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조난 한국인 사망 4명…한국인 단체 등산객 20명 생사 모두 확인

일본 나가노 현의 산악 지대인 '중앙 알프스' 등반에 나섰던 한국인 단체 등산객 20명 중 5명이 악천후 등으로 조난 사고를 당해 4명은 숨지고, 1명은 구조됐다. 30일 일본 경찰과 니가타 주재 한국 총영사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께 나가노현 호켄다케(2천931m) 남쪽 해발 2천850m 지점에서 한국인 등산객 박문수(78부산 사상구)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또 오전 6시께 히노키오다케(2천728m)와 호켄다케 사이 해발 2천800m 지점 등산로에서 이근수(72부산 사상구)씨가 역시 숨진 채 발견됐다.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약 500m였다고 총영사관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후 박인신(70부산 중구)씨가 히노키오다케와 호켄다케 사이 등산로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오후 4시12분께 호켄다케 100m 높이 낭떠러지 아래쪽에서 경찰 헬기가 이종식(64부산 동구)씨의 시신을 발견했다. 조난된 5명 중 박혜재(63부산 수영구)씨는 이날 오전 11시께 한 산장에 있다가 구조대에 의해 발견됐다. 이에 따라 등반에 나선 한국인 관광객 20명의 생사가 모두 확인됐다. 한국인 등반객 20명은 부산의 한 여행사를 통해 일본에 온 후 28일 나가노현 고마가네 시의 이케야마에서 등반을 시작, 도중의 한 산장에서 1박한 후 29일 아침 호켄다케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난당할 당시 호켄다케 정상 부근에는 비바람이 강했고 기온은 10℃ 정도였다고 동행한 등산자들은 전했다. 더욱이 현지 등반 가이드를 동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70대의 고령자들이 일행에 포함된 점을 감안하면 무리한 등반이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함께 등산에 나선 20명(남성 14명, 여성 6명)은 연령대가 4878세로 5명은 70대 고령자였다. 현지 경찰은 29일 오후 일행으로부터 구조 요청을 받고 수색에 나섰다가 악천후로 일단 중단했다가 30일 새벽 민간구조대와 함께 수색작업을 벌였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日 조난 한국인 사망, 연합뉴스

방화대교 공사장 붕괴 사고, 2명 사망·1명 부상…처참한 공사현장

방화대교 공사장 붕괴 30일 서울 방화대교 남단 인근 접속도로 공사현장에서 도로 철제 상판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2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이날 오후 1시 8분께 서울 강서구 방화동 방화대교 남단 인근~방화동을 잇는 접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다가 길이 47m, 높이 10.9m, 190톤 무게의 교각 구간의 철제 상판이 7m 높이에서 무너졌다. 이 사고로 중국 동포로 알려진 최창희(52)허동길(50)씨 등 현장 근로자 2명이 무너진 도로와 중장비에 깔려 숨지고 역시 중국 국적인 김경태(59)씨가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경찰과 소방당국, 서울시에 따르면 사고 현장은 올림픽대로에서 방화동으로 진입하는 접속 구간으로, 콘크리트 타설 도중 상판이 기울면서 위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들과 콘크리트 타설기가 추락한 뒤 떨어진 상판에 깔린 것으로 보인다. 현장에는 근로자 4명이 있었으며 숨진 최씨와 허씨, 병원으로 후송된 김씨 외에 정명덕(54)씨는 다치지 않았다. 이 가운데 허씨는 아직 상판에 깔린 상태로, 소방당국은 상판이 무거워 들어올릴 수 없자 아래쪽을 파내 수습을 시도 중이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현장 상황 정리가 끝나는 대로 시공사인 금광기업 등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과 공사상 과실 유무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사고 직후 박원순 서울시장 등 서울시 관계자들이 현장을 긴급 방문, 상황을 점검했다. 박 시장은 "연이은 사고에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며 "일단 매몰자가 계시기 때문에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부상자 치료와 사망자 장례, 보상 등에 대한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특히 희생자들이 중국 교포들이라는 점에서 외교부와 주한중국대사관 등에 관련 가족의 입국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사고가 난 공사는 올림픽 대로와 강서구 방화동을 연결하는 도로를 건설하는 것으로, 지난 2005년 10월 시작돼 내년 6월 완공 예정이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방화대교 공사장 붕괴, 방화대교 공사현장 사고/연합뉴스

새벽 요양원 불… 침대에 손 묶인 50대환자 사망

30일 새벽 0시4분께 포천시 군내면의 한 요양원에서 불이나 50대 환자 Y씨(59)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화재로 사망한 Y씨 외에 J씨(55) 등 환자 4명이 연기를 마셔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며, 입원중이던 환자와 직원 등 19명은 신속히 대피해 화를 면했다. 화재는 병실 일부를 태워 4천여만원의 재산피해(소방서 추산)를 낸 뒤 20분 만에 진화됐고, 불이 난 7인실 병실 7개 침대 중 숨진 Y씨 침대만 불에 탄 것으로 알려졌다. 발견 당시 Y씨는 한쪽 손이 침대에 묶여 있었으며, Y씨 침대에서는 불에 탄 라이터와 담배 1갑이 발견됐다. 경찰은 숨진 Y씨가 뇌수술을 받은 전력이 있는 등 정신질환자로 다른 병실에 입원 중이었지만, 발작 증세가 심해져 불이 나기 2시간 전 비어 있는 사고 병실로 옮겨졌다고 전했다. 경찰조사에서 병원 측은 Y씨의 발작 증세가 심해지자 이날 보호자에게 퇴원을 요구한 뒤 보호자 동의 하에 당일 병실을 옮겨 양손을 묶어 놨다고 진술했다. 한편 경찰과 소방당국은 Y씨가 담배를 피우다 불이 났을 가능성과 라이터로 묶인 나머지 한 손을 풀려다 불이 났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병원직원과 목격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포천=안재권기자 ajk@kyeonggi.com

日 중앙알프스 한국인 조난, 3명 사망·2명 실종

日 중앙알프스 한국인 조난 일본 혼슈 산악지역 '중앙 알프스'에서 조난된 한국인 단체 등산객 중 박문수(78)씨 등 남성 3명이 사망했다. 니가타 주재 한국 총영사관 관계자는 30일 "현재 박씨는 신원이 확인됐고, 또다른 사망자 1명은 시신 100m 옆에서 발견된 배낭에서 이근수(72)씨의 여권이 나와 이씨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머지 1명은 신원을 확인중이다. 박씨는 이날 오전 5시께 호켄타케(寶劍岳.2천931m)산 남쪽 해발 2천850m 지점에서 발견됐고, 이씨로 추정되는 인물은 오전 6시께 히노키오다케(檜尾岳)산과 호켄타케산 사이 해발 2천800m 지점 등산로에서 각각 발견됐다.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약 500m였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두 사람은 다른 일행 18명과 함께 한국에서 여행사를 통해 단체로 일본을 찾아 나가노현 고마가네(駒ヶ根)시의 이케야마(池山)에서 등반을 시작, 산장에서 1박한 후 29일 아침 몇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호켄타케(寶劍岳.2931m)로 향하던 중 연락이 두절됐다. 사망이 확인된 이들 3명 외에도 2명이 현재까지 연락두절 상태이며, 경찰이 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이 조난당할 당시 호켄타케 정상 부근에는 비바람이 강했고 기온은 10℃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일본인 등반 가이드를 동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70대의 고령자들이 일행에 포함된 점을 감안하면 무리한 등반이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함께 등산에 나선 20명은 남성 14명에 여성 6명으로, 부산 지역의 한 여행사를 통해 단체여행에 나섰다. 연령대는 48~78세인 것으로 파악됐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日 중앙알프스 한국인 조난

남성연대 성재기 대표, 예고 투신 나흘 만에 서강대교서 숨진 채 발견

성재기(46) 남성연대 대표가 지난 26일 서울 마포대교에서 투신한 뒤 나흘 째인 29일 오후 서울 서강대교 남단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4시 15분께 서강대교 남단 상류 100m 지점에서 강 위에 떠 있는 성씨의 시신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성씨가 투신한 마포대교에서 1.4㎞가량 떨어진 지점이다. 경찰은 시신을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국민장례식장으로 옮겨 검안검시를 통해 성씨의 신원을 확인했다. 발견 당시 성씨는 맨발이었으며 투신 직후 트위터에 올라온 사진 속 옷차림과 똑같이 흰색 긴팔 셔츠와 쥐색 바지를 착용하고 있었다. 한강경찰대는 이날 오후 서강대교 남단에 시신이 떠 있다는 영등포119수난구조대의 신고를 받고 출동, 성씨의 시신을 둔치로 옮겼다. 한강경찰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순찰정 3척과 수상안전팀 12명을 동원해 마포대교 남단 전망대 하류 100300m 구간에서 수중 수색 작업을 해왔다. 성 대표는 지난 25일 남성연대 홈페이지에 "남성연대 부채 해결을 위해 1억 원만 빌려달라", "내일 한강에서 뛰어내리겠다"는 글을 올린 뒤 하루 만에 한강에 투신했다. 26일 오후 3시 15분께 성 대표의 트위터에는 "정말 부끄러운 짓입니다. 죄송합니다. 평생 반성하겠습니다"라는 글과 함께 난간에서 손을 떼며 뛰어내리는 성 대표의 모습이 담긴 사진이 올라왔다. 경찰은 사고 당일 성 대표의 투신 장면을 목격한 남성연대 사무처장 한승오(35)씨 등 직원 3명과 지지자 박모(28)씨 등 4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한씨는 경찰 조사 직후 취재진에게 "남성연대가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 위험한 퍼포먼스를 준비했는데 사고로 이어져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자살은 아니다. (투신은) 몸을 던진다는 것이지 자살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다"라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성씨의 죽음은 자살보다는 사고사(死)로 판단된다"며 "한씨 등 현장에 있던 사람들에게 자살방조 혐의를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경찰 관계자는 "자살방조 혐의를 적용하려면 본인이 자살하려는 분명한 고의가 있어야 하고 옆에 있었던 사람이 그렇게 인식해야 한다"며 "현재로선 본인도 퍼포먼스라고 하면서 고의가 아니라고 했고 주변 사람들도 그렇게 인식했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성재기 발견,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