고 또 경안천과 곤지암천 일대는 둑 23m 아래까지 수위가 상승해 저지대 곳곳이 침수피해를 봤다. 곤지암천 인근도로는 하수도가 역류해 도로가 물에 잠기면서 이 지역 상가 수십채가 침수되기도 했다. 이천에서는 이번 폭우로 발생한 산사태에 매몰된 목사와 농작물 관리에 나섰던 농부 등 2명이 숨졌다. 이날 낮 12시5분께 백사면 한 기도원 인근 하천에서 목사 K씨(61)가 토사에 매몰됐고, 이에 앞서 오전 10시35분께 신둔면 용면리에서 농작물을 살피러 논에 나간 K씨(61)가 실종됐다가 끝내 숨진채 발견됐다. 또 이천 관고동 모 사찰 뒤편 야산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본당 건물을 덮쳐 건물 안에 있던 A씨(71여)가 매몰됐다가 5시간여 만인 오후 7시30분께 숨진 채 발견됐다. 이와 함께 백사, 신둔, 부발읍 일원 중심으로 많게는 357㎜의 폭우가 집중되면서 도로 유실 및 농경지가 침수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여주군에서는 북내면 상교리 숯가마에서 70대 남성이 흙더미에 깔려 숨졌다. 숯가마 직원인 이 남성은 산사태를 막기 위해 홀로 작업을 하던 도중 토사에 매몰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성남은 오전 5시40분부터 오전 8시까지 시간당 50㎜의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탄천 대곡교 일원에 홍수 주의보가 발령, 이후 오전 10시 해제했다. 이날 집중호우로 성남 본시가지 주택 지하 5채가 물에 잠겼다. 산사태로 인한 도로 정체도 곳곳에서 발생했다. 오전 9시20분께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중부고속도로 332㎞(통영기점) 지점에서 토사 500㎥ 정도가 유출돼 도로가 2시간여 동안 극심한 정체를 빚었으나 차량 매몰이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일원 지방도 315호선과 국도 42호선 중부대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새벽 시간에 산사태가 발생해 출근길 교통혼잡을 빚기도 했다. 한편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에서 광주지역에 대한 긴급 수해복구작업을 벌였다. 지방종합

‘위험한 거짓말’ 무고·위증사범 53명 적발

의정부지검(강경필 검사장)이 올 상반기 동안 무고ㆍ위증 사범 53명을 적발했다. 의정부지검은 올해 1월1일부터 7월15일까지 무고, 위증 등 사법질서를 저해한 이른바 거짓말 사범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검찰은 이 가운데 정도가 심한 3명을 구속기소했다. A씨(20여)는 2009년 남자 두 명과 교제하다가 한 명의 아이를 원하지 않게 임신했고 낙태를 위해 친아버지인 B씨(48)에게 강간당했다고 허위 신고한 혐의를 받고 있다. B씨는 구속됐다가 혐의 없음으로 석방됐다. 이후 이들 부녀는 A씨와 사귄 남자들의 무관심 때문에 처벌받았다고 잘못된 생각을 하고 보복 목적으로 그 중 한 명인 C씨에 강간 당했다고 고소했으나 거짓으로 밝혀졌다. 아버지 B씨는 또 다시 구속기소됐고 딸 A씨는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됐다. D씨(59여)는 동거남이 헤어지자고 하자 두 차례 성폭행당했다고 허위 신고했으며, E씨(68)는 가출한 애인의 친구를 폭행해 처벌받게 되자 살해 위협을 받았다고 허위 고소해 각각 구속기소됐다. 검찰은 이 기간 무고사범 37명, 위증사범 16명을 적발했다. 47명을 기소하고 6명을 수사 중이다. 무고 사범 가운데는 이득 목적형이 20명으로 가장 많았고 보복 목적형 11명, 성폭행 관련 5명, 국가보조금 편취 1명 등이 뒤를 이었다. 위증 사범은 친분 온정형이 8명, 범행 은폐형 5명, 국가 상대 소송 3명 순으로 나타났다. 김창학기자 chkim@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